본문 바로가기
卍-불법을만나고/卍-불교자료실

Re:불타(佛陀)와 불전(佛傳)-붓다의 뛰어난 여자신도

by 회심사 2017. 5. 1.


-붓다의 뛰어난 여자신도-
    1) 팔리 니까야에 언급된 우바이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팔리어 [앙굿따라 니까야(Anguttara-nikāya, 增支部)]에는 붓다의 뛰어난 제자들의 이름과 그 특징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즉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순입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붓다의 뛰어난 여자신도(우바이)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경전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구들이여, 나의 제자인 우빠시까(Upāsikā, 優婆夷)들 가운데에서 뛰어난 여성신자로서 최초의 귀의자는 세나니(Senāni)의 딸인 수자따(Sujātā)이다. 승단에 공헌한 자 가운데 제일은 미가라(Migāra)의 어머니인 위싸카(Visākhā)이다. 박식한 자 중 제일은 쿳줏따라(Khujjuttarā)이다. 자비심을 가지고 머무는 자 중 제일은 사마와띠(Sāmāvatī)이다. 선정(禪定)의 힘을 가진 자 가운데 제일은 웃따라 난다마따(Uttarā Nandamātā)이다. 특별한 음식을 보시한 자 가운데 제일은 숫빠와사 꼴리야디따(Suppavāsā Koliyadhītā)이다. 간병인 가운데 제일은 숫삐야(Suppiyā)이다. 흔들리지 않는 성실한 이 가운데 제일은 까띠야니(Kātiyānī)이다. 친밀한 관계자 가운데 제일은 나꾸라마따(Nakulamātā)이다. 소문으로까지 믿음을 일으킨 자 중 제일은 꾸라라가라(Kuraraghara)의 우바이 깔리(kālī)이다.”

    위 팔리어 [앙굿따라 니까야]에 언급된 여자신도들은 어떤 인물이었는지에 대해서 간략하게나마 살펴보겠습니다.

    ① 수자따(Sujātā)는 우루웰라(Uruvela) 근처의 쎄나니 마을[將軍村]의 지주 쎄나니(Senāni)의 딸이었습니다. 그녀는 반얀 나무(banyan-tree)의 신, 즉 수신(樹神)에게 만일 아들을 낳으면 밀크-라이스(milk-rice, 우유로 밥을 뭉친 것)를 공양 올리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그녀의 소원이 이루어져 아들이 태어났습니다. 그녀는 공양을 올릴 준비를 위해 뿐냐(Punnā)라는 하녀를 반얀 나무가 있는 곳으로 보냈습니다. 그 날은 바로 고따마(Gotama)께서 깨달음을 이룬 날이었습니다. 뿐냐는 반얀 나무 아래 앉아 있던 고따마를 발견하고, 그가 공양을 받기 위해 사람으로 현신한 목신(木神)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뿐냐는 곧바로 수자따에게 그 소식을 전했습니다. 수자따는 크게 기뻐하며 황금 발우에 음식을 담아 그에게 공양을 올렸습니다. 고따마는 발우를 들고 강가로 가서 쑷빠띳티따(Suppatitthita)라는 여울에서 목욕하고 그 음식을 드셨습니다. 이것은 그가 49일 만에 처음으로 먹은 음식이었습니다. 수자따의 음식은 붓다와 신들에게 올린 공양 중에서 가장 중요한 공양으로 여겨졌으며, 그것은 신의 맛과 향기가 더해졌다고 합니다. 그날 수자따는 귀의게(歸依偈)를 세 번 읊었습니다. 그래서 그녀는 붓다께 귀의한 여성신도 가운데 최초의 귀의자가 되었던 것입니다.

    ② 위싸카(Visākhā, 毘舍佉)는 붓다의 여자신도 가운데 으뜸이었으며, 승단에 공헌한 자 중 제일[dāyikānam aggā, 布施第一]이라고 붓다에 의해 직접 선언되었습니다. 그녀의 아버지는 다난자야(Dhanañjaya), 어머니는 수마나(Sumanā)였습니다. 그녀는 앙가(Anga, 鴦伽)국의 밧디야(Bhaddiya)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녀는 일곱 살 때 밧디야를 방문한 붓다를 친견하고, 직접 법을 듣고 예류자(預流者)가 되었습니다. 나중에 그녀의 아버지 다난자야는 빔비사라 왕에 의해 꼬살라국으로 이주하게 되었습니다.

