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卍-불법을만나고/卍-불교자료실

산염송(散念誦)-삼관(三觀)

by 회심사 2017. 5. 13.
산염송(散念誦) : 산란한 마음으로 염송하는 것입니다. 자륜(字輪)을 관(觀)하는 정염송(定念誦) 에 대하여 산염송(散念誦) 을 말합니다.
산타나경(散陀那經) : 산타나는 색리어. 거사 이름. 내용은 산타나 거사가 니구타의 범지가 있는 곳에 갔는데, 범지가 부처님을 헐뜯으니 부처님이 그곳에 이르러 고행의 정불정을 설하여 범지를 주복시킨 것.
살생(殺生) : 살아 있는 것을 죽이는 것입니다. 생명있는 것의 생명을 살해하는 것입니다. 4가지 악사(惡事)가운데 하나입니다. 또 10악의 하나입니다. 이것은 가장 무거운 죄의 하나이므로 불교에서는 승려에게도 세속인에게도 모두 이것을 금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승에서는 이;것을 중시하여 살생금단(殺生禁斷)을 강조합니다. 방생은 그 하나의 표시입니다.
살생금단(殺生禁斷) : 살생을 금하는 것입니다. 일정한 시간, 장소에 한해서 짐승, 물고기, 새 등의 포획, 살생을 금하는 것입니다.
살타파륜보살(薩陀波倫菩薩) : 이 보살은 꿈속에 동방의 반야바라밀대법이 있음을 듣고 그 법을 구하기 위하여 동쪽으로 향했다. 건타월국에 와서 담무갈보살을 만나 그 법을 받았다고 한다.
삼각(三覺) : 깨달음의 세 가지 종류. 1. 자각(自覺) : 스스로 깨달음을 얻은 내용. 2. 각타(覺他) : 다른 사람도 깨달음을 얻게 하는 작용. 3. 각행(覺行) 궁만(窮滿) : 깨달은 내용과 작용을 두루 원만하게 갖추어 수행해 나가는 것. 이와 같은 3각은 석가모니의 깨달음과 비교하여 분류한 것인데, 자각은 범부와, 각타는 성문과 연각 즉 2승(乘)과, 각행 궁만은 보살과, 각각 대비하여 설명한 것이다. 본각(本覺), 시각(始覺), 구경각(究竟覺) 등 세 가지를 말함.
삼계(三界) : 첫째, 불교의 세계괸으로 중생이 왕래하고 거주하는 세가지 세계의 뜻입니다.

세가지 미혹한 세계입니다. 중생은 ·태어나서 죽어 윤회하는 영역으로서의 세게의 세계입니다. 즉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의 3가지입니다. 생물이 사는 세계전체입니다. 생사유전하는 미혹의 세계를 세단계로 나눈 것입니다.

우리들의 생사유전하는 세계는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 의 세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욕계(欲界)는 가장 밑에 있고 음욕, 식욕(食慾)의 2개의 욕심을 갖는 생물이 사는 장소입니다. 욕심이 번성한 세게입니다. 이 가운데에는 지옥, 아귀, 축생,수라, 인간, 천상의 육취( 또는 6도)가 있고 욕계(欲界)의 천상(神들)을 육욕천(六欲天)이라고 합니다.

(2) 색계는 욕계위에 있고 음욕과 식욕을 여윈 생물이 사는 장소입니다. 여기는 절묘한 물질(色)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색계라고 합니다. 욕심을 떠난 깨끗한 세계입니다. 사선천(四禪天)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것을 나누면 17천이 됩니다.

(3)무색계(無色界)는 최상의 영역으로 물질을 초월한 세게입니다. 정신만이 존재합니다. 고도의 정신적인 세계. 물질을 싫어해 여의어 사무색정(四無色定)을 닦은 사람이 태어나는 장소입니다. 그곳의 사람들은 훌륭한 요가에 들어 있습니다. 이 또한 천계(天界)에 속하지만, 이곳의 최고 장소인 비상비비상(非想非非想) 처(處) 천을 유정천(有頂天)이라 칭합니다.

이러한 구분은 신화적잊 분류이기도 하지만 원래 사람의 선정(禪定) 즉 사람들의 정신을 조용하게 하는 수양의 발달의 단계를 나타냅니다.
삼고(三苦) : 첫째, 생존하고 있는 것의 3가지 고통입니다. 첫째, 고고(苦苦)는 좋아하지 않는 대상으로부터 느끼는 고통, 둘째, 행고(行苦) 세상의 변화를 보고 느끼는 고통, 셋째, 괴고(壞苦) 는 바람직합 것이 파괴됨으로서 느끼는 고통을 말합니다.
삼공(三空) : 3해탈문, 즉 공(空) 해탈, 무상(無相) 해탈, 무원(無願) 해탈 등을 가리킴. 삼해탈문(三解脫門). 아공(我空), 법공(法空), 구공(俱空) 등 세 가지. 보시를 행할 때, 보시하는 사람, 보시를 받는 사람, 보시물 등 세 가지가 모두 공한 것을 말함.
삼관(三觀) : 삼제의 진리를 관하는 것입니다. 원교의 원융삼제를 관하는 것을 삼제원융관이라 하고, 중생의 한 생각이 그대로 원융삼제라고 합니다. (一心三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