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62

총림+(叢林)-축난제(竺難提) 총림+(叢林) : 빈다바나(貧陀婆那), 전단림( 檀林), 단림(檀林). ①출가 스님과 재가 신도가 함께 한 곳에 머무는 것을 가리키는 말. 출가자와 재가자가 서로 화합하여 함께 어우러진 모습이 마치 많은 나무들이 울창하여 숲을 이룬 것과 같다는 뜻. 본래 인도의 빈디야 산맥의 울창한 삼림.. 2017. 5. 11.
축담무란(竺曇無蘭)-출가자(出家者) 축담무란(竺曇無蘭) : 서역 사람의 이름이며, 법정이라 한역된다. 중국에 건너와 동진 효무제 태원 6년(381) 양도사 진서사에서 찬한 《대비구이백육십계삼부합이》(2권)를 비롯하여, 20년 동안 불경번역에 종사하였다. 축도생(竺道生) : 중국의 승려이며 거록 사람으로서, 성은 위씨이다. .. 2017. 5. 11.
출삼장기집(出三藏記集) -칠각지(七覺支) 출삼장기집(出三藏記集) : 한문으로 번역한 경·론의 연기·목록·서문·발문과 번역한 이의 전기 등을 수록하여, 양나라의 승우가 엮은 책으로 전1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안의 《종리중경목록》이 없어진 지금, 경론의 목록으로는 가장 권위 있는 책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한역 경전.. 2017. 5. 11.
칠견(七見)-칠변(七辯) 칠견(七見) : 7가지 잘못된 견해. 사견: 선악. 인과. 윤리를 부정함. 아견: 내가 있다고 생각하는 견해. 常견: 몸과 마음이 항상 존재한다 고 생각하는 견해. 단견: 심신의 단멸과 다시 태어남을 믿지 않는 견해. 계도견: 잘못된 계에 집착하는 견해. 과도견: 바른 인과를 알지 못한 채로 닦아.. 2017. 5. 11.
칠보(七寶)-칠유(七有) 칠보(七寶) : 금(金), 은(銀), 유리(琉璃), 파려(頗黎), 차거(  ), 적주(赤珠), 마노(瑪瑙) 등의 일곱 가지 보배. 금(金), 은(銀), 산호(珊瑚), 진주(眞珠), 차거(  ), 명월주(明月珠), 마니주(摩尼珠) 등의 일곱 가지. 전륜성왕(轉輪聖王)이 지니고 있는 금륜보(金輪寶), 백상보(白象寶), 감색마.. 2017. 5. 11.
칠조(七祖)-타력(他力) 칠조(七祖) : 화엄칠조(華嚴七祖)를 말함. 마명보살, 용수보살, 중국의 두 순, 운화 존자 지엄, 현수대사 법장, 청량대사 증관, 규봉대사 종 밀. 칠종무상(七種無上) : 부처님에게 갖추어진 7가지의 무상. 신무상(身無 上): 32상 80종호을 갖춤. 도무상(道無上): 대자대비하신 도로 모든 중생을 .. 2017. 5. 11.
타리(利他)-탄지경(彈指頃) 타리(利他) : 다른 사람의 이익을 위하여 행동하는 타수용(他受用) : 부처님이 그 깨달음의 기쁨을 중생과 함께 즐기는 일. 타심지(他心智) : 10지(智) 중 하나. 타인의 현재의 마음을 아는 지혜. 6통(通) 중의 타심통(他心通)과 같음. 타심통(他心通) : 신통(通) 중의 하나. 타인의 마음이나 생.. 2017. 5. 11.
탐(貪) -탱화(幀畵) 탐(貪) : 3독의 하나. 탐욕. 격렬한 욕망. 좋아하는 대상에 대한 애착. 자기의 감정에 적합한 사물을 애착하게 하는 심리 작용. 진(瞋)과 함께 정적(情的)인 번뇌. 탐심(貪心) : 3독심(毒心)의 하나. 탐욕스러운 마음. 탑(塔) : 스투파의 음역. 사리를 보관해 두는 곳을 총칭하는 말. 본래 석가모.. 2017. 5. 11.
