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卍-불법을만나고/卍-불교자료실

관심(觀心)-관음영장(觀音靈場)

by 회심사 2017. 5. 14.
관심(觀心) : 관심은 자기 마음을 관조하여 그 본성을 밝히는 것이다. 또는 관법과 같은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교의사상의 측면을 교상문이라고 하는 것에 대해, 자기 마음을 관하는 실천수행을 관심문이라고 합니다. 곧 마음이 모든 것의 중심이기 때문에 마음을 관조하면 일체를 관조하는 것과 같다고 합니다.
관욕(灌浴) : 영혼을 목욕시키는 의식입니다.

관욕을 행하는 곳은 사람들이 보이지 않도록 병풍으로 둘러치고 밖에는 관욕방이라 써서 불이고 관욕 단에는 남신구· 여신구를 먹으로 써서 병풍에 붙입니다.

관욕수는 두 대야를 준비하여 하나에는 버드나무 발을 걸치고 기왓장 위에 종이 옷을 준비하여 위패 주위에 촛불을 밝혀 관욕수에 비치도록 합니다.

관욕의 절차는 법주가 각진언을 외우면 관욕단의 법사는 각기 거기에 해당하는 인지를 나타내어 그때 그때의 동작을 행합니다.

뜰을 지나 법당문을 열고 불단을 향하여 삼보께 예배를 드립니다.
이렇게 출욕참성편이 끈나면 법성게를 외우며 도량을 돌아 본래의 영단에 자리하고 제사를 받습니다.
영혼을 위해 명바라(冥鉢羅)를 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관음(觀音) : 아미타 3존의 하나인 보살의 이름. 중생의 모든 소리를 듣고 구제해 주는 보살이라는 뜻. ⇒ 관세음(觀世音).
관음관(觀音觀) : 관세음보살의 몸은 光明으로 빛나는 영락을 두루고 발을 옮길 때에는 금강마니(金剛摩尼)의 꽃이 흩날리어 정토에 가득참을 관합니다
관음보살 : 관자재보살 또는 관세음보살로 석가모니불의 협시보살, 손에는 감로수의 정병 또는 연꽃을 잡음-대자대비로 중생을 제도함, 머리의 보관 중앙에는 반드시 아미타불의 화신인 화불을 나타냄
관음보살(觀音菩薩) : 가장 폭넓고 깊고 친숙하게 신봉되는 유명한 보살이 관음보살입니다.

대승불교가 번성한 지역이면 어디에나 관음보살이 널리 보급되어 있습니다.
이 보살은 관세음(觀世音),관자재(觀自在),광세음(光世音)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그러한 명칭 자체가 그의 성격을 대변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중에서 관음보살 또는 관세음보살이라 부르는 쪽이 훨씬 더 부드럽고 친근한 감이 있어 그렇게들 부르고 있습니다.

이 보살은 이 세상의 생명체, 즉 중생이 관세음보살의 명호을 부르면, 곧바로 그 소리를 보고서 그 소원을 성취시켜 주는 노력을 기울인다는 것입니다. 중생의 소리를 보는 것이 이 보살이 맡은 큰 역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소리를 본다는 말이 부자연스럽고 불합리하게 느껴질 것입니다. 그러나 불교의 유식학(唯識學)에서는 여래의 눈.귀.코.혀.몸이라는 다섯 감각기관이 서로 그 대상을 바꾸어 작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즉, 여래는 눈으로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귀로도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여래의 초능력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단련된 인격력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입니다. 소위 명의는 손으로 만져만 보아도 병을 알고, 탁월한 연주가는 악보를 보기만 하여도 소리가 들려오는 것을 느낀다고 하는 이치와 마찬가지로 이해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중생을 구제하는 탁월한 능력을 관음이라 표현한 것이라고 합니다. 부처님과 같은 분은 중생의 눈을 보기만 하여도 그 호소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을 것이며, 관음이라는 말이 보다 심오한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을지도 모르겠지만, 우선 이상과 같은 의미로 이해하여도 무방할 것입니다. 이 관음보살의 뛰어난 구제력을 여실히 보여 주는 것으로는 손과 눈이 천개나 되는 천수천안(天手天眼)관음, 중생의 고통을 두루 살펴볼 수 있도록 얼굴이 11개나 있는 자비의 상징인 십일면관음
관음보살상(觀音菩薩像) : 자비를 상징하는 보살로서 대세지보살·지장보살과 함께 아미타불을 협시하는 경우가 가장 많지만 후대에서는 단독으로 봉안되기도 했습니다. 원통전(圓通殿)은 관음보살이 절의 주존으로 모셔질 때의 전각 이름이며 관음전은 부속 불전일 때의 명칭입니다. 관음보살은 아미타불을 새긴 보관을 머리에 쓰고 있으며 보병(寶甁)이나 연꽃을 잡고 서 있는 것이 일반적인 모습입니다. 그 밖에도 백의(白衣)관음·십일면(十一面) 관음·양류관음(楊柳觀音)·수월관음(水月觀音)·천수천안관음(千手千顔觀音) 등이 있습니다.
관음시식(觀音施食) : 관세음보살의 자비에 의지하여 죽은 사람의 명복과 깨달음을 비는 제사 의식으로 시식의례(施食儀禮)의 하나이다.

