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62

적멸도량(寂滅道場)-전륜성왕(轉輪聖王) 적멸도량(寂滅道場) : 석가모니가 깨달음을 얻었던 장소, 즉 니련선하의 보리도량을 가리킴. 화엄경에 나오는 설처(說處) 중의 하나로서 마갈다국의 가야성 남쪽에 자리한 보리수 아래를 가리킴 적멸락(寂滅樂) : 미혹(迷惑)의 세계를 영원히 벗어난 경계로서 열반에 드는 즐거움 적적대.. 2017. 5. 11.
전미개오(轉迷開悟) -점교(漸敎) 전미개오(轉迷開悟) : 삼계에 윤회생사(輪廻生死)하는 미혹을 버리고 전 향(轉向)하여 열반의 깨달음을 여는 것. 전법관정(傳法灌頂) : 비밀교(秘密敎)의 학습을 성취하였을 때 대아도리 (大阿 利)의 직계를 받고 밀법을 다른 이에게 전해 주는 지위 에 오르는 관정(灌頂). 전법륜(轉法輪) .. 2017. 5. 11.
정거천(淨居天)-정변지(正遍知) 정거천(淨居天) : 색계(色界)의 제사선천(禪天)에 있는 천상으로서 성자만이 거처하는 곳. 정근(正勤) : 선법을 더욱 자라게 하고 악법을 멀리 여의려고 부지런히 수행하는 법을 말함. 정등각자(正等覺者) : 석가모니를 부르는 열 가지 호칭 중 하나. 정등각을 얻은 이, 즉 바르고 참된 깨달.. 2017. 5. 11.
정사(正士)-정취보살(正趣菩薩) 정사(正士) : 대사(大士)라고도 하는데 보살을 말함 정사(精舍) : 수행 정진하는 스님들이 계시는 곳 - 범어 “비하라=寺=머무는 집 정사(精舍) : 본래 우기(雨期) 동안 수행자들이 안거했던 주거지를 가리키는 말. 점차 발전하여 수행자들의 상주처이자 의지처가 되는 절을 가리킴. 정성육.. 2017. 5. 11.
정토(淨土)-제법무아(諸法無我) 정토(淨土) : 중생이 머무는 세계는 탐, 진, 치 삼독에 의한 예토(穢土)이지만 불타가 머무르는 세계는 오직 깨달음에 의한 거룩한 청정광명각(淸淨光明覺)의 세계이므로 정토(淨土)라고 하는 것입니다. 정토를 정리(淨利), 정계(淨界), 정국(淨國)이라고도 합니다. 대승불교에서는 열반의 .. 2017. 5. 11.
제법실상(諸法實相)-제운반야(提雲般若) 제법실상(諸法實相) : 모든 존재, 즉 제법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 진실의 상태. 제법이란 인연에 따라 발생하고 존재하는 차별의 현상, *실상이란 그 진실의 본래 상태로서 평등한 불변의 이치. *연기하는 것, 즉 *공인 만물이 어떠한 순간에도 진실한 것임을 적극적으로 나타내는 개념. 대.. 2017. 5. 11.
제육천(第六天)-제자품(弟子品) 제육천(第六天) : 욕계 육천 중 여섯 번째 하늘로 욕계의 가장 높은 곳. 이곳에 태어난 사람은 다른 것의 즐거움도 자기의 낙으로 할 수 있으므로 타화자재천 이라고도 함. 제이능변(第二能變) : 유식(唯識)에서, 3능변(能變) 중 하나. 8식(識) 중에서 제7 말나식(末那識). 제이정려(第二靜慮) .. 2017. 5. 11.
제취(諸趣)-조달(調達) 제취(諸趣) : 중생들이 윤회하는 육도(육도) 즉 「천상, 인간, 아수라, 지옥, 아귀, 축생」을 말한다. 나아가서는 정신상의 온갖 분별을 이름이다. 제팔식(第八識) : 아뢰야식의 별명. *8식 중에서 제일 끝에 자리하므로 제8식이라 함. 제행(諸行) : ① 행은 옮겨 흐른다는 뜻으로서, 인연으로.. 2017. 5. 11.
조동종(曹洞宗)-존자(尊者) 조동종(曹洞宗) : 이 이름이 어느 때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法眼文益(법안문익)선사의「宗門十規論(종문십규론)」에 있는 것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洞」은 洞山良价(동산양개)에서,「曹」는 洞山의 제자 曹山本寂(조산 본적)이 그 宗旨(종지)를 크게 밝혀 완성한.. 2017. 5. 11.
종교 -좌탈입망(坐脫立亡) 종교 : 우주 인생의 근본을 밝혀 삶의 보람과 영광을 가르치는 교육 종문지일관(宗門之一關) : "종문"이란 불교의 정통인 선종을 일컫는 말이다. "관문"이란 옛날 국방이나, 경제적으로 중요한 곳에 군대를 두어 지키게 하고 오가는 사람과 드나드는 물건을 검사하던 곳이다. 「화두를 통.. 2017. 5. 11.