토화라(吐火羅)-파사현정 토화라(吐火羅) : 투카라의 음역. 지명 또는 나라 이름. 총령( 嶺)의 서남쪽, 박추(縛 , Bhak u) 강의 상류에 자리했던 고대 국가 이름. 통명혜(通明慧) : 六신통(神通)과 三명(明)과 三혜(慧)를 말함. 三명…숙명통.천안통.누진통. 六신통…천안통.천이통.숙명통.타심통.신족통.누진통. 三혜(.. 2017. 5. 11.
파순(波旬)-팔관재(八關齋) 파순(波旬) : 파피야의 음역. 파순유(波旬喩), 파비연(波卑 ), 파비(播裨), 파비야(波卑夜), 악자(惡者), 악물(惡物), 악애(惡愛), 살자(殺者). 욕계(欲界)의 제6천(天)을 주재하는 왕. 불보살, 또는 불제자(佛弟子)의 마음을 교란시키고 악으로 유혹하는 마왕(魔王). 파승(破僧) : 5역죄 가운데 .. 2017. 5. 11.
팔난(八難)-팔복전(八福田) 팔난(八難) : 부처를 볼 수 없고 불법을 들을 수 없는 8가지 곤란. 곧 지옥, 축생, 아귀, 장수천, 귀머거리와 장님, 정토의 변지, 사 견, 불전 불후. 팔대명왕(八大明王) : 8방을 수호하는 여덟 명왕. 곧 부동명왕, 항삼세존, 군다리명왕, 육족존, 금강야차, 예적금강, 무승, 마두관음. 팔대용왕(.. 2017. 5. 11.
팔부정견(八不正見) -팔양경(八陽經) 팔부정견(八不正見) : 8가지의 잘못 보는 견해. 아견(我見): 참으로 나라 는 실체가 있다고 보는 것. 중생견(衆生見): 오온(五蘊)이 화합 하여 중생이 된다고 보는 것. 수명견(壽命見): 수명에 길고 짧 음이 있다고 보는 는 것. 사부견(士夫見): 중생에게 참으로 남 자다운 능력이 있어 모든 것.. 2017. 5. 11.
팔열지옥(八熱地獄)-팔해탈(八解脫) 팔열지옥(八熱地獄) : 8가지의 몹시 뜨거운 지옥. 등활지옥, 흑승지옥, 중합지옥, 규환지옥, 대규환지옥, 초열지옥, 대초열지옥, 무간지 옥 들임. 팔음(音) : 부처님 음성의 8가지 특색. 1) 극호음(極好音): 목소리가 맑고 아름다워 듣는 사람이 즐겁고, 모두 도에 들어가게 함. 2) 유 난음(柔軟.. 2017. 5. 11.
패엽경(貝葉經)-포교당(布敎堂) 패엽경(貝葉經) : 패다라수(貝多羅樹)라는 활엽수 잎에 바늘로 새긴 불경. 편단(偏袒) : 옷을 입는 법식의 하나. 한쪽 어깨를 드러내고 다른 쪽 어깨에만 옷을 덮는 예법. 편단우견(偏袒右肩) : 오른쪽 어깨는 덮지 있지 않고 드러내며, 왼쪽 어깨에만 옷자락을 걸쳐서 입는 방법. 인도에서 .. 2017. 5. 11.
포살(布薩) -필정(必定) 포살(布薩) : 포살(布薩)은 동일 지역내의 스님들이 보름마다 모여서 지나간 반달 동안의 행동을 반성하고 죄가 있으면 고백 참회하는 행사로 만월(滿月)과 신월(新月) 즉 음력 보름(15일)과 그믐(30일)에 행한는 불교의식입니다. 범어로는 Upavasatha이며,출가한 법에는 보름마다15일과 2.. 2017. 5. 11.
