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락(三樂) : 첫째, 천락(天樂) . 열 가지 선업을 닦은 사람이 천상에 태어나 갖가지 수승한 즐거움을 받는 것입니다. 둘째, 선락(禪樂) . 수행하는 사람이 모든 선정에 들면 적정(寂靜)의 즐거움을 받는 것입니다. 셋제, 열반락(涅槃樂) 몯느 혹을 끊고 열반을 증득하면 생(生), 멸(滅), 고(苦), 락(樂)이 모두 없어지므로 이것을 구경락(究竟樂) 입니다 | |
| |
삼락차(三落叉) : 인도의 수량 단위. 10만(萬), 또는 3억(億)에 해당. 밀교에서는 다라니를 염송하는 수를 가리킴. 낙차는 라크샤의 음역으로서, 상(相) 또는 견(見)을 뜻하므로, 삼락차는 3상(相)을 가리킴. 신(身), 구(口), 의(意), 3업의 양상을 보는 것을 뜻하기도 함. | |
| |
삼론(三論) : 중국의 삼론종을 성립시킨 세 가지 논서. 용수(龍樹)가 지은 중론(中論)과 십이문론(十二門論), 용수의 제자인 제바(提婆)가 지은 백론(百論). 세 논서는 공통적으로 일체의 법이 *공임을 설한다. 중론에서는 생성과 소멸, 절멸과 영원, 통일과 다양, 오는 것과 가는 것이라는 여덟 가지를 부정하면서, 생과 멸 등의 양 극단을 떠나 어느 것에도 집착하지 않는 *중도를 설한다. 모든 것은 인연에서 생긴 것이므로 그 자체에 고유한 본성은 없으며 공이라고 설하는 것이 핵심이다. 중론의 강요서인 십이문론은 대승의 공관을 12장에 걸쳐 해설한다. 대승을 신봉하는 사람들의 잘못된 견해를 바로잡는 데 주력한다. 백론은 중론을 계승하여 외도가 주장하는 바를 논파함으로써 대승의 공.무아설을 확고히 드러낸다. | |
| |
삼론종(三論宗) : 중국 불교의 13종의 하나. 중론(中論), 십이문론(十二門論), 백론(百論)이라는 세 논서를 으뜸으로 삼아 불교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중국 불교의 한 전통. 세 논서를 번역한 구마라집을 종조(宗祖)로 삼는다. 이후 도생(道生), 담제(曇濟), 도랑(道朗), 승전(僧詮), 법랑(法朗)을 거쳐 수나라의 길장(吉藏)에 이르러 크게 발전하였다. 길장은 *2제(諦)와 *8불(不)의 이치를 불교의 궁극적 사상으로 삼고, 파사즉현정(破邪卽顯正)이라고 하여, 다른 종파들이 내세운 주장의 편집(偏執)을 깨뜨리는 것이 그대로 *중도의 진리를 드러내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 |
| |
삼륜(三輪) : 받는 사람, 받는 물건, 주는 사람 등를 가리 킴. | |
| |
삼마지(三摩地) : 정정(正定)의 경지. 모든 생각을 버리고 마음을 가다듬어 한곳에 머물게 하여 움직이거나 흐트러지지 않는 상태. | |
| |
삼만타발다라(三曼陀魃陀羅) : 사만타바드라의 음역. 석가모니의 협시 보살 중 하나. 석가 여래의 오른쪽에 있으면서 부처의 진리, 선정, 실천 등의 덕을 맡고 있다. 문수 보살과 함께 여러 보살들 중에서도 으뜸을 차지하며, 부처님의 부촉을 받들고 중생 제도를 돕는 역할을 한다. 보현 보살은 중생들의 목숨을 길게 연장시켜 주는 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보현 연명(延命) 보살, 또는 연명 보살이라고도 한다. 그 형상은 다양하지만 대체로 흰 코끼리의 등에 앉아서 합장하거나 연꽃을 든 모습을 하고 있다. 사자를 타고 앉은 문수 보살과 짝을 이루어 봉안되는 것이 상례이며, 때로는 동자상의 형태로 조성되기도 한다. 그런 경우에는 문수 동자와 함께 보현 동자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 |
| |
삼매(三昧) : 삼매(Samadhi)는 선(禪) 곧 디야나(dhyana)의 다른 이름이며, 등지(等持), 정(定), 정정(正定), 정의(定意), 조직정(調直定), 정심행처(正心行處)라고 번역하고 그 뜻은 마음을 한 곳에 둔다는 뜻입니다.<요약>또 일반적으로 수행에 의해 마음이 흩어지고 어지러운 것을 멈추게 하므로 편안하고 조용한 상태로 되는 것을 삼매(三昧)라고 하고, 마음이 이 삼매의 상태에 이르면 바른 지혜가 생기므로 진리를 깨닫는다고 합니다. 이 삼매를 수행을 통해 얻어 불타 등의 성경(聖境)을 눈앞에서 보는 것을 삼매발득(三昧發得), 발정(發定)이라고 합니다. | |
| |
삼명(三明) : 세 가지의 신통. 숙명통(宿命通), 천안통(天眼通), 누진통(漏盡通), 또는 숙주지증명(宿住智證明), 사생지증명(死生智證明), 누진지증명(漏盡智證明) 등이라고도 함. 아라한의 경우에는 3명(明), 부처의 경우에는 3달(達)이라 하여 구분하기도 함. | |
| |
삼명육통(三明六通) : 부처님과 아라한이 가진 6가지 지혜광명의 신통이 며, 이로서 어둠과 어리석음을 깨트린다. 숙명통 천안통 누진 통을 3명 또는 3달이라 하고, 여기에 신족통, 천이통, 타심통을 합쳐서 6신통이라고 한다. 숙명통(宿命通)∼ 자신과 중생의 과 거 생을 아는 지혜. 천안 통(天眼通)∼ 멀고 가까움에 상관없이 중생들을 살펴보는 지혜. 누진통(漏盡通)∼ 번뇌를 제거하는 능력(부처님만이 갖추심). 신족통(神足通)∼멀고 가까움에 상관 없이 원하는 곳에 찰나간에 나타나는 능력. 천이통(天耳通)∼거 리나 소리의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소리를 듣는 능력. 타심통 (他心通)∼남의 마음을 거울처럼 들여다보고 아는 능력. |
'卍-불법을만나고 > 卍-불교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염송(散念誦)-삼관(三觀) (0) | 2017.05.13 |
---|---|
삼교(三敎)-삼라만상(森羅萬象) (0) | 2017.05.13 |
삼무차별(三無差別)-삼보사찰(三寶寺刹) (0) | 2017.05.12 |
삼사칠증(三師七證)-삼시년한(三時年限) (0) | 2017.05.12 |
삼시전(三時殿)-삼악취(三惡趣) (0) | 2017.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