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562 성주괴공(成住壞空) -세속제(世俗諦) 성주괴공(成住壞空) : 세상의 모든 것은 크나 작으나 다 변화의 과정을 밟게 된다. 곧 「형성 되어가는 과정」「안정하여 지속되는 과정」「쇠퇴해 가는 과정」「멸망해 없어지는 과정」이 있다. 우리의 몸도, 국가나 사회도 다 그렇게 된다. 이런 것을 가르켜「成住壞空(성주괴공)」이.. 2017. 5. 12. 세안(世眼)-소승(小乘) 세안(世眼) : 세계의 어둠을 바추는 눈입니다. 세상의 안목이 되는 사람입니다. 즉 이러한 분이 부처님입니다. 세우(世友) : 북인도의 *건타라국 출신으로서 1∼2세기경에 생존했던 학승. *법구(法救), *묘음(妙音), *각천(覺天) 등과 함께 '비바사 4대 논사'로 꼽히며, 이부종륜론(異部宗輪論).. 2017. 5. 12. 소신공양(燒身供養)-손다라난다(孫陀羅難陀) 소신공양(燒身供養) : 소신공양(燒身供養)이란 말은 말 그대로 '몸을 태워 부처님께 바친다'는 것입니다. 소신공양은 ≪법화경(法華經)≫ <약왕보살본사품>에서 비롯되고 있습니다. <약왕보살본사품>에 의하면 약왕보살은 일체중생희견보살(一切衆生喜見菩薩)이었다고 합니다. .. 2017. 5. 12. 솔도파(率都婆)-수구보살(隨求菩薩) 솔도파(率都婆) : 불물이나 혹은 경문을 봉안한 곳. 또한 죽은 사람의 생존했을 때의 덕을 표식하고 합리·아·발 등을 묻고 금·석·토·목으로 축조하여 우러러보도록 하는 것. 송(頌) : 범어 Gatha(가타)의 뜻 번역으로서 시구(詩句)로써 부처님을 찬탄하거나 불법의 뜻을 노래함을 말함... 2017. 5. 12. 수기-수라지옥(修羅地獄) 수기 : 불도를 수행하는 자에 대하여 장래에 불(佛)의 경계에 이를 것이라고 부처님께서 기약을 주시는 것입니다 수기 : 부처님이 불법에 귀의한 중생에게 어느 시기, 어느 국토에서 어떤 이름의 부처로 태어날 것이며, 그 수명은 얼마나 될 것이라는 것 등을 낱낱이 제시하면서, 미래세의.. 2017. 5. 12. 수렴(收斂)-수범수참(隨犯隨懺) 수렴(收斂) : 곡물 등을 거두어 들이는 것입니다. 세금이나 물건 등을 거두어 들이는 것입니다. 수론(數論) : 상키야를 승가(僧 )라고 음역. ①가비라(迦毘羅)가 시조로 알려져 있는 인도의 한 학파. 상키야 학파를 가리킴. 불교의 법수를 주로 논하는 학파를 가리킴. 수류타(隨類墮) : 종타.. 2017. 5. 12. 수법정행(隨法正行)-수온(受蘊) 수법정행(隨法正行) : 6정행(六正行)의 하나입니다. (가르침에 관한) 올바른 방법의 실천입니다. 흐트러지지 않는 마음과 도착(倒錯)이 없는 이해로, 지관(止觀)의 수습을 그 본질로 합니다. 정려(精慮)하고, 또 알려져야 할 법에 따라, 지(止)와 관(觀)의 수습을 본질로 하는 수행입니다. 수.. 2017. 5. 12. 수요(宿曜)-수희공덕(隨喜功德) 수요(宿曜) : 27수(宿) 또는 28수, 12궁(宮), 7요(曜) 등을 통칭한 말. 역술(曆術)과 점법(占法)의 근거가 되며, 일시(日時)의 길흉과 인생의 화복(禍福)을 점치는 토대가 된다. 수요의 기본 골격은 인도의 구담(瞿曇, Gautama) 선인(仙人)이 안출(案出)한 천문(天文) 역법(曆法)이라 하며, 후대에 중.. 2017. 5. 12. 숙명(宿命)-숙업(宿業) 숙명(宿命) : 숙세의 생명. 전생(前生), 즉 과거생(過去生)의 생존 상태. 숙명관(宿命觀) : 오래전 과거생에서 행했던 선악의 습관이 현세에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숙세의 업에 따라 지배되는 현생의 운수는 피할 수 없다고 보는 관점. 숙명론(宿命論) : 숙명을 근거로 하여 현생에 나기.. 2017. 5. 12. 숙연(宿緣)-승(乘) 숙연(宿緣) : 과거의 인연입니다. 즉 과거 세상에서 만든 인연입니다. 숙연(宿緣) : 숙세 즉 과거생에 맺었던 인연. 숙주수념지력(宿住隨念智力) : 부처가 갖추고 있는 10역(力) 중 하나. 숙명을 아는 능력. 순생(順生) : 순생업(順生業)을 뜻하며, 금생에 지은 과보를 다음 생에서 받는 것을 .. 2017. 5. 12. 