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卍-불법을만나고/卍-불교자료실

재가 신도의 신행 방법은 ?

by 회심사 2017. 4. 24.


卍-재가 신도의 신행 방법은 ?-卍
    재가신도란 가정을 떠나지 않고 법을 믿고 따르는 사람을 일컫는 말입니다.

    옛 범어로는 남자신도를 우파사카(우바새 : Upasaka), 여자 신도를 우파시카(우바이 : Upasika)라고 하며 한문으로는 청신사(淸信士), 청신녀(淸信女) 또는 신남(信男), 신녀(信女) 등 여러 가지 표현이 있습니다,

    원시불교 시대부터 출가대중인 비구, 비구니와 우파사카 우파시카의 사부대중으로서 불교의 교단을 이루어 왔습니다.

    그러나 대승불교가 일어난 1세기 경 중국에서는 (보살)이라는 새로운 사상이 생기면서 사부대중의 개념도 달라졌습니다.

    즉 불법이 출가자라는 특수 계층의 자리(自利)만을 탐구하던 소승적 한계를 뛰어넘어 일반 대중과 고락을 같이 해야 한다는 대승사상에 따라 재가신도인 우파사카. 우파시카도 똑같은 수행자이므로 출가. 재가의 구분없이 (보살)이라고 일컫게 된 것입니다.

    그러다가 출가보살과 재가보살로 구분하게 되었습니다. 이 재가보살이 곧 오늘날의 재가신도인 것입니다.

    이처럼 각기 다소의 개념적인 차이는 있으나 결국은 불법을 믿고 따르는 제자라는 의미로는 출가승려와 재가신자의 구분은 있을 수 없다고 봅니다.

    서구 종교의 성직자처럼 신(神)과 신자를 연결시켜 주는 중간적 존재라는 개념은 불교에는 없습니다. 불교에서의 스님이란 세속의 생활을 떠나 수행하는 사람이고 큰 법을 얻으면 세속의 중생들을 교화하겠다는 원력을 세운 불제자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본 재가신자는 과연 어떻게 신앙생활, 즉 신행(信行)을 닦아야 하는지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무엇보다도 먼저 석존의 가르침인 불법을 익히 배우고 그 가르침에 따라 살아가겠다는 신념이 중요합니다.

    확고부동하게 믿는 마음(決定心)으로 불법을 알게 된 것을 기뻐하고(歡喜心) 그 기쁨을 모든 이웃과 함께 하고자 하는 마음(廻向心)이 곧 불교적 신행의 골격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법회에 빠짐없이 참고, 집에서도 아침 저녁으로 예불과 독경을 하거나 염불, 주력, 참선을 생활화하고, 때로는 사암을 찾아가 108참회 , 기도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그리고 6바라밀을 지극하게 실천함은 물론 8정도에 따라 청정하고 건실한 생활을 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이런 신행이 깊어지면 자연스럽게 대사회봉사 등 이웃을 위해 보살행을 하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마음은 곧 부처님에 대한 끊임없는 공경심이며 이런 공경심은 자연스럽게 악업(惡業)을 멀리하는 선한 인간이 되는 것입니다.

    '卍-불법을만나고 > 卍-불교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계[불음주계]  (0) 2017.04.24
    삼귀의  (0) 2017.04.24
    원력 (願力)과 서원(誓願)  (0) 2017.04.24
    탑돌이의 유래와 의미  (0) 2017.04.24
    향을사르고 촛불을켜는 의미  (0) 2017.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