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卍-불법을만나고/卍-불교자료실

노자(老子)-뇌(惱)

by 회심사 2017. 5. 13.
노자(老子) : 노장(老莊) 사상의 주창가로서 무위자연(無爲自然)을 주장했음. 중국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던 경칭(敬稱)의 일종.
노파심(老婆心) : 노파가 자식이나 손자를 애지중지하듯이, 스승이 수행지에게 나타내는 자비심입니다. 친절심(親切心)이라고도 하며, 줄여서 파심(婆心)이라고도 합니다.
노행자(盧行者) : 中國(중국)의 禪宗(선종)의 6조인 慧能(혜능)스님을 칭한다.
그의 俗性(속성)은 盧氏요 지금의 廣東省(광동성) 肇慶府(조경부) 新興(신흥)에서 낳다.
세살때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집이 가난하여 공부하지 못하고 날마다 나무를 팔아서 어머니를 봉양하였다.

24살 때에 장터에서 어떤 스님이「金剛經」읽는 소리를 듣고 마음에 깨친 바가 있어 그 스님의 지시로 양자강을 건너 黃州府(황주부) 黃梅山(황매산)에 가서 五組 弘忍大師(5조 홍인대사)를 뵙고 그가 시키는데로 여덟 달 동안이나 방아를 찧고 있었다.

五祖 스님이 法을 傳하려고 제자들의 공부를 시험할 때 敎授師(교수사)인 神秀(신수)는 다음과 같은 글을 지었다.

즉『身是菩提樹 心如明鏡臺 時時動拂拭 勿使惹塵埃:(신시보제수 심여명경대 시시동불식 물사야진애)-(몸은 보리의 나무, 마음은 밝은 거울, 부지런히 닦아서, 티끌이 묻지 않도록)』라 하였다. 盧行者는 이글을 보고『菩提本無樹 明鏡亦非臺 本來無一物 何處惹塵埃(보제본무수 명경역비대 본래무일물 하처야진애)-"보리는 본래 나무가 아니요 거울 또한 대(臺)가 아니다. 본래 한 물건도 없느데 어디에 티끌이 묻으랴")』라고 지었다.

五祖스님은 그를 印可하고 부처님의 法統(법통)을 標信(표신)하는 衣鉢(의발)을 전해 주었다. 그는 시기하는 사람들을 피해 남방으로 돌아가 18년 동안 숨어서 지내다가 비로소 중이 되어 韶陽(소양)의 曹溪山(조계산)에서 禪法을 크게 일으키니 그 法을 이은 第子만 40여명이 되었다. 서기 713년(신라 성덕왕12년)에 76세로 입적하였다.
녹녀부인(鹿女夫人) : 연화부인. 잡보장경일에「연화부인과 녹녀부인은 따로 기록되었으나 사유와 인연이 모두 같고 다만 나라 이름이 다르다」하였다.
녹두범지(鹿頭梵志) : 증일아함경20에 사는 여러 해골을 두드려 보고 각기 그 태어난 곳을 알았으나 다만 나한의 해골을 두드려 보고는 그 태어날 곳을 몰랐다고 한다. 기역의 사례와 서로 같다.
녹모당(鹿母堂) : 기원 정사 동쪽에 자리했던 강당의 이름. 사위성의 미가라(彌伽羅) 장자 부부가 불교 교단을 위해 봉헌하였음.
녹야원(鹿野苑) :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뒤 처음으로 이 곳에서 다섯 비구들을 상대로 설법하셨습니다. 녹원(鹿苑) 즉 사슴 동산 이라고도 합니다.
논의(論議) : 우파데샤의 번역. 경론의 이치를 분별하여 밝히는 것.
논장(論藏) : 3장(藏) 중의 하나. 경장(經藏)과 율장(律藏)에 대하여, 논장은 성현(聖賢)이 불법의 뜻을 해석하고 논술한 것을 가리킴.
뇌(惱) : 심소(心所) 중의 하나. 악행(惡行)인 줄 알면서도 집착하여 행하고 나서 스스로 고통스러워하는 마음의 작용. 구사론에서는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중의 하나로 꼽는다. 과거의 일을 회상하거나, 현재의 사물(事物)로 인하여 스스로 고통스러워하는 마음의 작용. 유식(唯識)에서는 20수번뇌(隨煩惱) 중의 하나로 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