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卍-불법을만나고/卍-불교자료실

불타(佛陀)와 불전(佛傳)-범천의 권청(勸請)

by 회심사 2017. 5. 2.


-범천의 권청(勸請)-
    1. 정각자의 고독

    붓다께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룬 직후의 상황들은 팔리어 <율장(律藏)> '대품(大品)'에 비교적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율장>에 의하면, 붓다께서는 성도 후 5주째 7일 동안은 라자야따나(Rajayatana) 나무를 떠나 아자빨라 니그로다(Ajapala Nigrodha) 나무로 다시 자리를 옮겨 깨달음의 희열을 즐기고 있었습니다. 이때 사함빠띠(Sahampati)라는 범천(梵天)이 나타나 세존께 법을 설하시도록 간청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저 유명한 '범천권청(梵天勸請)'의 설화입니다.

    그런데 다른 곳에서는 범천의 권청이 있기 직전의 상황을 묘사한 경전이 있습니다. <상응부경전(相應部經典)>의 '공경(恭敬, Garavo)이라는 경'이 바로 그것입니다. 이 경전에 묘사된 내용도 세존께서 완전한 깨달음을 얻은 후 다섯 번째 주에 일어난 일이라고 합니다. 이 경전에 깨달음을 이룩한 정각자의 고독을 표현한 부분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공경하고 존경해야 할 사람이 없다는 것은 괴롭다. 나는 어떤 사문이나 바라문을 존중하고 가까이해야 하랴."

    붓다께서 깨달음을 성취한 것은 더 없는 즐거움이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깨닫고 나서 주위를 둘러보아도 완전한 깨달음을 성취한 사람은 붓다 자신뿐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만약 같은 생각을 지닌 자가 있다면 흉금을 털어놓고 대화라도 나누고 싶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자신이 깨달은 진리를 토로할 대상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그때 무엇인지 모를 고독과 불안을 느꼈을 것이라고 추측됩니다. 이것을 마스타니 후미오(增谷文雄)는 '정각자의 고독'이라고 표현했습니다. 그때 붓다는 이렇게 생각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나는 차라리 내가 깨달은 법, 이 법을 존중하고 가까이하면서 살리라."

    이 대목을 한역 <잡아함경(雜阿含經)>에서는 범천의 입을 빌어 이렇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오직 바른 법이 있어서, 세존께서 스스로 깨달아 다 옳은 깨달음을 성취하였나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여래께서 공경하고 존중하며 받들어 섬기고 공양할 만한 것으로써, 그것을 의지해 살아 가셔야 할 것이옵니다.

    왜냐하면, 과거의 모든 여래 · 응등정각(應等正覺, 다 옳게 깨달은 이)도 바른 법을 공경하고 존중하며 받들어 섬기고 공양하면서 그것을 의지해 살았고, 미래의 모든 여래 · 응등정각(應等正覺)도 바른 법을 공경하고 존중하며 받들어 섬기고 공양하면서 그것을 의지해 살아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세존께서도 그 바른 법을 공경하고 존중하며 받들어 섬기고 공양하면서 그것을 의지해 살아가셔야 할 것이옵니다.?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별역잡아함경(別譯雜阿含經)>에서는 범천의 입을 빌리지 않고, 붓다께서 직접 다음과 같이 토로하고 있습니다. "일체 세간에 살고 있는 생류(生類) 중에서 계(戒, sila) · 정(定, samadhi) · 혜(慧, panna) · 해탈(解脫, vimutti) · 해탈지견(解脫知見, vimuttinanadassana)이 나보다 뛰어난 자가 있다면, 내 마땅히 가까이 하여 그에게 의지하고 공양·공경하겠다. 그러나 주변을 둘러보아도 세간의 인천(人天) · 마(魔) · 범(梵) · 사문(沙門) · 바라문(波羅門)에서는 발견할 수가 없다. 일체의 세간에서 계 · 정 · 혜 · 해탈 · 해탈지견이 나보다 뛰어난 자가 있다면 나는 의지할 것이다. 그렇지 못할 바에야 '내가 깨달은 법(法)'을, 내가 지금 마땅히 가까이 하고 공양·공경하며 성심껏 존중할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이것을 후세의 불교 용어로 표현하면, "법에 의지하고 사람에 의지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 '내가 깨달은 법'을 객관화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확립해 놓아야 할 필요성이 제기됩니다. 거기에서 설법이라는 과제가 새로이 그의 앞에 다가오게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범천의 권청

    붓다께서 설법하시기로 결심하기까지의 과정은 앞에서 소개한 팔리어 <율장>의 [대품]에 아주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여기서는 가능한 필자의 의견을 생략하고 문헌에 기록된 내용을 그대로 소개하고자 합니다.

