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가지 전도된 견해
“생각으로 헤아릴 수 없는 것이 괴로움의 소멸이라는 진리입니다.
모든 중생의 심식(心識)으로 헤아릴 수 있는 대상을 넘어서 있는 것이며, 또한 모든 아라한, 벽지불의 지혜가 미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비유하면, 마치 태어나면서부터 앞을 못 보는 사람은 갖가지 형상을 보지 못하는 것과 같고, 이제 태어난 지 7일되는 아기가 태양을 보지 못하는 것과 같습니다.
괴로움의 소멸이라는 진리 역시 이와 같아서 모든 범부의 심식으로 헤아릴 수 있는 대상이 아니며, 또한 이승(二乘)의 지혜가 미칠 수 있는 경계도 아닙니다.
범부의 심식이라는 것은 극단적인 견해[二見]로 뒤바뀐 것이며, 모든 아라한, 벽지불의 지혜는 곧 청정합니다.
치우친 견해[邊見]라는 것은, 범부가 몸과 마음의 다섯 가지 구성 요소[五受陰]에 대하여 아견, 망상, 집착으로 두 가지 소견을 일으키는 것을 치우친 견해라 이름하는 것이니, 이른바 상견(常見)과 단견(斷見)입니다. 모든 지어진 것은 무상하다고 보는 것은 단견이니 올바른 견해가 아닙니다. 열반은 영원하다고 보는 것은 상견이니 올바른 견해가 아닙니다.
모두 망상으로 인해서 이러한 견해를 짓는 것입니다.
신체와 여러 가지 감각 기관에 대하여 분별하고 사유하되 현재의 존재가 부서짐을 보면서도 윤회 생존의 계속함[有相續]을 보지 못하여 단견을 일으키는 것은 망상으로 인해서입니다. 마음의 상속에 대하여 어리석은 사람이 알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하며, 찰나 사이의 의식 작용에 대하여 상견을 일으키는 것도 망상으로 인해서입니다.
이같은 망상의 견해가 그같은 뜻에 대하여 지나치거나 모자라서 다르다는 분별[異相分別]을 짓거나, 끊어졌다고 하거나 영원하다고 생각하여서 전도된 중생은 몸과 마음의 다섯 가지 구성 요소에 대하여 무상한 것을 영원하다고 생각하고, 괴로움인데 즐거움이 있다고 생각하고, 무아를 아(我)라고 생각하고, 부정한 것을 청정하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아라한, 벽지불의 청정한 지혜라는 것은 모든 앎의 경계 및 여래의 법신에 대하여는 본래 보지 못한 바입니다. 어떤 중생이 부처님 말씀을 믿기 때문에 영원하다는 생각, 즐겁다는 생각, 나라는 생각, 깨끗하다는 생각을 일으키는 것이니, 전도된 견해가 아니며 올바른 견해라고 이름하는 것입니다.”
올바른 견해
“왜냐하면 여래의 법신은 곧 완전한 상주[常波羅蜜], 완전한 기쁨[樂波羅蜜], 완전한 아[我波羅蜜], 완전한 청정[淨波羅蜜]이니, 부처님의 법신에 대하여 이러한 견해를 갖는 것을 올바른 견해라고 이름합니다. 올바르게 보는 자는 곧 부처님의 참된 아들이니 부처님의 입으로부터 태어나며, 올바른 가르침을 좇아서 태어나며, 올바른 가르침의 교화를 좇아서 태어나며, 가르침의 재산을 상속하는 사람입니다.
세존이시여, 청정한 지혜라는 것은 모든 아라한, 벽지불의 지혜 바라밀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청정한 지혜는 비록 청정한 지혜라고는 하지만 저 괴로움의 소멸이라는 진리에 있어서도 작용하지 못하거늘, 하물며 네 가지 의지의 지혜[四依智]에 작용하겠습니까. 왜냐하면, 세 가지 길[三乘]에 속하는 초심자도 가르침과 그 뜻에 어리석지 않으며, 마땅히 깨닫고 마땅히 얻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를 위하여 세존께서는 네 가지 의지할 바를 설하시는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이 네 가지 의지할 바는 곧 세간의 법입니다.
세존이시여, 하나의 의지할 바[一依]라는 것은 모든 존재의 의지할 바이며, 세간을 벗어나는 제일의(第一義)의 의지할 바이니, 이른바 괴로움의 소멸이라는 진리입니다.”
승만경-제12. 전도된 견해와 올바른 견해[顚倒眞實章].mp3
'卍-불법을만나고 > 卍-불교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승만경-제9. 공의 두 가지 진실한 모습[空義隱覆眞實章] (0) | 2017.05.01 |
---|---|
승만경-제10. 하나의 진리[一諦章]-제11. 하나의 의지처[一依章] (0) | 2017.05.01 |
승만경-제13. 자성의 청정[自性淸淨章] (0) | 2017.05.01 |
승만경-제14. 참된 아들[眞子章] (0) | 2017.05.01 |
승만경-제15.승만 부인[勝鬘場] (0) | 2017.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