    위싸카는 사왓티의 부자 미가라(Migāra)의 아들 뿐냐왓다나(Punnavaddhana)와 결혼했습니다. 시아버지 미가라는 나체 고행자들의 추종자였으나, 나중에 붓다께서 그의 집을 방문했을 때 개종했습니다. 미가라는 며느리를 통해 예류과를 얻었기 때문에 자기의 어머니에게 하는 것처럼 위싸카에게 깍듯이 예를 표했습니다. 이로 말미암아 그녀에게 ‘미가라의 어머니(Migāramātā, 鹿母)’라는 호칭이 붙게 되었습니다.

    위싸카는 시집올 때 값비싼 옷을 입고 왔는데, 그 옷을 팔아 정사를 건립했습니다. 그 정사가 바로 유명한 ‘미가라마뚜빠싸다(Migāramātupāsāda, 鹿母講堂)입니다. 이 승원의 원래 이름은 뿟바라마(Pubbārāma, 東園)였습니다. 그녀는 불교의 가장 이상적인 여자신도로 간주되었습니다.

    ③ 쿳줏따라(Khujjuttarā)는 부잣집의 유모로 태어났지만, 그녀는 나중에 사마와띠(Sāmāvatī) 왕비의 하녀가 되었습니다. 그녀는 태어나면서부터 쿳자(Khujja, 곱추)였기 때문에 ‘쿳줏따라’라고 불렸습니다. 왕비는 왕의 허락을 받아 매일 꽃을 사라고 여덟 개의 동전을 쿳줏따라에게 주었습니다. 꿋줏따라는 수마나(Sumana)라는 정원사로부터 꽃을 사는데 네 개의 동전을 쓰고, 네 개는 보관해 두었습니다. 어느 날 붓다께서 수마나를 찾아와 법을 설하는 것을 듣고 꿋줏따라는 곧바로 예류과를 얻었습니다. 그 날은 그녀가 꽃을 사는데 여덟 개의 동전을 모두 사용했습니다. 왕비가 평소보다 많은 꽃을 보고 어떻게 된 것이냐고 물었습니다. 그녀는 왕비에게 그 날 있었던 모든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그 날 이후 왕비는 쿳줏따라를 존경하게 되었고, 향수 물로 목욕하고 그녀로부터 법을 들었습니다.

    쿳줏따라는 사마와띠 왕비를 어머니로 삼고, 정기적으로 법을 들기 위해 붓다께 갔으며 돌아와 왕비와 오백 명의 궁녀들에게 설법했습니다. 쿳줏따라의 가르침을 받고 그들은 모두 예류과를 얻게 되었습니다. 사마와띠 왕비가 붓다를 보고 싶다고 말했을 때, 쿳줏따라는 왕비에게 궁전의 담에 구멍을 뚫어 지나가는 붓다를 지켜보라고 제안했습니다. 사마와띠 왕비가 죽은 뒤, 쿳줏따라는 붓다의 설법을 듣는 종교적인 신앙에만 전념한 것으로 보입니다. 붓다는 그녀가 가장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다고 선언했습니다.

    ④ 사마왓띠(Sāmāvatī)는 우데나(Udena, 優塡王)의 왕비 세 명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녀는 밧다와띠(Bhaddavatī)의 대부호 밧다와띠야(Bhaddavatiya)의 딸이었습니다. 그녀의 아버지 밧다와띠야는 꼬삼비(Kosambī)의 고싸까(Ghosaka)와 친구였습니다. 밧다와띠에 전염병이 창궐했을 때, 그녀는 부모들과 함께 꼬삼비로 피난을 갔습니다. 그곳에서 고싸까가 마련한 급식소에서 음식을 얻어먹었습니다. 그런데 첫째 날 아버지가 죽고, 둘째 날 어머니가 죽었습니다.

    급식소에는 사람들이 음식을 얻기 위해 우왕좌왕하여 큰 소란이 벌어졌습니다. 사마와띠는 이 혼란을 막기 위해 급식소에 칸막이를 세워 입구와 출구를 구분했습니다. 그러자 소란스럽지 않고 질서를 유지할 수가 있었습니다. 고싸까는 사마와띠 때문에 혼란을 해결하게 된 것을 알고 그녀를 친자식으로 삼았습니다. 사마와띠의 본래 이름은 사마(Sāmā)였는데, 급식소에 칸막이(vati, 울타리, 담)를 세운 뒤, ‘사마와띠’로 불렸습니다.

