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이(瞿夷) : 고피카의 음역. 俱夷, 夷라고도 함. 사람 이름. 석가모니가 태자였을 때 제1부인의 이름. 수광(水光) 장자의 딸. 일설에서는 *야수다라(耶輸陀羅)의 별명이라고 함. | |
| |
구자국(龜玆國) : 구자는 쿠차의 음역. 고대 서역에 있었던 나라 이름. 불교가 성했으나, 회교도의 침입 이후 불교가 쇠퇴했다. | |
| |
구조(九條) : 가사의 하나로 폭이 좁고 긴 아홉 오락이 베를 가로 기운 가사를 말함. 엄숙한 법회 때나 의식 때에 입는다. | |
| |
구족(具足) : 출가자로서의 자격을 취득하는 것. 수계(受戒), 수구(受具), 수구족(受具足), 근원(近圓). 일반적으로는 빠짐없이 충분히 갖추어져 있다는 뜻으로 쓰임. | |
| |
구족계(具足戒) : 출가 수행자로서의 자격과 위의(威儀)를 얻기 위해서 갖추어야 하는 계(戒). 일반적으로 사미와 사미니를 거친 뒤에 비구 또는 비구니로서의 인정을 받게 되는 의식을 치를 때 구족계를 받는다. 구족계를 받아야 비로소 자격을 온전히 갖춘 출가자가 되는 것이다. | |
| |
구종나한(九種羅漢) : 아라한을 아홉 가지로 분류한 것. 문헌에 따라 각각 상이한 부분이 있으나, 그 내용상 크게 다를 바 없다. 구무학(九無學), 구종아라한(九種阿羅漢). ①구사론에서는, 퇴거(退去), 사법(思法), 호법(護法), 안주(安住), 감달(堪達), 부동(不動), 불퇴(不退), 혜해탈(慧解脫), 구해탈(俱解脫) 등으로 아라한을 분류함. 성실론(成實論)에서는, 퇴상(退相), 수상(守相), 사상(死相), 주상(住相), 가진상(可進相), 불괴상(不壞相), 불퇴(不退), 혜해탈(慧解脫), 구해탈(俱解脫) 등으로 아라한을 분류함. 중아함경의 복전경(福田經)에서는, 사법(思法), 승진법(昇進法), 부동(不動), 퇴법(退法), 불퇴(不退), 호법(護法), 주법(住法), 혜해탈(慧解脫), 구해탈(俱解脫) 등으로 아라한을 분류함. | |
| |
구종정육(九種淨肉) : 수행승이 병을 치료하거나 부득이한 경우에 허가를 받고 먹을수 있는 9종의 깨끗한 고기. 1.죽이는 것을 보지 않은 고기. 2.나를 위하여 죽였다는 말을 듣지 않은 고기. 3.나를 위하여 죽였다는 의심이 없는 고기. 4.나를 위하여 죽이지 않은 고기. 5.목숨이 다하여 스스로 죽은 고기. 6.새가 먹다 남긴 고기. 7.죽은 지 오래되어 저절로 마른 고기. 8.약속하지 않고 우연히 먹게 된 고기. 9.이미 죽은 고기. | |
| |
구지(九地) : 욕계, 색계, 무색계 등의 3계를 9지로 분류한 것. 1. 욕계오취지(欲界五趣地). 2.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 3. 정생희락지(定生喜樂地). 4.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 5.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 6. 공무변처지(空無邊處地). 7. 식무변처지(識無邊處地). 8. 무소유처지(無所有處地). 9.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 9유정거의 줄임말. | |
| |
구지근(具知根) : 3무루근(無漏根), 22근(根) 중의 하나. 번뇌를 모두 끊은 아라한의 지위에서 갖는 9근(根), 즉 의(意), 낙(樂), 희(喜), 사(捨), 신(信), 근(勤), 염(念), 정(定), 혜(慧) 등. | |
| |
구차제정(九次第定) : 각 수행 단계에 따른 아홉 가지 선정의 종류. 4선정(禪定), 4무색정(無色定), 멸수상정(滅受想定) 등. |
'卍-불법을만나고 > 卍-불교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사론(俱舍論)-구시인(舊詩人) (0) | 2017.05.14 |
---|---|
구식(九識)-구의(九儀) (0) | 2017.05.14 |
구천(九天)-궁자(窮子) (0) | 2017.05.14 |
권교(權敎)-귀명(歸命) (0) | 2017.05.14 |
귀명례(歸命禮)-규환지옥(叫喚地獄) (0) | 2017.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