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62 악혜(惡慧)-안름 악혜(惡慧) : 법상종 사람들이 가지는 원융(圓融)을 한번 맛보지 못하는 소견. 나쁜 지혜. 안거(安居) : 안거란 한여름 석 달 동안 걸식하러 다니지 않고 한곳에 정주한 채 연구, 정진, 수양에 힘쓰는 것을 말합니다. 안거(安居)는 우기(雨期, 비가 오는 때)를 뜻하는 말로 하행(夏行), 하경(夏.. 2017. 5. 12. 안법흠-암바라파리원(菴波羅婆利園) 안법흠 : 사람 이름. 안식국(安息國) 출신. 중국 서진(西晋) 시대 때 낙양(洛陽)에 들어와, 281년부터 306년까지 아육왕전을 비롯하여 총 5부 16권을 번역했다. 안세고(安世高) : 중국 후한 때에 불경을 번역한 승려로 이름은 청(淸)이며, 세고는 자이다. 이란 북동부에 있던 안식국(安息國)의 .. 2017. 5. 12. 암자(庵子) -야차(夜叉) 암자(庵子) : 큰절에 딸린 작은 절이라는 뜻 - 주로 큰절 안에 있음 집으로 당나라 때 불교건축물에 씀 암호관음(巖戶觀音) : [보문품]게송에 관세음을 염하는 거룩한 힘으로 도마뱀, 뱀, 살모사, 전갈의 독으로부터 벗어난다는 것에서 유래하는데, 독충들이 머무르는 암호에 앉아 있다. 앙.. 2017. 5. 12. 약건도-양류관음(楊柳觀音) 약건도 : 20 건도 가운데 일곱 번째로 아침에서 정오까지 먹는 식사를 가리키는 시약(時藥), 병든 자가 때 아닌 때에 먹는 것을 말하는 비시약(非時藥), 칠일약(七日藥), 병든 비구가 종신토록 먹는 약식을 가리키는 진형수약(盡形壽藥) 등 네 종류가 있다. 약사여래(藥師如來) : 동방 정유리.. 2017. 5. 12. 양족존(兩足尊)-업보(業報) 양족존(兩足尊) : 두발을 가진 존재 중에서 가장 높은 이. 또는 계와 정, 복과 지를 원만하게 갖추었다는 뜻으로 부처님을 높이는 말. 어람관음(魚籃觀音) : 손에 물고기가 가득찬 어람(魚籃)을 들거나 혹은 큰 고기를 타고 있다. 당나라 시대, 한 물고기 장수의 아름다운 딸이 [보문품]을 수.. 2017. 5. 12. 업연(業緣)-여래시교승군왕경(如來示敎勝軍王經) 업연(業緣) : 일체의 유정(有情)은 모두 업연에 의해 일어 난다는 것. 즉, 선업은 낙과(樂果)의 인연을 부르고 악업은 고과(苦果)의 인연을 부른다는 것. 업인(業因) : 과보를 받게 되는 원인. 예컨대 선업은 낙과(樂果)의 원인이 되고, 악업은 고과(苦果)의 원인이 됨. 업장(業障) : 3장(障)의 .. 2017. 5. 12. 여래십호(如來十護)-여습(餘習) 여래십호(如來十護) : 부처의 열 가지 다른 이름. 응공(應供)·정변지(正邊知)·명행족(明行足)·선서(善逝)·세간해(世間解)·무상사(無上士)·조어장부(調御丈夫)·천인사(天人師)·불(佛)·세존(世尊) 등. 여래장(如來藏) : 여래의 태(胎 : 모태와 태아의 어느 쪽을 의미함)라는 뜻입니.. 2017. 5. 12. 여시아문(如是我聞)-여의륜관음(如意輪觀音) 여시아문(如是我聞) : 여시아문(如是我聞)은 '이렇게 나는 들었다'는 뜻으로, 여문여시(如聞如是)라고도 합니다. 경전의 첫머리에 나오는 말로 붓다가 입적할 때 법문을 외어 지닌 것이 많았던 아난에게 모든 경전의 처음에 이 말을 두어 외도(外道)의 성전과 구별하도록 한 것에 의한다고.. 2017. 5. 12. 여의륜다라니경(如意輪陀羅尼經)-역경(譯經) 여의륜다라니경(如意輪陀羅尼經) : 여의륜관음(如意輪觀音)이 설한 단법(壇法)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전1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나라 보리유지(菩提流志)의 한역본이 있다. 여의륜보살(如意輪菩薩) : 여섯 관음 가운데 하나인 여의륜관음(如意輪觀音)이라고도 한다. 이 보살은 손에 여.. 2017. 5. 12. 역대삼보기(歷代三寶紀)-연각승(緣覺乘) 역대삼보기(歷代三寶紀) : 중국 수나라의 비장방(費長芳)이 개황(開皇) 17년(597)에 저술한 불교 역사서로 전15권이다. 《삼보기》·《개황삼보기》라고도 한다. 내용은 제년(帝年) 3권, 역경(譯經) 9권, 입장목(入藏目) 2권, 총목(總目) 1권의 4부로 되어 있다. 역대조사(歷大祖師) : 석존으로.. 2017. 5. 12. 연결불생(緣缺不生)-연명관음(延命觀音) 연결불생(緣缺不生) : 일체의 만법은 모두 인연 화합하여 생기고, 미래로부터 현재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그 연이 부족하면 법은 생기는 일이 없이 영원히 미래에 멈춰 나타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연기(緣起) : 다른 것과의 관계가 연이 되어 생기(生起)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든 현상.. 2017. 