    축제일에 우데나 왕이 목욕하기 위해 강으로 가고 있는 사마와띠를 보고 사랑에 빠져 고싸까에게 왕궁으로 보내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고싸까는 왕의 청을 거절했습니다. 왕은 다시 그에게 돌아와서 그의 부인이 밖으로 나가자 그의 집을 폐쇄해 버렸습니다. 사마와띠는 이것을 보고 고싸까에게 왕궁으로 보내 달라고 했고, 우데나 왕은 그녀를 첫 번째 왕비로 삼았습니다. 얼마 후 우데나 왕은 다시 마간디야(Māgandiyā)를 왕비로 채택했습니다.

    이미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마와띠 왕비의 하녀였던 쿳줏따라가 붓다를 직접 보고 싶어 하는 왕비에게 왕궁의 담에 구멍을 뚫어 지나가는 붓다를 뵙도록 하였습니다. 둘째 왕비 마간디야가 이 사실을 알고 이를 핑계로 사마와띠를 왕궁에서 추방시킬 음모를 꾸몄으나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마간디야는 결국 사마와띠의 처소에 불을 질러 왕비와 하녀들을 모두 죽였습니다. 마간디야는 사마와띠를 죽여 자기가 첫째 왕비가 되기 위해서 그와 같은 엄청난 일을 저질렀다고 합니다. 사마와띠는 붓다를 따르는 가장 저명한 여자신도의 명단에 포함되었으며, 가장 자비스럽게 살았던(aggam mettāvihārinam) 우바이라고 붓다에 의해 선언되었습니다.

    ⑤ 웃따라 난다마따(Uttarā Nandamātā)는 웰루깐따끼 난다마따(Velukantakī Nandamātā)와 같은 사람으로 보고 있습니다. ‘웃따라 난다마따’란 글자 그대로 ‘난다의 어머니 웃따라’라는 뜻입니다. ‘웃따라’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 너무 많았기 때문에 서로 구별하기 위해 ‘웃따라 난다마따’라고 불렸던 것 같습니다. 그녀는 붓다를 모셨던 여자신도 가운데 으뜸이었습니다. [앙굿따라 니까야]에서는 여자신도 중에서 그녀가 선정의 힘, 즉 선정력(禪定力, jhāyīnam)이 으뜸이었다고 묘사되어 있지만, 이것은 다른 ‘웃따라’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녀는 팔재계(八齋戒)의 포살을 준수한 여자신도의 명단에 다시 언급되어 있습니다.

    ⑥ 숫빠와사 꼴리야디따(Suppavāsā Koliyadhītā)는 시왈리(Sīvalī) 존자의 어머니입니다. 시왈리가 태어나기 전 7일 동안 그녀는 극심한 산고의 고통을 겪고 있었는데, 그녀는 죽기 전에 붓다께 공양을 올리고 싶다고 전했습니다. 붓다께서 찾아와 축복해 주자 곧 아기를 낳을 수 있었습니다. 그 아이는 어머니의 자궁 속에 7년간 있었는데, 그 이유는 [아싸따루빠 자따까(Asātarūpa Jātaka)]에 설해져 있습니다.

    숫빠와사는 꼴리야(Koliya) 왕의 딸이었습니다. 그녀의 남편은 릿차비(Licchavi) 족의 마할리(Mahāli)였으며, 삿자넬라(Sajjanela)라는 꼴리야족 마을에 살았습니다. 붓다께서 그 마을을 방문하여 그녀에게 음식을 보시하면 어떤 공덕이 있는가에 대해 설해주었습니다. 그녀는 특별한 보시를 행한 사람 가운데 으뜸(aggam panītadāyikānam)이라고 붓다에 의해 선언되었으며, 그녀는 빠두뭇따라 붓다(Padummuttara Buddha, 燃燈佛) 시대에 열반을 얻기로 진지하게 결심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녀는 유명한 우빠시까(Upāsikā, 優婆夷)의 명단에 포함되었으며, 스님들에게 널리 보시를 베푼 아나타삔디까(Anāthapindika), 쭐라 아나타삔디까(Culla Anāthapindika), 위싸카(Visākhā)와 함께 언급되고 있습니다.

