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卍-불법을만나고/卍-불교자료실

수법정행(隨法正行)-수온(受蘊)

by 회심사 2017. 5. 12.
수법정행(隨法正行) : 6정행(六正行)의 하나입니다. (가르침에 관한) 올바른 방법의 실천입니다. 흐트러지지 않는 마음과 도착(倒錯)이 없는 이해로, 지관(止觀)의 수습을 그 본질로 합니다. 정려(精慮)하고, 또 알려져야 할 법에 따라, 지(止)와 관(觀)의 수습을 본질로 하는 수행입니다.
수보리(須菩提) : 석가모니의 십대제자 중의 한 사람. 수부제(須扶提, 須浮帝), 소부저(蘇部底), 선길(善吉), 선현(善現). 사위성에 거주하는 상인이었는데, 사위성 근처에 건립하던 *기원정사가 완공된 것을 기념하는 석가모니의 설법을 듣고서 출가했다.

이 기원정사를 교단에 희사한 급고독(給孤獨) 장자가 그의 숙부이다. 공*의 뜻을 가장 잘 이해했다 하여 해공제일(解空第一) 또는 공생(空生)으로 불렸다. 교화 활동에서 외도로부터 비난.중상.박해를 받아도 결코 다투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으므로 무쟁제일(無諍第一)이라고 알려졌으며,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로부터 공양을 받았으므로 공양제일(供養第一)이라고 존경되었다. 대승불교의 반야경에서는 항상 그가 공의 지혜인 *반야바라밀을 설한 것으로 되어 있다.
수분각(隨分覺) : 첫째, 수는 어느 것인가란 뜻입니다. 어느 분만큼의 깨달음입니다. 일체의 사상을 고정적인 존재로서 파악하는 집착을 버리고, 일부분 일부분에 진여의 진상(眞相)을 증득해 가는 일입니다. 그 까닭에 수분각이라고 이름합니다. <기신론(起信論) 大 32권 576中> 둘째, 초지(初地)에서 등각(等覺)까지의 보살이 일분의 진리를 깨달았지만, 아직 깨달음이 완전하지 않은 것을 말합니다.
수불(竪拂) : 선종에서 사가(師家)가 수행승을 이끄는 수단으로 단순히 불자(拂子)를 세워 진리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라는 의미를 나타낸 것입니다.
수불(繡佛) : 또는 봉불(縫佛)이라고도 합니다. 자수를 한 부처님이나 보살의 도상(圖像)입니다. 옛날 인도·중국에서 생긴 기술로 우리나라에서도 불교도래와 동시에 기법이 전해집니다.
수상관(水想觀) : 먼저 청정한 물을 생각하며 다음에 물을 변화시켜 얼음이 되게 하고 얼음이 투명하게 빛나고 있는 것 만큼의 유리 대지를 관상합니다.
수순(隨順) : 남의 뜻에 순종함. 불교에서는 불.보살이 중생의 근기에 따르고 또한 중생이 불.보살의 가르침에 순종함을 말함.
수식관(數息觀) : 나고 드는 숨을 세어서 마음을 가라앉히는 관법으로 정정(正定)에 들어가기 위해 이을 닦는다.
수연진여(隨緣眞如) : 마음의 본성인 진여와 법성이 여러 가지 연에 따 라 작동하는 것.
수온(受蘊) : 수(受)를 5온의 하나로 삼은 것. 외부 대상으로터의 감촉을 받아들이는 정신 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