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卍-불법을만나고/卍-불교자료실

보리심(菩提心)-보살승(菩薩乘)

by 회심사 2017. 5. 13.
보리심(菩提心) : 더없이 높고 평등한 깨달음의 마음. 불과(佛果)를 얻기 위해 불도를 수행하는 마음.
보문(普門) : 관세음보살이 중생들을제도하기위해 넓고 큰 방편문(方便門)을 시현(示現)하는것처럼 다양한 방편으로 중생들을 제도하라.는뜻
보문(普門) : 아미타 3존의 하나인 관세음의 별칭.
보비관음(普悲觀音) : 자비를 세계에 널리 펼친다는 의미의 관세음보살이다. 33신 중의 대자재천신으로 나투며 양 손을 법의에 감추고 산 위에 서 있다.
보살(菩薩) : 보살이라고 하면 흔히들 열성적으로 절을 찾는 "아주머니 신도"를 떠올리곤 한다.
이는 절을 찾는 신도 중 그 숫자가 압도적으로 많은데다 열성적으로 활동하는 부인네들이 자주 눈에 띈 탓에 빚어진 오해이기 쉽다.

그러나 산스크리트어 합성어인 "보살"은 "깨달음을 구하여 수행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남녀와 연령을 뛰어넘은 불교의 이상적 인간상을 일컫는 용어다.

여기에 좀 더 살을 붙이자면 "지혜와 덕성과 행동이 모두 뛰어나 현재에는 아직 부처가 아니지만 반드시 부처가 되도록 확정돼 있는 후보자"정도의 뜻이 된다.

특히 대승불교에서는 자신을 구제하기에 앞서 남을 먼저 구제하는 이타행을 실천하는 자,그리하여 무수한 중생을 완전한 열반으로 이끄는 자가 보살이라고 강조한다.

이타를 추구하는 태도와 실천 자체가 곧 자신을 구제하는 길이기도 하다.
이런 이타의 강조는 이미 깨달음을 얻은 보살이 모든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이 세상에 출현한다고 하는 다양한 보살신앙-관세음보살 지장보살 미륵보살(사진) 등-을 낳기도 했다.

그러고 보면 타인에 대한 관심과 어렵고 약한 이들에 대한 동정심,자식들과 가족을 위한 인내와 헌신 등으로 대표되는 아주머니들의 모습은 "보살"의 원 뜻에 가장 가깝게 다가서 있기도 하다
보살계(菩薩戒) : 보살이 받아 지녀야 할 계율. 악을 저지하고 선을 실행하며 남을 이롭게 하는 세 방면을 포괄적으로 강조하는 *삼취정계(三聚淨戒)를 가리키기도 한다. 범망경에서 설하는 범망계(梵網戒)와 유가사지론에서 설하는 유가계(瑜伽戒)가 이것을 대표한다.
보살계본(菩薩戒本) : 당 나라 때 현장(玄 )이 번역한 문헌 이름. 유가사지론 중에서 대승 보살의 계를 뽑아서 묶어 놓은 것. 1권으로 이루어짐. 유가계본(瑜伽戒本), 보살계경(菩薩戒經). 북량(北 )의 담무참(曇無讖)이 번역. 보살지지경에 나오는 대승 계율을 뽑아서 모은 문헌이다. 대승 보살이 지켜야 할 금계(禁戒) 조목을 적은 것.
보살마하살(菩薩摩訶薩) : 위없는 보리를 구하여 대승을 수행하는 사람입니다.
보살상(菩薩像) : 보살을 조각이나 그림으로 형상화한 것입니다. 보살이란 성불하기 위하여 수행에 힘쓰는 이의 총칭인데 지장보살(地藏菩薩)과 같이 중생 지도를 위해 영원히 성불하지 않는 보살도 있으므로 보살상은 대승볼교의 특징을 상징하는 대표적 조형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살상에 친근감을 느끼는 불교도들이 많습니다. 보살상은 숭교한 대장부나 혹은 온화한 여인의 모습으로 표현되는데 보관(寶冠)× 영락(瓔珞) 등으로 장엄합니다. 보살상은 구제할 중생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만들어졌으며 불상처럼 단독으로 예배되거나 불상의 협시(脇侍)로 봉안되었습니다
보살승(菩薩乘) : 보살의 실천법. 많은 사람을 구제하고 성불하게 하는 데 주력하는 보살로서 불법을 수행하고 실천하는 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