    ⑦ 숫삐야(Suppiyā)는 베나레스(Benares)의 여자신도였습니다. 그녀의 남편 이름도 숫삐야(Suppiya)였는데, 둘 모두 승단에 크게 헌신하였습니다. 어느 날 숫삐야는 사찰을 방문하여 고깃국이 꼭 필요한 병든 비구를 발견했습니다. 그녀는 집으로 돌아와 곧장 시종에게 고기를 사오라고 보냈습니다. 하지만 베나레스 전체에 고기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녀는 칼로 자신의 넓적다리를 잘라 병든 스님을 위한 국을 끊이도록 하녀에게 시켰습니다.

    그 뒤 그녀는 방으로 들어가 침대에 누었습니다. 남편이 집에 돌아와 이 사실을 알고 몹시 기뻐하여 사찰로 가서 내일 공양을 위해 붓다를 자기 집으로 초대하기로 하였습니다. 다음 날 붓다는 제자들과 함께 그의 집에 도착하여 아내 숫삐야에 대해 물었습니다. 그녀가 아프다고 하니, 붓다는 그녀를 데리고 오라고 했습니다. 붓다께서 그녀를 보는 순간 상처는 모두 나아졌습니다.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붓다는 자진해서 준 것일지라도 비구들이 사람의 고기를 먹어서는 안 된다는 율을 제정하게 되었습니다. 숫삐야는 이생에서 선행의 과보를 받았던 사람 중의 한 사례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그녀는 병든 사람을 간호한 사람 중에서 제일이라고 붓다에 의해 선언되었으며, 연등불 시대에 열반을 얻기로 결심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리고 그녀는 저명한 여자신도의 명단에 포함되었습니다.

    ⑧ 까띠야니(Kātiyānī)는 절대적으로 청정한 믿음(aveccappasāda, 不壞淨)을 가진 가장 유명한 재가 여자신도라고 붓다에 의해 선언되었습니다. 그녀는 연등불시대에 열반을 얻겠다고 결심했었습니다. 그녀는 꾸라라가라(Kuraraghara)라는 도시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녀는 깔리(Kālī)라는 친구에게 헌신적이었습니다. 어느 날 그녀는 친구 깔리와 함께 소나 꾸띠깐냐(Sona Kutikanna) 장로에게 법을 듣고자 찾아갔습니다. 법문을 듣는 동안 그녀의 집에 도둑이 들었습니다. 불을 밝히기 위해 기름을 가져오라고 보냈던 하녀가 도둑이 침입했다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하지만 까띠야니는 장로의 법문이 끝나기 전까지는 떠날 수 없다고 거절하였습니다. 이 사건의 진행 과정을 지켜보고 있던 도둑의 두목은 그녀에게 감동을 받아 훔친 모든 값진 물건들을 제 자리에 되돌려 놓도록 부하들에게 명령했습니다. 까띠야니는 법문이 끝나자 예류자가 되었습니다. 다음 날 도둑들이 와서 그녀에게 용서를 구했습니다. 그녀는 도둑들을 장로에게 데리고 가서 출가시켰습니다. 그들은 나중에 모두 아라한이 되었습니다.

    ⑨ 나꿀라마따(Nakulamātā)는 남자신도였던 나꿀라삐따(Nakulapitā)와 부부간입니다. 이들은 박가(Bhagga)국의 숭수마라기리(Sumsumaragiri)에 살고 있었습니다. 붓다께서 이 마을 방문했을 때, 이들 부부는 붓다를 보자마자 즉시 ‘아들’이라고 불렀습니다. 이들 부부는 과거 오백 생 동안 붓다의 부모였던 것입니다. 붓다의 재가신도 가운데 가장 친밀한 관계였다고 선언되었습니다.

    ⑩ 깔리(kālī)는 꾸루라가리까(Kururagharikā)라고도 불렸는데, 그녀는 여자신도 중에서 소문으로 믿음을 일으킨 이 중에서 제일이라고 묘사되었습니다. 그녀는 소나 꾸띠깐냐(Sona Kutikanna)의 어머니였고, 그녀의 남편은 아완띠(Avantī)의 꾸루라가라(Kururaghara)족 사람이었습니다. 그녀는 어릴 때 부모를 따라 라자가하(Rājagaha)에 가게 되었는데, 그곳 발코니에서 산들바람을 즐기고 있는 동안, 붓다와 그의 가르침에 관해 사따기리(Sātāgiri)와 헤마와따(Hemavata)가 주고받는 대화를 듣고 붓다에 대한 믿음을 일으켜 예류자가 되었습니다.