    세존께서는 7일이 지난 뒤 삼매에서 깨어나셨다. 그리고 라자야따나 나무를 떠나 아자빨라 니그로다 나무로 가서 머무셨다.

    그곳에서 홀로 선정(禪定)에 잠기신 세존의 마음에는 이러한 생각이 떠올랐다. '내가 도달한 이 법은 깊고 보기 어렵고 깨닫기 어렵고, 고요하고 숭고하다. 단순한 사색에서 벗어나 미묘하고 슬기로운 자만이 알 수 있는 법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집착하기 좋아하여, 아예 집착을 즐긴다. 그런 사람들이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다."는 도리와 연기의 도리를 본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또한 모든 행(行)이 고요해진 경지, 윤회의 모든 근원이 사라진 경지, 갈애(渴愛)가 다한 경지, 탐착을 떠난 경지,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경지 그리고 열반(涅槃)의 도리를 안다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내가 비록 법을 설한다 해도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한다면 나만 피곤할 뿐이다.'

    그때 세존께서는 예전에 들어보지 못한 게송을 떠올리셨다.

    '나는 어렵게 도달하였다.
    그러나 지금 결코 드러낼 수 없다.
    탐착과 분노에 억눌린 자들은 이 법을 원만히 깨달을 수 없다.
    흐름을 거슬러 가기도 하고 미묘하고 깊고 보기 어렵고 섬세하니,
    탐착에 물든 자들이 어떻게 이 법을 보겠는가?
    어둠의 뿌리로 뒤덮인 자들이.'

    이와 같이 깊이 사색한 세존께서는 법을 설하지 않기로 하셨다.
    그때 사함빠띠(Sahampati)라는 범천이 자신의 마음으로 세존의 마음속을 알고서 이렇게 생각했다.

    '아! 세상은 멸망하는구나. 아! 세상은 소멸하고 마는구나. 여래 · 응공(應供) · 정등각자(正等覺者)가 법을 설하지 않으신다면.'

    그리하여 사함빠띠는 마치 힘센 사람이 굽혔던 팔을 펴고 폈던 팔을 굽히는 것처럼 재빠르게 범천의 세상에서 사라진 뒤 세존 앞에 나타났다.

    그는 한쪽 어깨에 상의(上衣)를 걸치고 오른쪽 무릎을 땅에 꿇은 다음 세존을 향해 합장하며 간청했다.

    "세존이시여, 법을 설하소서. 선서(善逝)께서는 법을 설하소서. 삶에 먼지가 적은 중생(衆生)들도 있습니다. 그들이 법을 듣는다면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법을 설하지 않으신다면 그들조차 쇠퇴할 것입니다."

    사함빠띠는 다시 게송으로 간청했다.

    "세존 이전의 마가다국에는 어지러운 법이 설해져 있었으니
    때묻은 자들이 사유한 것이었네.
    이제 세존께서 오셨으니 불사(不死)의 문을 여시어
    그 법을 듣고 때 없는 자들이 깨닫도록 하소서.
    지극히 현명한 분이시여,
    모든 것을 보는 분이시여,
    슬픔이 제거된 분이시여,
    산의 정상에 있는 바위 위에 오르면 주위에 있는 사람들을 볼 수 있습니다.

    그와 같이 법으로 이뤄진 누각 위에 올라서 태어남과 늙음에 정복당하고
    슬픔에 빠져 있는 사람들을 내려다보소서.
    영웅이시여,
    전쟁의 승리자시여,
    일어나소서.
    빚 없는 대상(隊商)들의 지도자처럼 세상을 다니소서.
    세존이시여, 법을 설하소서.
    아는 자가 있을 것입니다.?

    세존께서는 사함빠띠의 청을 들으신 뒤 그에게 말씀하셨다.

    "범천아, 나는 생각했다. '내가 도달한 이 법은 보기 어렵고 …… 열반의 도리를 본다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내가 비록 법을 설한다해도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한다면 나만 피곤할 뿐이다.'

    범천아, 그때 나에게 이런 게송이 떠올랐다.

