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무차별(三無差別) : 심무차별∼ 마음의 체는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 며 차별이 없음. 불(佛)무차별:∼ 중생이 어리석음과 인과는 다 르지만, 그 체는 부처님과 차별이 없음. 중생무차별∼ 중생이 깨닫지는 못했어도 모든 부처님이 깨달으신 본체와 차별이 없음. | |
| |
삼문(三門) : 절의 정문을 세 해탈문에 비유해서 일컫는 말. 또는 교종 선종 율종을 아울러 일컫는 말. | |
| |
삼밀(三密) : 불교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꼽는 세 가지 업, 즉 신(身), 구(口), 의(意) 등의 세 가지 통로로써 짓게 되는 업을 기반으로 하여 수행을 쌓음으로써 성불(成佛)할 수 있다는 것. 특히 밀교(密敎)에서 중요시되는 수행 방법이다. 3밀 사상은 7세기경에서 인도에서 정립되어 점차 여러 나라로 퍼져 나갔다. 3밀 중 구밀(口密)은 진언(眞言)을 암송하는 수행법이며, 신밀(身密)은 몸으로 닦는 수행법으로서 특히 손으로써 상징적인 모양을 만드는 수인(手印)이 대표적이다. 의밀(意密)은 마음으로 관상(觀想)하는 것으로서, 불보살의 존상(尊像) 등을 그려 놓은 그림을 보면서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3밀은 동시에 함께 수행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즉 입으로는 진언을 암송하고, 손으로는 다양한 수인을 짓고, 마음으로는 불보살의 도상(圖像)을 염상(念想)하는 수행법을 말한다. | |
| |
삼배(三拜) : 존경하는 뜻을 표현할 때, 3번 절하는 것. 몸과 입과 생각 을 다 바친다고 3번 절함. | |
| |
삼백사십팔계(三百四十八戒) : 여자 승려(비구니)가 20세가 넘으면, 비구니 계를 받아야 하는데, 그 계의 수가 348개임. 때로는 341계, 350계일때도 있음. | |
| |
삼법인(三法印) : 一切皆苦(일체개고)가 1. 諸行無常 2. 諸法無我 3. 涅槃寂靜 (제행무상) (제법무아) (열반적정) | |
| |
삼법인(三法印) : 삼법인이란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사물의 본질적인 세 가지 특성(삼특상)입니다. 불교의 세 가지 근본교의를 말하며, 사성제와 함께 부처님의 가장 기본적인 가르침이어서, 외도의 모든 이론과 불교를 구별해주는 가장 기본적인 입장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그 누가 아무리 부처님의 입을 빌린다고 할지라도 이 삼법인의 내용에 맞지 않으면 그것은 불교가 아니라고 단정할 수 있는 척도이기도 합니다. 만약 이것이 포함되면 불교이고, 포함되지 않으면 불교가 아니라고 일컬어집니다. 삼법인의 인(印)이란 도장과 같이 이것이 불교임을 확인하게 되는 진리라는 뜻입니다.<요약> | |
| |
삼보(三寶) : 삼보(三寶)는 말 그대로 불교인이 의지하는 세 가지 보배입니다. 세 가지는 부처님(佛)과 부처님이 가르치신 진리(法) 그리고 부처님을 따르는 스님들(僧)입니다. 즉, 부처님·법( 法: 진리)·승단입니다.<요약> | |
| |
삼보리(三菩提) : 삼보디의 음역. 정등각(正等覺). ⇒ 정각(正覺). ⓟ ⓢ ⓣ ⓔ/ 세 가지의 *보리. 성문(聲聞)의 보리, 연각(緣覺)의 보리, 제불(諸佛)의 보리 등을 말함. | |
| |
삼보사찰(三寶寺刹) : 삼보(三寶)는 부처님(佛)과 부처님이 가르치신 진리(法) 그리고 부처님을 따르는 스님들(僧)입니다. 절에는 어느 절이나 불교에서 보배로 삼는 삼보가 샂추어져 있으나, 그 중에서도 불법승 삼보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절을 삼보사찰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삼보사찰은 통도사 (佛寶), 해인사 (法寶), 송광사 (僧寶) 입니다. |
'卍-불법을만나고 > 卍-불교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교(三敎)-삼라만상(森羅萬象) (0) | 2017.05.13 |
---|---|
삼락(三樂)-삼명육통(三明六通) (0) | 2017.05.13 |
삼사칠증(三師七證)-삼시년한(三時年限) (0) | 2017.05.12 |
삼시전(三時殿)-삼악취(三惡趣) (0) | 2017.05.12 |
삼업(三業)-삼천대천세계(三千大天世界) (0) | 2017.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