승(僧)-승보(僧寶) 승(僧) : 승(僧)이라는 말은 승려, 즉 스님들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승이란 승가(僧伽)의 약칭입니다. 승가라는 말은 상가(Sangha)의 음을 모사한 것이라고 합니다. 상가의 의미는 무리, 집단, 모임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모임이나 집단은 무엇보다도 화합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 2017. 5. 12. 승우(僧祐)-시방삼세(十方三世) 승우(僧祐) : 중국 양(梁)나라 때 건업(建業) 출신의 스님. 서기 445∼518년 생존. 성은 유(兪)씨. 승우록(僧祐錄)이라고도 불리는 출삼장기집(出三藏記集), 홍명집(弘明集), 석가보(釋迦譜)의 찬술자. 계율에 정통하였으나 불교 사학자로서 더 잘 알려져 있다. 어려서 건초사(建初寺)에 갔다가.. 2017. 5. 12. 시방세계(十方世界) -식무변처(識無邊處) 시방세계(十方世界) : 십방(十方) 에 중생의 세계가 있다는 것의 무량무변(無量無邊)한 것을 말합니다. 동· 서· 남· 북·×동북· 동남· 서남· 서· 북· 상(上)· 하(下) 에 있는 무수한 세계를 말합니다. 시방정토(十方淨土) : 시방 즉 동, 서, 남, 북, 동남, 동북, 서남, 서북, 상, 하 .. 2017. 5. 12. 식식(識食)-신력(信力) 식식(識食) : 4식(食) 중의 하나. 지옥의 중생과 무색계(無色界)의 천인(天人)들은 심식(心識)의 힘으로 몸을 유지하기 때문에 식(識)은 그들의 음식이 된다는 것. 식온(識蘊) : 다섯 온 가운데 하나이다. 구사와 성실에서는 눈 등의 육식이 심왕이 되고 유식에서는 팔식이 심왕이 된다고 하.. 2017. 5. 12. 신무량수경(新無量壽經)-신족통(神足通) 신무량수경(新無量壽經) : 《아미타경》·《무량수경》과 함께 정토종의 근본 경전이 되는 삼부경 가운데 하나이며 전1권이다. 유송(劉宋) 때인 424년, 강량야사(畺良耶舍) 삼장에 의해 번역되었다. 위나라 때인 252년에 인도의 승려인 강승개(康僧鎧)가 한역한 《쌍권경》으로도 불리는 .. 2017. 5. 12. 신중상(神衆像)-실차난다(實叉難陀) 신중상(神衆像) : 불교나 부처님을 지켜주고 중생에게 이익을 주는 여러 신중(神衆)들을 조각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신중상들은 인도 재래의 토속신앙에 있는 여러 토착신들이 대부분인데 그들이 불교에 습합되어 불교화된 것입니다. 한국·중국의 재래 토속신이 불교화된 것으로는 칠.. 2017. 5. 12. 심(心)-심심(深心) 심(心) : 마음. 만물을 정신과 물질로 구분할 때의 정신. 마음을 주체인 심왕(心王)과 이것에 종속하여 일어나는 작용인 *심소(心所)로 구분할 때의 심왕. *8식. *색(色), 신(身). *6근의 하나로서 사고 기관. *5온의 하나로서 식별 작용. 유식학에서는 순수하게 대상 자체를 보는 것. 의(意), *식.. 2017. 5. 12. 심왕(心王)-십대제자(十大弟子) 심왕(心王) : 마음 자체. 마음 작용의 근본이 되는 것. 마음의 개별적인 작용에 대해, 마음이 인식 대상의 총체적인 양상을 받아들여 통합하는 기능을 왕에 비유한 것. 심우도(尋牛圖) : 수행자가 수행을 통해 본성을 깨닫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일에 비유해서 그린 선화(禪畵)입니.. 2017. 5. 12. 십력(十力)-십사무외력(十四無畏力) 십력(十力) : 부처님의 열 가지 힘입니다. 부처님의 십력은 첫째, 바른 도리와 그렇지 않은 도리를 판별하는 지혜의 힘입니다. 둘째, 선악업과 그 과보를 여실히 아는 지혜의 힘입니다. 셋째, 4선· 8해탈· 3삼매 등을 여실히 아는 지혜의 힘입니다. 넷째, 중생의 근기의 높고 낮음을 여실.. 2017. 5. 12. 십삼승잔(十三僧殘)-십이궁(十二宮) 십삼승잔(十三僧殘) : 범어의 한자식 표기로서, 스님이 지켜야 할 250계 가운데 실정계·촉여인계·추어계·탄신색공양계·매가계·유주방계·무주방계·무근방계·가근방계·파승위련계·조파승위련계·오가빈방위련계·악성거승위계 등 13가지 종류를 말한다 십상(十想) : 무상상(.. 