5. 12. 연명법(延命法) -연화장(蓮華藏) 연명법(延命法) : 보현연명보살을 본존으로 하고 수명을 늘리며, 지혜·경애(敬愛)를 얻는 것을 기원하는 기도법입니다. <금강수명다라니경>에 근거한 밀교의 수행법으로 주로 수명을 늘리고, 모든 복덕과 재물을 늘리고, 총명한 자녀를 낳게 해달라고 바라는 기도법입니다. 연명지.. 2017. 5. 12.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열하증(列河增)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 연화 속에 담겨있는 세계(연화의 나라)를 말합니다. 비로자나불이 계신 정토, 결국 우리가 사는 세계를 연화에 비유해 말한 것입니다. 연화좌(蓮花座) : 불상 대좌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연꽃 줄기를 도안한 앙련(仰蓮) 이나 복련(覆蓮) 대좌 등이 있.. 2017. 5. 12. 염(念)-염불 왕생원(往生願) 염(念) : 생각해 내거나 기억하는 것, 과거를 추억하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불교에서 관하는 것이나 염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염계융절(念界融絶) : 우리의 일념(一念)의 생각과 세상의 모든 것이 하나의 존재로 융합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차만별로 활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 2017. 5. 12. 염불(念佛)-염주(念住) 염불(念佛) : 염불은 마음 속으로 부처님을 항상 생각하는 것을 말합니다. '나무관세음보살', '나무아미타불', '나무석가모니불' 등은 부처님을 염원하는 소리입니다. 즉 부처님께 귀의하고 모든 것을 부처님의 뜻에 따라 수행하는 것이 염불인 것입니다. 염불에는 부처님이 깨달으신 진리.. 2017. 5. 12. 염주(念珠)-영가(詠歌) 염주(念珠) : 부처님을 생각하기 위한 구슬로 염불의 도구 임 부처님께 예배할 때 손에 걸거나 돌리며 부처님을 간절히 생각하며 수를 헤아려 잡념을 없애고 정신을 한 곳에 집중시키기 위함 백팔염주, 천염주 등이 있고 7개,16개,21개의 손목용 단주가 있음 염주(念珠) : 염불하거나 절을 .. 2017. 5. 12. 영골(靈骨)-예류과(預流果) 영골(靈骨) : 사람이 죽은 뒤 그 시체를 화장하고 남은 뼈. 산골(散骨), 유신(遺身), 설리라(設利羅). 사리(舍利). 영락(瓔珞) : 지유라(枳由羅). ①보석, 주옥, 귀금속, 꽃 등을 끈에 꿰어서 몸을 치장하는 장신구. 고래로부터 인도의 귀족층에서는 남녀가 모두 사용했다. 불보살상의 머리, 몸,.. 2017. 5. 12. 예류과(預流果)-오가칠종(五家七宗) 예류과(預流果) : 아라한의 지위에 이르는 단계를 나타내는 4과(果) 중의 제1과. *삼계(三界)의 견혹(見惑)을 모두 끊고서 비로소 성자의 흐름에 들어섰다는 뜻. 깨달음으로 향하는 흐름에 갓 합류한 경지. 성자의 대열에 갓 들어선 자로서의 과보. *수도(修道)에 들어선 지위. 이것을 향해 .. 2017. 5. 12. 오개(五蓋)-오관(五觀) 오개(五蓋) : 마음을 덮는 5가지 번뇌로 탐냄, 화냄, 졸리움과 같은 무지몽매(無知蒙昧), 조울(躁鬱), 의심을 말합니다. 오겁사유(五劫思惟) : 아미타불이 48원(願)을 세우기 전에 5겁(劫)동안 골똘이 생각에 잠겼던 것을 말합니다. 아미타불이 과거 인위(因位)에서 법장 보살이던 때 극락정토.. 2017. 5. 12. 오근(五根) -오백나한(五百羅漢) 오근(五根) : 오근에서 근이라 하는 것은 뛰어난 작용이 있음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곧 올바른 깨달음의 길로 나가게 하는 데 뛰어난 작용을 하는 것이므로 힘써 닦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오근에는 신근(信根)으로서 불법승(不法僧)과 계(戒)에 대하여 무너지지 않는 깨끗한 믿음과 근근(.. 2017. 5. 12. 