필파라(畢波羅)-하리티(Hariti) 필파라(畢波羅) : 핏팔라의 음역. 석가모니가 자리를 펴고 앉아서 성도했던 곳에 있던 나무 이름. 필파라수(畢波羅樹). ⇒ 보리수(菩提樹). 필파라(畢波羅) : 핏팔라의 음역. 석가모니가 자리를 펴고 앉아서 성도했던 곳에 있던 나무 이름. 필파라수(畢波羅樹). 보리수(菩提樹). 하경 : 하안.. 2017. 5. 11.
하리하라(Hari-Hara) -하야그리바(Hayagriva) 하리하라(Hari-Hara) : [인도, 캄보디아] 비슈누의?민중적인 이름. 뜻은 "키우고 제거하는 자". 식물의? 부활과 생육을 관장한다. 오른쪽은?시바이고 왼쪽은 비슈누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하사(何事) : 킹카라의 번역. 사람 이름. ⇒ 길가야(吉迦夜). 하생(下生) : 불. 보살 등이 천상계로부터 하.. 2017. 5. 11.
하욕경(何欲經)-하행(夏行) 하욕경(何欲經) : 무엇을 어떻게 행할 것인가에 대해 묻는 생문범지와 찰리거사 등에게 부처가 낱낱이 답한 것을 내용으로 하는 책명이다. 하의갈마 : ① 응추억갈마. 비구가 재가인에 대하여 법에 없는 일을 하였을 때 사죄시키는 갈마. ② 차불지백의가갈마. 비구가 재가인에게 불리한 .. 2017. 5. 11.
학-한거(閑居) 학 : 최일체마보살의 종자가 되며, 일체법이 본래 나지 않는다는 뜻과 인·인아·법아 등 네 가지의 뜻이 있다. 이 보살의 진언 한자를 생각하여 일체법 본불생문에 들어가면 일체의 번뇌를 제거하고, 번뇌를 제거하고 나면 인아·법아 등 두 종류의 무아를 증거하여 진여항사의 공덕을 .. 2017. 5. 11.
한국불교태고종(韓國佛敎太古宗)-함령(含靈) 한국불교태고종(韓國佛敎太古宗) : 해방전까지는 한국불교의 모든 불제자는 태고문손이었는데 1954년 시작된 법란(절뺏기)은 환부역조(종조를 바꿈)를 정당화 시키고 전통가사의 색상까지 바꿔 전통을 변조하기에 이르므로 물질적재산은 포기하더라도 종조를 계속이어 받들고 정통을 유.. 2017. 5. 11.
함사(Hamsa)-항가달(恒伽達) 함사(Hamsa) : [인도] 브라흐마가 타고 다니는 기러기. 함사(hamsa) : [인도] 요가수행자들의 호흡법. 생명의 호흡. 함은 날숨, 사는 들숨의 소리라고 한다. 함식(含識) : 衆生(중생)의 표현으로 : 참 성품을 잃어 버리고 망령된 온갖 생각들이 분주하게 일어났다 꺼졌다 하기 때문에 六途(육도)를.. 2017. 5. 11.
항갈(恒竭)-항성일 항갈(恒竭) : 경전에 나오는 재가 여신도의 이름. 전생부터 쌓아온 믿음으로 인해서 장차 내세에는 부처가 될 것이라는 수기를 받음 항마 : 악마의 유혹을 물리 친다는 뜻. 경전에 의하면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 보리수 아래에서 수행을 하고 있을 때, 여러 악마가 나타나 유혹하고 .. 2017. 5. 11.