죄(罪)-주장(柱杖) 죄(罪) : 고난을 받게 되는 악업을 초래하는 행위, 또는 금계(禁戒)를 범한 경우. 죄과(罪過). 죄업(罪業) : 죄가 되는 행위, 또는 금계를 범하는 악업을 행함으로써 미래에 받게 되는 고과(苦果)의 원인을 가리킴 주겁(住劫) : 4중겁 가운데 하나이다. 성겁에서부터 회겁에 이르는 사이인 이 .. 2017. 5. 11.
주지(住持)스님-중생(衆生) 주지(住持)스님 : 사찰의 일을 주관하는 스님-사찰의 전권을 행사하는 총책임자 스님 주지번뇌(住地煩惱) : 모든 번뇌가 생겨날 수 있는 기초적인 번뇌입니다 주지삼보(住持三寶) : 후세에 전해지는 삼보를 말함이니, 금속으로 붓거나 나무로 조각하거나 돌로 다듬거나 흙으로 빚거나 채.. 2017. 5. 11.
중생상(衆生相)-중회(重誨) 중생상(衆生相) : 5온이 집합함으로써 자아가 중생의 신체를 구성한다고 오해하는 것. 중생이라는 관념 중유(中有) : 4유(有) 중의 하나. 전세(前世)에 죽은 뒤에 다음 생을 받기까지의 존재 상태를 가리킴. 중음(中陰), 중온(中蘊). 중음(中陰) : 전세(前世)에 죽은 뒤에 다음 생을 받기까지의.. 2017. 5. 11.
즉신성불(卽身成佛)-증상심(增上心) 즉신성불(卽身成佛) : 현세이 있는 그 몸이 그대로 곧 부처가 되는 일. 한 생각 사이에 큰 깨달음을 얻는 일을 뜻하기도 한다. 즉심시불(卽心是佛) : 내 몸과 마음이 곧 정토이며 아미타불이라고 관하 여 마음속의 부처를 염하는 일. 즉심염불(卽心念佛) : 유심이 미타고 내몸이 정토라고 알.. 2017. 5. 11.
증상연(增上緣)-지계(持戒) 증상연(增上緣) : 1,4연(緣)의 하나. 다른 법을 일으키는 데 강한 힘이 되는 것. 예컨대 안근(眼根)이 안식(眼識)을 일으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말함. 2,*4연(緣)의 하나. 주된 원인을 돕는 보조적인 원인. 다른 존재가 발생하는 데 간접적인 원인으로서 조력하거나 장애가 되지 않는 조건. 다.. 2017. 5. 11.
지계바라밀(持戒波羅蜜) -지승 지계바라밀(持戒波羅蜜) : 6도(度), 10바라밀의 하나. 지계(持戒)의 수행을 뜻함. 몸과 말과 뜻, 3업에 대한 계율을 지키는 것. 지국천왕(持國天王) : 욕계(欲界) 6천(天) 중 4천왕천(天王天)을 주재하는 4천왕 중 동방의 천왕. 수미산왕(須彌山王)의 동쪽으로 4만 리 떨어진 곳에 지국천왕의 성.. 2017. 5. 11.
지옥(地獄)-지장전(명부전) 지옥(地獄) : 나라카, 니라야의 번역. 3악도(惡道), 5취(趣), 6도(道), 10계(界) 중의 하나. 중생이 지은 악한 죄업(罪業)에 따라 머무는 지하(地下)의 뇌옥(牢獄). 나락가(奈落迦), 니라야(泥 夜), 니려(泥黎), 니리(泥犁). 지옥고(地獄苦) : 지옥의 고통. 지자(智者) : 지혜로운 이, 곧 불타(佛陀). .. 2017. 5. 11.
지전(知殿)스님-지혜바라밀(智慧波羅蜜) 지전(知殿)스님 : 殿主(전주)스님-불전에 대한 청결, 향, 등 등의 일체를 맡은 스님, 대웅전이나 다른 법당을 맡은 스님을 노전스님이라 함 지제(支提) : 차이티야의 음역. 支帝, 脂帝라고도 함. 흙이나 돌, 벽돌을 쌓아 올려서 무더기를 이룬 것. *탑파(塔婆)와 같은 뜻으로 쓰임. 본래 사리(.. 2017. 5. 11.
지혜제일(智慧第一)-진나(陳那) 지혜제일(智慧第一) : 석가의 수제자인 사리불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는 중부 인도의 마가다국 수도 왕사성 근처의 브라만 출신이었으며, 젊었을 때부터 학문에 뛰어나 당시의 유명한 논사였던 외도 6사 가운데 한 사람인 산자야 밑에 있다가 출가하였다. 주로 교화 활동에 종사한 그는 .. 2017. 5. 11.
진능파(眞能破)-진언(眞言) 진능파(眞能破) : 인명(因明) 8문(門) 중의 하나. 입론자(立論者)의 논식이나 주장의 오류를 지적하는 것. 진리(眞理) : 참된 이치. 참된 도리. 불법을 말함. 어디서나 누구나 승인 할 수 있는 보편 타당한 인식. 진미래제(盡未來際) : 미래의 제한이 다한 것. 곧 미래의 끝이 다해 없 다는 뜻으.. 2017. 5. 11.