    같은 날 밤 소나(Sona)가 태어났습니다. 나중에 깔리는 꾸루라가라로 돌아와 그곳에서 마하깟짜나(Mahā Kaccāna, 大迦旃延) 존자를 섬겼습니다. 소나가 자라서 깟짜나의 제자로 승단에 들어갔을 때, 붓다를 친견하고 그녀는 붓다의 방에 깔도록 값이 비싼 양탄자를 보시하였습니다. 이 방문 후 소나가 집으로 돌아왔을 때, 깔리는 아들 소나가 일찍이 붓다께 설법하여 붓다와 일만 세계의 신들로부터 박수갈채를 받았던 법문과 똑같은 내용을 자기에게 설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깔리는 예류자가 된 여자신도 중에서 가장 으뜸이었다고 합니다. 그녀는 까띠야니(Kātiyānī)와 변치 않는 동료이자 절친한 친구였습니다. 그녀와 마하깟짜나 간의 대화는 깔리 숫따(Kāli Sutta)에 실려 있습니다.

    2) [증일아함경]에 언급된 우바이

    다음은 한역의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 제3권 제7 청신녀품(淸信女品)에 나타난 붓다의 뛰어난 여자신도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⑴ “내 제자 중의 첫째 우바이(優婆夷)로서, 처음으로 도를 잘 깨달은 이는 바로 난타난타바라(難陀難陀婆羅) 우바이요, 지혜가 제일가는 이는 바로 구수다라(久壽多羅) 우바이요, 언제나 좌선하기를 좋아하는 이는 바로 수비야녀(須毘耶女) 우바이요, 지혜가 밝은 이는 바로 비부(毘浮) 우바이요, 설법을 잘 하는 이는 앙갈사(鴦竭闍) 우바이요, 경전 뜻을 잘 연설하는 이는 바로 발타사라수염마(跋陀娑羅須焰摩) 우바이요, 외도를 항복 받는 이는 바로 바수타(婆須陀) 우바이요, 음성이 맑고 트인 이는 바로 무우(無優) 우바이요, 여러 가지로 논리에 능통한 이는 바로 바라타(婆羅陀) 우바이요, 용맹스럽게 정진하는 이는 바로 수두(須頭) 우바이이니라.”

    ⑵ “내 제자 중의 첫째 우바이로서, 여래를 공양하는 이는 바로 마리(摩利) 부인이요, 바른 법을 받들어 섬기는 이는 바로 수뢰바(須賴婆) 부인이요, 성스러운 무리를 공양하는 이는 바로 사미(捨彌) 부인이요, 미래와 과거의 어진 선비를 우러러 보는 이는 바로 월광(月光) 부인이요, 보시하기에 으뜸인 이는 바로 뇌전(雷電) 부인이요, 항상 자비삼매를 행하는 이는 바로 마하광(摩訶光) 우바이요, 가엾이 여기는 마음을 쓰는 이는 바로 비제(毘提) 우바이요, 기뻐하는 마음이 끊이지 않는 이는 바로 발제(拔提) 우바이요, 업을 지켜 행하는 이는 바로 난다(難陀)의 어머니인 우바이요, 믿음의 해탈을 얻은 이는 조요(照曜) 우바이이니라.”

    ⑶ “내 제자 중의 첫째 우바이로서, 항상 욕됨을 참는 이는 바로 무우(無優) 우바이요, 공삼매(空三昧)를 닦는 이는 바로 비수선(毘讎先) 우바이요, 생각 없는 삼매[無想三昧]를 닦는 이는 바로 우나타(優那陀) 우바이요, 소원 없는 삼매[無願三昧]를 닦는 이는 바로 무구(無垢) 우바이요, 남을 가르치기를 좋아하는 이는 시리(尸利) 부인인 우바이요, 계율을 잘 가지는 이는 앙갈마(鴦竭摩) 우바이이니라.

    얼굴이 단정한 이는 바로 뇌염(雷焰) 우바이요, 모든 감각 기관이 고요한 이는 바로 최승(最勝) 우바이요, 많이 듣고 널리 아는 이는 바로 니라(泥羅) 우바이요, 게송을 잘 짓는 이는 바로 수달(須達)의 딸 수마가제(修摩迦提) 우바이요, 겁내지 않는 이도 바로 수달의 딸이요, 내 성문 가운데서 최후에 깨달은 우바이는 바로 람(藍) 우바이이니라.”

    한역 [증일아함경]에 나오는 여자신도의 원래 이름을 추정할 수 없는 것이 매우 아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