항염마존(降焰摩尊)-해운비구(海雲比丘) 항염마존(降焰摩尊) : 대명왕 중 하나. 대위덕명왕(大威德明王). 항하(恒河) : 인도의 강 이름. 히말라야 산맥에서 발원하여 인도의 동쪽 벵골(Bengal) 만으로 흐르는 큰 강으로서 인도의 3대하(大河) 중 하나로 꼽힌다. 지금은 갠지스(Ganges) 강이라 부른다. 항수(恒水), 항가(恒伽), 강가( 迦),.. 2017. 5. 11.
해인삼매(海印三昧)-해탈(解脫) 해인삼매(海印三昧) : 부처님이 화엄경을 설할 때 들어간 선정. 번뇌가 끊어진 부처의 마음 가운데 삼세의 모든 법이 뚜렷이 나타났다 하여 일컫는다. 해저아귀 : 바다의 모래톱에 살고 있다. 그러나 낭만적인 금빛 모래톱이 아니다. 인간계의 여름보다 1천배나 뜨겁다. 나무도 강도 없다. .. 2017. 5. 11.
해탈계-행(行) 해탈계 : 계를 받아 행위와 말로서 저지르는 허물이나 악을 방지하여 거기에서 벗어남. 해탈도(解脫道) : 4도(道) 중의 하나. *무간도(無間道)를 닦은 다음에, 진리를 깨닫고 해탈을 성취하는 것. 무루도(無漏道). 불도(佛道)를 총칭하여 가리키는 말 해탈문 : 모든 번뇌와 망상을 벗어나 깨.. 2017. 5. 11.
행각(行脚) -행입 행각(行脚) : 선종의 승려가 수행하기 위하여 여러 지방을 여행하는 것 을 말함. 행걸(行乞) : 비구가 바루를 가지고 마을로 돌아다니면서 집집마다 먹을 것을 얻는것. 행모(行母) : 마트리카의 번역. 계법(戒法)의 요의로서 율모(律母)를 뜻함. 마득륵가(摩得勒伽). 행상(行相) : 모습이 드러.. 2017. 5. 11.
행자(行者)-허공장보살문칠불다라니경(虛空藏菩薩問七佛陀羅尼經) 행자(行者) : 아직 승려가 되지 않고 사원에 있으면서 여러 소임 밑에서 일을 돕고 있는 사람. 아직 계를 받지 못한 불교 수행자. 행주좌와(行住坐臥) : 다니고, 머물고, 앉고, 눕고 하는 사람의 일상적인 움직임. 향상향하(向上.向下) : 끝에서 시작하여 위로 올라가는 것을 향상, 위에 서 끝.. 2017. 5. 11.
허무주의(虛無主義)-현불(懸佛) 허무주의(虛無主義) : 무나 공을 주장하는 사상. 모든 진리를 무시하여 보편적 표준을 부정하는 주의. 현(現) : ① 나타나는 것. ② 감정을 드러내는 것. ③ 현량의 약칭. 심식 3량 가운데 하나. 현실을 헤아려 아는 것. 색 등 여러 법을 향하여 현실로 그 자상을 아는 것. ④ 현재. ⑤ 현세의 .. 2017. 5. 11.
현사 사비(玄沙師備)-현응(玄應) 현사 사비(玄沙師備) : (835 ~ 905) 속성은 謝(사)씨이며 복건성 복주부 민현에서 출생하였다. 젊어서 낚시질을 좋아하고 설흔 살에 출가하여 공부하는 길을 얻어 가지고 다시 고향에 돌아가, 겨우 목숨이 붙어 있을 정도로 음식을 먹어 가면서 바위 밑과 산 꼭대기에서 늘 좌선만하였다. 설.. 2017. 5. 11.
현자-혜개(慧愷) 현자 : 당나라 동산양개선사의 법을 이른 승려이다. 그가 누군지 자세히 알 수는 없지만, 동산에서 심인을 받고 속인들과 섞여 어울려 살고 계율을 따르지 않았으며, 겨울이나 여름이나 오직 한 벌의 납의만을 입었고, 날마다 강안을 따라 새우나 조개를 잡아서 그 배를 채우고 해가 저물.. 2017.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