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나(伊舍那) : 12천 중의 하나로 마혜수라천이나 자재천 이라고도 하 는데, 새계의 정상에 살고 있다는 천신. 3개의 눈과 8 개의 팔 을 가졌으며 흰 소를 타고 흰 총채를 들고 있고 큰 위엄과 덕 망을 지녔다고 | |
| |
이사무애관(理事無碍觀) : 평등한 진리의 본체인 이(理)는 물과 같고, 사 (事)는 변화하는 형상으로 파도와 같다. 평등한 이법과 차별 있 는 사법은 보기에는 서로 다르면서도 그 근본은 하나인 것을 관하는 것. | |
| |
이세오사(異世5師) : 부처님 입멸 뒤 100년 사이에 불교를 전승한 5대 제자. 대가섭 아난다 말전지 상나화수 우파국다 등의 5존자를 말함. 분파에 따라 이설이 있음. | |
| |
이숙(異熟) : 행위의 결과. 업이 성숙하여 결과를 낳는 것. 업력이 그 원인과는 성질과 기능이 다른 결과로 성숙하는 것. 비파가(毘播伽), *과보(果報), 응보(應報). 선업을 즐거움을 낳고 악업은 고통을 낳지만, 결과인 즐거움과 고통 자체는 선도 아니고 악도 아닌 *무기(無記)이므로, 원인과는 다른 성질이다. 한편 즐거움이나 고통이라는 무기 자체는 과보를 초래하지 않으므로, 원인인 선악과는 기능이 다르다. 원인인 선이나 악을 이숙인(異熟因), 결과인 즐거움이나 고통을 이숙과(異熟果)라고 한다. '원인은 선악이지만, 결과는 무기'(因是善惡 果是無記)라는 것이 곧 이숙인과 이숙과의 관계이다. | |
| |
이숙인력(二熟因力) : 부처님이 중생들을 교화하실 때, 대원력과 만행력 의 두가지 숙인(宿因)으로 하심. | |
| |
이승(二乘) : 부처님의 가르침, 또는 그 가르침을 실천하는 입장을 두 가지로 구분한 것. 승(乘)은 탈것이라는 뜻. ①*성문승과 연각승. 성문승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직접 듣고 *4제의 도리에 의해 깨닫는 사람들, 또는 그렇게 수행하는 입장. 연각승은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12인연의 도리를 관찰하여 깨닫는 사람들, 또는 그렇게 수행하는 입장. *삼승(三乘) 중에서 1승 이외의 나머지 2승. 소승과 대승. 성문과 보살. | |
| |
이시(二始) : 두가지 시작 즉, 부처님이 성도 하시고 정에 들어 화엄경을 설하심이 대승의 시작이고, 녹야원에서 아함경 설하신 것이 소 승의 시작이라는 뜻. | |
| |
이시죽반(二時粥飯) : 승려들은 옛날에 아침에는 죽, 낮에는 밥으로 하루 두끼만을 먹었음을 말함. | |
| |
이심전심(以心傳心) : 스승과 제자간에 마음으로써 마음을 전하는 것. 특히 선종 사상을 대표하는 구절로서 널리 회자된다. 그 유래는 석가모니와 마하가섭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설화에서 비롯된다. 어느 날 수많은 대중이 모여 있는 가운데 석가모니는 말없이 꽃 한 가지를 들었다. 그러자 석가모니를 바라보고 있던 대중 가운데서 단 한 사람의 제자, 마하가섭만이 빙그레 미소 지었고, 석가모니는 마하가섭에게 말없이 미소로 화답했다고 한다. 이처럼 다만 서로 미소하며 알아채는 마음의 경지, 그것이 이심 전심이다. 어떠한 군더더기 말도 필요 없는 특별한 불법을 전수받은 마하가섭은 불법 계승의 서천(西天) 제1조로 꼽힌다. | |
| |
이십오보살(二十五菩薩) : 염불 수행자를 보호하는 25보살.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 약왕보살. 약상보살. 보현보살. 법자재보살. 사자후 보살. 다라니보살. 허공장보살. 불장보살. 보장보살. 금장보살. 금강장보살. 산해혜보살. 광명왕보살. 화엄왕보살. 중보왕보살. 월광왕보살. 일조왕보살. 삼매왕보살. 정자왕보살. 대자재왕보 살. 백상왕보살. 대위덕왕보살. 무변신보살 |
'卍-불법을만나고 > 卍-불교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향인(音響忍)-의상(義湘) (0) | 2017.05.12 |
---|---|
의정-이빈(二貧) (0) | 2017.05.12 |
이십오유(二十五有)-이체(理體) (0) | 2017.05.12 |
이타행(利他行)-인다라(因陀羅) (0) | 2017.05.12 |
인도(人道)-인왕(仁王) (0) | 2017.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