2017. 5. 12. 십이두타행(十二頭陀行)-십장양심(十長養心) 십이두타행(十二頭陀行) : 의·식·주를 간단히 하는 불도를 수행하는데 12조의 행법이 있다. ① 재아난야처. ② 상행걸식. ③ 차제걸식. ④ 수일식법. ⑤ 절양식. ⑥ 중후부득음장. ⑦ 저폐납의. ⑧ 단삼의. ⑨ 총간주. ⑩ 수하지. ⑪ 노지좌. ⑫ 단좌불와. 십이문론(十二門論) : 전1권으로 .. 2017. 5. 12. 십제자(十弟子)-십팔계(十八界) 십제자(十弟子) : 석존의 십대제자(十代弟子) 를 보 뜬 것으로 대법회(大法會)의 대도사(大導師), 도는 관정(灌頂)의 大阿사리 등이 인솔하는 십제자(十弟子)를 말합니다. 십주(十住) : 들어가서 반야를 다스림을 주(住)라 하고 주하면서 공덕을 생함을 지(地)라 하는데, 이미 신(信)을 얻은 .. 2017. 5. 12. 십팔변(十八變)-아견(我見) 십팔변(十八變) : 나한이 입정할 때에 나타내는 진동·치연·시현·전변·유포·왕래·권·서·중상입신·동류경취·은·현·소작자재·제타신통·능시변재·능시억렴·능시안락·방대광명 등 18가지 종류의 신변불사의. 십팔불공법(十八不共法) : 부처님은 무량한 겁에 선업을 닦.. 2017. 5. 12. 아공(我空)-아니루타(阿尼樓馱) 아공(我空) : 중생의 신체는 *5온이 화합한 것일 뿐이며, 거기에는 영원하고 불변하는 유일한 주체나 실체로서의 자아가 없음. 아귀(餓鬼) : 3도(塗), 5취(趣), 6도(道)의 하나. 프레타의 원뜻은 죽은 사람, 사체(死體), 망령(亡靈) 등이다. 전생에 악업을 짓거나 탐욕과 질투가 심한 경우에는 .. 2017. 5. 12. 아다나식(阿陀那識)-아루릇다(Aniruddha) 아다나식(阿陀那識) : 집지(執持), 무해(無解)라고 번역. 심식의 일종. 제7식 또는 제8식의 별명. 구역에서는 제7식, 신역에서는 제8식이라고 한다. 선악의 업력과 유정(有情)의 신체가 흩어지지 않도록 유지시켜 주는 심식이다. 아라야식(阿梨耶識) : 인간 존재의 근저로 상정되는 근원적인 .. 2017. 5. 12. 아리야발마(阿離耶跋摩)-아미타불(阿彌陀佛) 아리야발마(阿離耶跋摩) : 아리야바르만의 음역. 사람 이름. 신라(新羅) 출신의 고승. 7세기 중엽에 당 나라의 수도 장안(長安)을 떠나 인도에 가서 불교 유적들을 돌아보고 나란다사에서 율장과 논장을 배웠다. 고향에 돌아오기를 원했으나, 인도의 나란다사에서 입적했다. 아마라(阿摩羅.. 2017. 5. 12. 아비달마(阿毘達磨)-아비담팔건도론 아비달마(阿毘達磨) : 불교의 경전을 경(經)· 율(律)· 논(論)의 3장(三藏)으로 나눌 때에 논장(論藏), 즉 논부(論部)의 총칭이다. 석가모니의 설법을 경, 또 경을 조직적으로 설명한 것을 논이라고 하는데, 이 논을 아비달마라 음역하고, 대법(對法)이라고 의역한다. 대법이란 지혜의 별명.. 2017. 5. 12. 아비라제국(阿比羅提國)-아수라(阿修羅) 아비라제국(阿比羅提國) : 동방으로 1천 불국(佛國)을 지난 곳에 있는 정토 이름으로 아촉불이 주재한다. 아비지옥(阿鼻地獄) : 아비는 지하의 뇌옥이므로 지옥이라 한다. 이것은 지하의 가장 밑에 있기 때문에 그 위에 다른 대지옥들이 첩첩이 있다고 한다. 아사리 : 제자의 행위를 교정하.. 2017. 5. 12. 아승기(阿僧祇)-아타바구 아승기(阿僧祇) : 무수(無數), 무앙수(無央數)라고 한역하며, 셀 수 없다라는 뜻입니다. 인도의 수량의 하나로 인도에서는 실제로는 거대한 수의 단위로써 생각되었습니다.10의 59승을 의미합니다. 아승기겁(阿僧祈劫) : 산스크리트 어 아상키야 칼파의 음역어. 헤아릴 수 없이 긴 시간을 뜻.. 2017. 5. 12. 아트만(Atman) -악지식(惡知識) 아트만(Atman) : 고대인도 철학 사상에서 상주, 단일, 주제로서 중시한 절대의 아(我) 사상. 그러나 불교는 그러한 아(我)는 부정하고 아(我)나 자아(自我)는 모두 다른 많은 요소의 인연 결합으로 생겨나는 것이라고 해석하였음. 아함(阿含) : 아가마의 음역. 阿 이라고도 함. ①성인(聖人)이.. 2017. 5. 12. 이전 1 ··· 68 69 70 71 72 73 74 ··· 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