오백대원(五百大願)-오십육위(五十六位) 오백대원(五百大願) :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보장불 처소에서 보해바라문 으로 세운 500가지의 대원. 오분법신(五分法身) : 계(戒), 정(定), 혜(慧), 해탈(解脫), 해탈지견(解脫知見 : 해탈에 있어서 지와 견의 작용)이라는 다섯 가지법(덕성)을 신체로 삼는 자를 의미합니다. 궁극의 깨달음에 .. 2017. 5. 12. 오악취(五惡趣)-오적멸보궁(五寂滅寶宮) 오악취(五惡趣) : 오취(五趣), 오도(五道)라고도 합니다. 지옥(地獄), 아귀(餓鬼), 축생(畜生), 인간(人間), 천상(天上)이라는 5종류의 생존 방식을 뜻합니다. 이 중에 지옥, 아귀, 축생은 순전한 악업으로 가는 곳이며, 인간과 천상은 선악 잡업(雜業)으로 가는 곳입니다. 이 모든 곳이 미(迷).. 2017. 5. 12. 오적멸보궁(五寂滅寶宮)-오체투지(五體投地) 오적멸보궁(五寂滅寶宮) : 신라의 자장율사가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신 곳. 1) 오대산 중대사 2) 양산 통도사 3) 태백산 정암사 4) 설악 산 봉정암 5) 사자산 법흥사. 오전(五轉) : 밀교에서 보리심(菩提心)을 일으켜 불과(佛果)를 구하는 발심(發心), 삼밀(三密)의 행을 닦아, 불도에 향하여 가.. 2017. 5. 12. 오추사마-온(蘊) 오추사마 : 오추슈마의 음역. 더러운 것을 제거해 주는 명왕(明王) 이름. 형상은 팔이 여섯 개, 네 개, 두 개 등이며, 분노한 얼굴 모습을 띤다. 오탁(五濁) : 오탁은 악한 세상에 있어서의 5종류의 더러움을 이릅니다. 1) 겁탁(劫濁) : 시대의 혼탁함을 말합니다. 2) 견탁(見濁) : 사상의 혼란을.. 2017. 5. 12. 온(蘊)-왕생(往生) 온(蘊) : 모임, 쌓임, 집적(集積) 옴(唵) : 산스크리트어의 om의 음역입니다. 첫째, 인도에서는 일반적으로 종교적인 의식전후에 암송되는 신성한 음이었습니다. 원래는 <그렇다>라는 응락을 나타내는 경어(헤브하이의 아멘에 해당합니다.) 입니다. 바라문교에서 사용되어, 힌두교·쟈.. 2017. 5. 12. 외도(外道) -요지(了知) 외도(外道) : 인도에서 불교 이외의 다른 종교의 가르침을 의미하며, 불교는 내도(內道)라고 합니다. 그러나 중국의 유교나 도교는 제외되었습니다. 요(要) : 요는 먼저 출요(出要 : 생사 윤회를 벗어나는 것), 출리(出離 : 번뇌의 속박을 벗어나는 것)의 요도(要道)를 말합니다. 해탈을 의미.. 2017. 5. 12. 욕계(欲界) - 용심(用心) 욕계(欲界) : 욕망이 지배하는 세계로서, 본능적 욕망이 성하고 강력한 곳입니다. 삼계(三界)의 하나로 식욕(食慾), 음욕(淫慾), 수면욕(睡眠慾)의 삼욕(三慾)이 있는 세계입니다. 위는 육욕천(六慾天)에서, 중간에는 인간계인 사대주(四大州), 밑은 8대지옥에 이릅니다 욕애주지(欲愛住地) :.. 2017. 5. 12. 용왕(龍王)-우바이 용왕(龍王) : 천룡 8부중의 하나. 수많은 용들 중에서 가장 우두머리 용이라는 뜻. 용화회(龍華會) : 석존의 입멸 뒤 56억7천만년 후에 미륵보살이 이 세상에 나와 용화수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고 사람들을 구제한다는 신앙에 근거한 설법의 법좌(法座)를 말합니다. 우담발화(優曇鉢華) : 인.. 2017. 5. 12. 우바이(優婆夷)-우파제사(優婆提舍) 우바이(優婆夷) : 여성의 세속신자, 여성신도를 일컫는 말입니다.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 제3권에 들어 있는 청신녀품(淸信女品)에는 모두 32가지 방면에 걸쳐 최고였던 우바이, 즉 재가의 여신자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몇몇을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발타바라수염마 .. 2017. 5. 12. 우필차(優畢叉)-원(願) 우필차(優畢叉) : 불고불락(不苦不樂)을 말합니다. 평등(平等), 사(捨,) 부쟁(不諍)이라고 번역합니다. 천태종에서는 공(空)과 유(有)의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중도관(中道觀)을 뜻합니다. 우화서(雨華瑞) : 법화 6서(瑞) 가운데 제3서입니다. 세존께서 <법화경>을 설하려고 삼매에 .. 2017. 5. 12. 이전 1 ··· 69 70 71 72 73 74 75 ··· 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