죽은 사람을 위해 재를 올리는 것으로 제삿날과 명절 등에 행한다.
시식은 영혼을 위해 제사 음식을 올리고 법문을 일러주며 독경하고, 염불하는 제사 의식이다.
이 의식은 천도의식을 증명하실 관세음보살 등을 모시는 거불(擧佛), 깨달음의 경지를 일러 주어 무생(無生)의 도리를 깨치게 하는 착어(着語), 영혼을 부르는 진령게(振鈴偈) 영혼으로 하여금 지옥을 벗어나게 하는 파지옥진언(破地獄眞言) 등을 지송한다.

그리고 불·보살을 청하여 망인에게 법식을 베풀어 받았음을 증명하게 하는 증명청(證明請), 향화청(香花請)· 고아게(故我偈), 칭양성호(稱揚聖號), 베푼 제사음식이 법식이 되도록 하는 변식(變食)진언·시감로수(施甘露水)진언·일자수륜관(一字水輪觀)진언·유해(乳海)진언 등 네 다라니를 외우고, 이어서 망인의 극락왕생을 위하여 "나무아미타불" 10념(十念)과 극락세계 장엄염불(莊嚴念佛)· 후송염불(後誦念佛) 등을 염하고 끝을 맺는다.

이것은 불교가 재래의 제사의례를 수용함으로써 형성된 불교의례화한 우리 나라 제례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으며, 단순히 조상을 숭배하는 형태의 제사의식이 아니라, 영가에게도 진리를 깨우쳐 무생(無生)의 법인(法印)을 깨닫게 한다는 적극적 생명관 또는 중생교화관에서 행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관음신앙(觀音信仰) : 관음 보살을 주존으로 믿는 신앙. 모든 중생의 제도와 교화를 위해 대자 대비의 서원을 실천하는 관음 보살은 예나 지금이나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의지하고 기도와 신앙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관음영장(觀音靈場) : 관세음보살이 머무는 신령스러운 장소이다.
인도의 남쪽 해안에 있는 보타락산(補陀洛山), 중국의 보타산(補陀山)과 일본의 나지산(那智山) 등이 이에 해당한다.

우리 나라에는 양양 낙산사(洛山寺)· 남해 보리암(菩提庵)· 강화도 보문사(普門寺) 등을 3대 관음성지라 하며, 이 밖에 관음영험담을 지닌 영장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

금강산 보덕굴(普德屈)은 우리 나라에 관음신앙을 퍼뜨리는데 크게 영향을 미쳤던 영험처로 관음의 화신인 보덕각시가 출현하였던 곳이고, 고구려의 보덕화상이 관음의 진신(眞身)을 친견한 도량이며 고려 의종 때의 고승인 회정이 천수주력(千手呪力)으로 기도하여 관음의 원통통삼매(圓通三昧)를 성취한 곳이기도 하다.

또한 설악산의 오세암(五歲庵)은 조선 초기에 관세음보살을 어머니로 여긴 다섯 살 어린이가 한 겨울에 홀로 암자에 남겨졌는데, 관음의 보살핌으로 편안하게 겨울을 보낼 수 있었다는 설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