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필차(優畢叉) : 불고불락(不苦不樂)을 말합니다. 평등(平等), 사(捨,) 부쟁(不諍)이라고 번역합니다. 천태종에서는 공(空)과 유(有)의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중도관(中道觀)을 뜻합니다. | |
| |
우화서(雨華瑞) : 법화 6서(瑞) 가운데 제3서입니다. 세존께서 <법화경>을 설하려고 삼매에 드셨는데 하늘에서 꽃이 비오듯 쏟아졌다고 하여 이렇게 부릅니다. | |
| |
운당(雲堂) : 승당(僧堂)을 말합니다. 운수(雲水)의 수행도장입니다. 대중들이 많이 모이는 것을 구름에 비유한 것입니다. 죽은 사람의 화상(畵像)이나 위패를 모시고, 그 원주(願主)의 명복을 빌던 법당입니다. 삼국시대에도 원당이 있었는지 기록상으로는 확실치 않으나, 신라에 원당전(願堂典)이란 관청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이미 원당이 있었으리라 추측됩니다. 고려 때에는 크게성행하였습니다. <요약> | |
| |
운문삼구(雲門三句) : 수행승을 이끌기 위해 사용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화두를 말합니다. | |
| |
운문육불수(雲門六不收) : 부처님의 본체란 어떤 것이냐고 묻자 운문화상이 "너무 커서 6대(地, 水, 火, 風, 空, 識)로도 담을 수 없는 것이다"하였습니다. 육불수(六不收)는 법신이란 6대로도 수용할 수 없는 광대 무변한 것이라는 뜻입니다. | |
| |
운수(雲水) : 운수승(雲水僧)의 준말로 회국수행(廻國修行)하는 승(僧)이라는 뜻입니다. 구름이나 물과 같이 한 곳에 머뭄이 없기 때문에 이렇게 부릅니다. 특히 선종에서는 거처를 정하지 않고, 스승을 찾아 수행을 하는 승려나 집들을 탁발하면서 각지를 행각(行脚)수행하는 수행승을 말합니다. | |
| |
운수(雲水) 생활 : 선승(禪僧)들이 물이나 구름처럼 한곳에 집착하지 않고 정처 없이 행각(行脚)하는 것. 아무 뜻업이 이리저리 방랑하는 생활이 아니라 선지식(善知識)을 찾거나, 만행(萬行)을 통한 구도의 행각을 뜻한다. | |
| |
운판(雲版) : 청동으로 된 판을 구름모양으로 만든 것을 말함 허공에 떠돌아다니는 모든 것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울림 참선을 하는 여러 사람들에게 끼니때를 알리기 위해서 울리기도 함 | |
| |
운판(雲版) : 선종에서, 종각에나 부엌에 달아 놓고 대중에게 끼니때를 알리는 신호로 치는 구름 형상으로 생긴 철판. 청동이나 쇠로 구름 모양을 본따서 만듬. | |
| |
원(願) : 구하는 것을 정하고, 그것을 얻으려고 기원하고 구하는 것을 뜻합니다. |
'卍-불법을만나고 > 卍-불교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왕(龍王)-우바이 (0) | 2017.05.12 |
---|---|
우바이(優婆夷)-우파제사(優婆提舍) (0) | 2017.05.12 |
원각(圓覺)-원륜(願輪 ) (0) | 2017.05.12 |
원리(遠離)-원음(圓音) (0) | 2017.05.12 |
원인논(原人論)-월광태자(月光太子) (0) | 2017.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