    '나는 어렵게 도달하였다.
    ……
    이떻게 이 법을 보겠는가?
    어둠의 뿌리로 뒤덮인 자들이.'

    범천아, 이런 깊은 사색 끝에 나는 법을 설하지 않기로 하였던 것이다."

    (사함빠띠 범천은 다시 그리고 또다시 반복해서 세존께 간청하였습니다.)

    그러자 세존께서는 범천의 청이 지극함을 아시고는 중생에 대한 자비심을 일으켜 부처님의 눈[佛眼]으로 세상을 내려다보셨다. 그리고 참으로 여러 중생이 있음을 아셨다. 더러움이 적은 사람, 더러움이 많은 사람, 영리한 사람, 둔한 사람, 착한 사람, 악한 사람, 가르치기 쉬운 사람, 가르치기 어려운 사람, 그 중에는 후세와 죄과에 대해 두려움을 알고서 사는 사람, 후세와 죄과에 대해 두려움을 알지 못하고 사는 사람들이 있음을 보셨다.

    비유하면 연못의 연꽃들과 같으니, 그곳에는 푸른 연꽃, 붉은 연꽃, 흰 연꽃이 있다. 그들은 모두 물에서 태어나 성장하고 물의 보호를 받는데, 어떤 연꽃은 물에 잠긴 채 자라고 어떤 연꽃은 물의 표면에 있고 어떤 연꽃은 물 위로 솟아 나와 물에 젖지 않은 채 있다.

    그와 같이 세상을 내려다보니 참으로 여러 중생이 있었다. …… 그리하여 세존께서는 사함빠띠에게 게송으로 말씀하셨습니다.

    "귀 있는 자들에게
    불사(不死)의 문을 열겠으니
    죽은 자에 대한 근거 없는 제사는 그만두어라.
    범천아,
    나는 단지 피로할 뿐이라고 생각했기에
    사람들에게 덕스럽고 숭고한 법을 설하지 않았던 것이다.?

    사함빠띠는 세존이 설법을 허락하셨음을 알고는 공손히 절하고 오른쪽으로 돈 다음 그곳에서 사라졌다.

    이상에서 인용한 '범천권청'의 내용을 요약하면, 붓다께서 처음에는 설법을 망설였는데, 사함빠띠라는 범천이 나타나 붓다의 마음을 되돌려 마침내 설법을 결심하기에 이르렀다는 것입니다. 그 심리적 전환의 경위를 이 경은 '범천의 권청'이라는 신화적 수법을 통해 묘사하고 있습니다. 범천(Brahma)이란 인도인이 받들어 오던 신인데, 그 신이 붓다의 속마음을 알고 붓다를 예배하면서 설법을 하여 주시도록 권청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아름답고 구성면에서도 빈틈없는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일본의 불교학자 마스타니 후미오(增谷文雄)는 "붓다의 설법 결의는 결코 그러한 객관적인 계기로 이루어졌다고는 믿어지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무릇 고대인의 문학적 수법은 거의 심리 묘사를 무시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그들은 흔히 심리적 과정을 객관적 사건을 통해 묘사한다. 마음속에 나쁜 생각이 떠오르면 악마의 속삭임이라고 표현하고, 훌륭한 생각이 떠오르면 범천 같은 신을 등장시킨다. 그것이 불교 경전의 문학 형식의 상례이다. 그러면 이에 범천 설화의 양식으로써 묘사된 붓다의 설법 결의의 진상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그것을 푸는 열쇠 또한 앞에 든 '정각자의 고독'을 이야기한 경 속에 감추어져 있는 듯하다. 새로운 사상을 자기 혼자 지니고 있다는 것은 도저히 견딜 수 없는 일이리라. 그것을 어떻게든 남에게 알려서 동조를 얻고 싶어지리라. 인간이란 혼자서는 살 수 없는 사회적 동물이며, 붓다도 인간이기 때문이다."라고 했습니다. 이처럼 마스타니 후미오(增谷文雄)는 붓다의 설법 결의는 '범천권청' 때문이라기보다도 '정각자의 고독'에서 그 이유를 찾아야 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하여튼 붓다께서 범천의 간청에 의해서 최초로 설법을 하려고 결심한 '범천권청'의 설화는 그 실재성 여부를 떠나서 불교의 출발점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깊습니다. 즉 깨달음의 내용을 설법의 형식을 통해 객관화시키는 것은 깨달음만큼이나 중요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