진언종(眞言宗)-질다(質多) 진언종(眞言宗) : 불교의 한 종파. 대일경, 금강정경, 소실지경 들에 의 거하여 태장, 금강의 두 부를 세워서 다라니의 법력으로 이 몸 이 곧 부처가 되기를 본지로 하는 종파. 밀교라고도 함. 진여(眞如) : 범어 타타타(tathata)의 번역으로 사물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뜻하는 말입니다. 사.. 2017. 5. 11.
질역재(疾疫災)-차닉(車匿) 질역재(疾疫災) : 4겁 중에서*주겁(住劫) 때 중생들에게 일어나는 소삼재(小三災) 중 하나. 집금강(執金剛) : 손에 금강장(金剛杖)이나 금강저(金剛杵) 등의 무기를 들고 있는 역사(力士)의 이름. 부처와 천신을 호위하는 호법 신장의 일종. 집기(集起) : 온갖 조건 즉 연(緣)이 모여서 일어나.. 2017. 5. 11.
차수(叉手) -찰리(刹利) 차수(叉手) : 합장 다음 가는 인도의 예법인데, 왼손으로 오른손을 쥐고 가슴과 약간 띄어 젖가슴 높이로 올린다. 차안(此岸) : 차안(此岸)은 미혹의 세계, 생사의 세계, 피안(彼岸: 깨달음의 세계)의 반대의 말입니다. 차안(此岸)은 생사의 세계로 '이 언덕'이라고 합니다.우리가 열반을 '저 .. 2017. 5. 11.
찰제리(刹帝利)-천(天) 찰제리(刹帝利) : 크샤트리야의 음역. 인도의 *4성(姓) 중 하나로서 다른 3성(姓)을 지배하는 왕종(王種). 최상 계급인 바라문 다음의 지위를 갖는다. 찰진겁(刹塵劫) : 기나긴 시간을 말한다. 한량없이 넓어 생각조차 할 수 없는 넓은 세계를 부수어 가는 먼지를 만들어 그 생각할 수 없이 많.. 2017. 5. 11.
천개(天蓋)-천상(天道) 천개(天蓋) : 장엄물의 하나. 닫집이라고도 함. 불보살 상이 안치된 불단 위에 일산(日傘)양식의 덮개를 조성하여 장엄을 도모한 조형물. 본래 비나 먼지 등을 방지 하기 위해서 조성하기 시작했으나, 후대에는 장엄의 기능이 더 강조되었다. 천계(天界) : 욕계천·색계천·무색계천의 총.. 2017. 5. 11.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천안천비관세음보살다라니신주경(千眼千臂觀世音菩薩陀羅尼神呪經)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 : 석가모니부처님의 탄생설화에는 태자가 탄생한 직후 사방으로 일곱 걸음씩을 걸은 다음 오른손과 왼손으로 각각 하늘과 땅을 가리키며 우렁찬 목소리로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이란 유명한 선언을 하셨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면 .. 2017. 5. 11.
천안통(天眼通)-천진면목(天眞面目) 천안통(天眼通) : 6신통(通) 중의 하나. *천안의 신통. 천안지통(天眼智通). 천왕문 : 부처님의 세계를 지키는 사천왕을 모신 문, 일명 봉황문 동쪽에 지국천왕 - 비파를 가짐 서쪽에 광목천왕 - 여의주, 새끼줄을 가짐, 남쪽에 증장천왕-보검 가짐, 북쪽에 다문천왕 - 보탑을 가짐 천의의회(.. 2017. 5. 11.
천축삼장(天竺三藏) -청백지법(淸白之法) 천축삼장(天竺三藏) : 천축은 인도이며 삼장은 경(經).율(律).론(論)등 불교의 교리 전부를 말하기도 하고, 또는 三장에 정통한 법사를 말하기도 함. 천친(天親) : 인도의 승려로 불교학자로 세친이라고도 하며, 바수반두·벌소반도 등으로 음역한다. 간다라국의 정통 브라만 출신으로 형인.. 2017. 5. 11.
청신녀(淸信女)-초능변(初能變) 청신녀(淸信女) : 우파시카의 번역. ⇒ 우바이(優婆夷). 청신사(淸信士) : 우파사카의 번역. ⇒ 우바새(優婆塞). 청원행사(靑原 行思) : ( ? ~ 740) 속성은 劉(류)씨이며 강서성 吉安府 盧陵縣(길안부 노능현)에서 출생 하였다. 어려서 출가하여 깨친 바 있어 曹溪(조계)에 가서 六祖의 인가를 받.. 2017. 5. 11.
초발심(初發心) -총림(叢林) 초발심(初發心) : 처음으로 보살의 마음을 발하여 구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① 처음으로 깨달음을 구하는 마음을 일으키는 것이라는 뜻. ② 처음으로 대승의 도에 나아가려고 하는 마음. 초승(超昇) : 초월적으로 향상하는 것. 미망세계를 초월하여 깨달음에 오르는 것. 생사의 바다를 .. 2017.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