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사(正士) : 대사(大士)라고도 하는데 보살을 말함 | |
| |
정사(精舍) : 수행 정진하는 스님들이 계시는 곳 - 범어 “비하라=寺=머무는 집 | |
| |
정사(精舍) : 본래 우기(雨期) 동안 수행자들이 안거했던 주거지를 가리키는 말. 점차 발전하여 수행자들의 상주처이자 의지처가 되는 절을 가리킴. | |
| |
정성육계상(頂成肉 相) : 부처님의 신체적인 특징인 *32상(相)의 하나. 머리 정수리의 살이 상투처럼 솟아 있다는 특징. | |
| |
정수상번뇌(正受上煩惱) : 고요히 생각하고 있을 때 일어나는 번뇌입니다 | |
| |
정유리세계(淨瑠璃世界) : 유리와 같은 칠보로 이룩된 청정한 세계란 뜻 으로 곧 약사여래의 정토를 뜻함. | |
| |
정전백수자(庭前柏樹子) : 선종의 화두로 어떤 승이 조주에게 물었다 [조사가 서쪽으로부터 오신 뜻이 무엇입니까?] 조주[뜰 앞에 서 있는 백수자니라]하였다 라는 말에서 유래됨. | |
| |
정진(精進) : 비리야(毘梨耶), 근(勤). 진(進). ①부지런히 심신을 수행하는 것. 구사론에서는 대선지법(大善地法)의 하나로 꼽으며, 유식학에서는 선(善)의 심소(心所) 중 하나로 꼽는다. 용맹하게 선법(善法)을 수행하여 악법을 단절시키는 심(心) 작용을 가리킴. 10신(信) 중에서 제3위(位). | |
| |
정진바라밀(精進波羅蜜) : 바라밀 중 하나. 부지런히 수행하여 번뇌를 떨쳐 버리고 불법을 듣고 계율을 지켜 수행하는 것. 예컨대 교만하지 않을 것, 안일함이 없을 것, 게으름 없이 부지런히 수행하는 것, 선할 것 등등 | |
| |
정취보살(正趣菩薩) : 극락, 또는 해탈의 길로 빨리 들어서는 길을, 그 방법을 일러주는 보살이다. 산스크리트 명은 아난야가민(Ananyagamin)이다. 안이란 부정을 뜻하는 접두사이다. 안야란‘그 밖에’‘~과는 다른’이라는 뜻이며 가민은 가다라는 동사의 변화태로 ‘안야가민’하면 다른곳으로 간다는 말이 된다. 결국 이 다른 곳으로 간다는 말에 안이 결합되어 다른 곳으로 가지 않는다는 뜻으로 보면 좋다. 하나의 목표를 정해두고 그곳을 향해서 한눈 팔지 않고 묵묵히 걸어 간다는 것이다. 그래서 無異行이며 정취(正趣)라 한역한 것이다.「화엄경」<입법계품>에 보면 거기서는 29번째 선지식으로 이 정취보살이 등장한다. 선재동자가 보살의 길을 어떻게 갈 것인가에 대해 묻는 장면이 나온다. 오로지 용맹정진하여 물러서지 않고 겁없는 보살, 한 눈 팔지 않고 꾸준히 목표로 삼은 그 곳으로 묵묵히 그리고 힘차게 걸어가는, 머뭇거리지 않는 ,뜻한 바 오로지 그 길로 가기 때문에 정취보살이라 했을 것이다. |
'卍-불법을만나고 > 卍-불교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미개오(轉迷開悟) -점교(漸敎) (0) | 2017.05.11 |
---|---|
정거천(淨居天)-정변지(正遍知) (0) | 2017.05.11 |
정토(淨土)-제법무아(諸法無我) (0) | 2017.05.11 |
제법실상(諸法實相)-제운반야(提雲般若) (0) | 2017.05.11 |
제육천(第六天)-제자품(弟子品) (0) | 2017.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