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취(三聚) : 중생의 근기를 세 부류로 구분한 것. 수도의 자세에 따라 사람을 3종의 무리로 구분한 것. *삼정취(三定聚). *아(我)와 *법(法)을 3종으로 구분한 것. 인연의 화합과 분리에 따라 생멸하는 유위취(有爲聚), 발생하지도 않고 소멸하지도 않는 무위취(無爲聚), 유위취와 무위취 중 어느 것에도 배당할 수 없는 비이취(非二聚). 유위취와 무위취는 법, 비이취는 아. 일체의 *유위법을 세 부류로 구분한 것. 물질인 색(色), 정신인 심(心), 물질과 정신 이외의 것인 비색비심(非色非心). *삼취정계의 줄임말. | |
| |
삼취정계(三聚淨戒) : 모든 대승을 포섭하는 세 가지 청정한 계법. 대승의 보살이 지켜야 할 계법으로서, 보살의 자세를 총체적으로 포괄한 것. 모든 계를 받아 지키는 *섭율의계(攝律儀戒), 모든 선법(善法)을 닦는 것을 규범으로 삼는 *섭선법계(攝善法戒), 모든 중생을 이롭게 하는 것을 규범으로 삼는 *섭중생계(攝衆生戒) 또는 요익유정계(饒益有情戒). 첫째와 둘째는 자신을 위한 것이고, 셋째는 타인을 위한 것. 또 첫째는 악을 타파하는 것이고, 둘째는 선을 실행하는 것. 모든 계법은 이 세 가지에 포섭되므로 '섭'이라고 하며, 이러한 계법들은 모두 청정하므로 '정계'라고 한다. | |
| |
삼학(계.정.혜) : 계율, 선정, 지혜의 준말. 이를 三學이라 이름한다. 戒는 身, 口, 意로 범하는 나쁜짓을 방지 하는 것. 定은 산란한 마음을 한 경계에 머물게 하는 것. 慧는 惑을 깨트리고 진리를 깨닫기 위한 사제, 십이인연 또는 진여, 실상을 관하는 것이다. 따라서 계정혜 삼학은 실천 방면에서도 불교의 모든 것을 포함하게 된다. 이 세가지가 서로 도와 증과(證果)를 얻는 것이므로 계에 의하여 정을 얻고 정에 이하여 지혜를 얻는다. 또는 불교경전을 삼학에 배당하여 經藏을 定, 律藏을 戒, 論藏을 慧로 분류하는 설도 있는데 이에는 異說이 있다. | |
| |
삼학(三學) : 1. 계 - 불살생 불투도 불음행 불망어 불음주 2. 정 - 마음을 한 곳으로 집중시키는 법을 닦는 선정 3. 혜 - 사성제를 관하여 번뇌를 끊은 무루의 경지 | |
| |
삼해탈문(三解脫門) : 3종의 선정(禪定), 즉 공(空) 해탈, 무상(無相) 해탈, 무원(無願) 해탈 등을 가리킴. | |
| |
상(相) : 상(相)은 표, 특징, 특성 또는 양상, 상태, 형상 등의 뜻으로 쓰이는 말로 때로는 양상이나 상태, 형태를 나타내는 말로도 쓰이고, 체(본체)나 용(작용)의 다른 말로 쓰이는 말로 볼 수 있고 알 수 있는 것의 모습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그 자체만이 가지고 있는 상을 자상(自相, 자상은 자성 또는 체와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합니다)이라고 하고, 다른 것에도 공통되는 상을 공상(共相)이라고 합니다. 그 밖에도 총상(總相, 총괄적이고 총체적인 대체의 상을 말합니다)과 별상(別相, 차별된 부부적 특수적인 상을 말합니다) , 동상(同相, 같은 상)과 이상(異相, 다른 상)의 2종을 말하기도 합니다 | |
| |
상견(常見) : 사람은 죽으나 자아는 없어지지 않으며 오온(五蘊)은 과거나 미래에도 상주불변하여 계속된다고 고집하는 잘못된 견해입니다 | |
| |
상구보리· 하화중생 (上求菩提· 下化衆生) : 우러러서는 깨달음을 구하고 엎드려서는 세상 사람들을 구하려고 하는 마음입니다. 대승의 보살행을 말합니다. | |
| |
상구보리하화중생심(上求菩提下化衆生心) : 우러러서는 깨달음을 구하고 엎드려서는 세상 사람들을 구하려고 하는 마음입니다. 대승의 보살행을 말합니다. | |
| |
상념(常念) : 늘 생각하는 것입니다. 항상 사유하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법화경> 보문품에 <만약 중생이 음욕이 많으면 항상 관세음보살을 생각하고 공경하면 문득 욕심에서 떠날 수 있다>하였습니다. 상념(常念) 은 정념(正念)이며, 이 정념에는 사(事)·이(理)의 2종이 있습니다. 사(事)의 상념은 밤과 낮 2시(時)의 행(行)·주(住)·좌(坐)·와(臥)에서 관세음의 위신력을 생각하여 잊지 않는 것입니다. 이(理)의 상념은 첫째, 장교(藏敎)의 상념입니다. 둘째, 통교(通敎)의 상념입니다. 셋째, 별교(別敎)의 상념입니다. 넷째, 원교(圓敎)의 상념 등 4교(四敎)에 각각 다름이 있습니다. |
'卍-불법을만나고 > 卍-불교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시전(三時殿)-삼악취(三惡趣) (0) | 2017.05.12 |
---|---|
삼업(三業)-삼천대천세계(三千大天世界) (0) | 2017.05.12 |
상도(常道)-상입(相入) (0) | 2017.05.12 |
상정진보살(常精進菩薩)-상호(相好) (0) | 2017.05.12 |
상호장엄(商號莊嚴)-생령좌(生靈座) (0) | 2017.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