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62 원각(圓覺)-원륜(願輪 ) 원각(圓覺) : 부처님의 원만한 깨달음. 원각경 : 원명은 대방광원각수의전요의경 - 문수, 보현 등 12만명의 보살이 차례로 등장하여 부처님께 가르침을 청함 원각경(圓覺經) : 북인도 출신인 불타다라(Buddhatara)가 당나라 때 백마 사에서 번역하였다고 하는 경. 내용은 석가여래의 원만한 각.. 2017. 5. 12. 원리(遠離)-원음(圓音) 원리(遠離) : 원리는 현세의 집착이나 그 집착의 연이 되는 것을 초월하는 것을 말합니다. 더러운 일은 하지 않는 것, 사람들에게서 멀어지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원바라밀(願波羅蜜) : 원바라밀은 소원의 완성이라는 뜻으로 십바라밀(十波羅蜜)중에 제8입니다. 깨달음을 얻으려고 서.. 2017. 5. 12. 원인논(原人論)-월광태자(月光太子) 원인논(原人論) : 당나라 종밀이 지은 책으로 전권 4편으로 나누어져 있 다. 유교, 도교, 불교 삼교의 인간관을 비교해서, 불교가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설한 책. 원작불심(願作佛心) : 부처님이 되려고 기원하는 마음을 말합니다. 상구보리(上求菩堤)의 마음입니다. 원적(圓寂) : 원적은 입.. 2017. 5. 12. 월륜관(月輪觀)-위제희(韋提希) 월륜관(月輪觀) : 밀교의 모든 관법에서 기초적인 관법으로 직경50센티에 월륜(月輪 : 달)을 그리고 가운데에 팔엽(八葉)의 백연화(白蓮華)를 그립니다. 그 위에 금색의 아자(阿字)를 쓴 족자를 향해 결가부좌를 하고 손에 인(印)을 연결, 호흡을 정리하고 자신의 마음이 월륜과 같다고 관(.. 2017. 5. 12. 위타천(韋馱天)-유구(有句) 위타천(韋馱天) : 산스크리트어로는 Skanda 입니다. 본래 바라문교의 신으로 시바신의 아들입니다. 후에 불교에 있어 가람(伽藍)의 수호신이 됩니다. 증장천(增長天)의 8대 장군 중의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발이 빠른 것으로 알려져 위타천의 걸음이라고 합니다. 일설에 의하면 그리이스.. 2017. 5. 12. 유기법(有記法)-유륜(有輪) 유기법(有記法) : 선성(善性) 또는 악성(惡性)의 법을 가르킵니다. 이는 선악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선 또는 악으로서 정해져 있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무기법의 반대말입니다. 유나(維那) : 유나는 수사(授事)의 뜻입니다. 대중에 잡무를 맡고 그들을 지도, 감독하는 사람을 말.. 2017. 5. 12. 유리(有離) -유상(有相) 유리(有離) : 번뇌로부터의 출리(出離)를 갖추는 것, 니르바나를 갖추는 것, 니르바나에 이르러야 할 것 등의 의미입니다. 유리는 유의법의 다른 이름으로 일체의 유의법은 궁극적으로 사리(捨離)시켜서 니르바나로 전환해야 하는 것이므로 이렇게 말합니다 유리관음(瑜璃觀音) : 향왕관.. 2017. 5. 12. 유상천(有想天)-유심(唯心) 유상천(有想天) : 무색계(無色界)의 두번째인 식무변처천(識無邊處天)을 말합니다. 이 천(天)에서는 아직 일체의 집착하는 마음을 끊을 수가 없기 때문에, 유상천이라 한 것입니다. 유소단자(有所斷者) : 보살 수행의 계위(階位)입니다. 등각위(等覺位)를 말합니다. 부처임의 지위에서 다음.. 2017. 5. 12. 유심(有心)-유위공(有爲空) 유심(有心) : 유심은 마음을 가진다는 의미로 중생을 말합니다. 또한 집착의 마음으로 어느 것인가에 구애되어 있는 것입니다. 범부의 사려(思慮)이며, 망념이라는 뜻입니다. 유심정토(唯心淨土) : 유심(唯心)의 미타라고도 하며, 마음속에 인정되는 정토(淨土)를 말합니다. 일체만유(一切.. 2017. 5. 12. 유위법(有爲法)-유해(有海) 유위법(有爲法) : 형성된 것의 존재 형태를 말합니다. 여러 종류의 조건이 모여서 형성된 것이라는 뜻으로, 이것은 윤회하는 우리들의 생존을 구성하고 만들어진 것입니다. 인연에 의해 생멸하는 현상계의 일체의 사물, 다양한 원인과 조건에 따라 생성된 존재입니다. 유위상(有爲相) : 유.. 2017. 5. 12. 유희관음(遊戱觀音) -육근(六根) 유희관음(遊戱觀音) : 관음의 유희 자재(遊戱自在), 즉 어떤 경우에서도 몸을 자재롭게 나투는 것을 보여주는 보살이다. 관음32응신도에서 그 화면의 중심을 점하는 보살이 유희좌로 앉아 있다. [법화경]{보문품} 게송에 "흉악한 사람에게 쫓겨가다가 금강산에 떨어져도 관세음을 염하면 .. 2017. 5. 12. 육근청정(六根淸淨)-육도사생(六道四生) 육근청정(六根淸淨) :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 의(意)의 6근이 더러움을 버리고 맑게 되는 것입니다. 인간의 심신(心身)이 갖가지의 공덕에 가득차 청정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육난(六難) : 6종의 난사(難事)입니다. 부처님의 출현을 만나기 어렵고, 정법(正法)을 듣기가 어.. 2017. 5. 12. 육도윤회-육성취(六成就) 육도윤회 : 1. 지옥 2. 아귀 3.축생 4. 아수라 5.인간 6.천상도로 돌고 돌아 태어나고 죽음을 반복함을 말함 육도중생(六道衆生) : 6도 즉 미혹의 세계에서 태어나고 죽는 것을 거듭하는 모든 생류(生類)를 가리킴. 육력(六力) : 6가지의 가가 다른 힘. 아이는 울음으로 힘을 삼고, 여인 은 분노.. 2017. 5. 12. 육시관음(六時觀音)-육종고행외도(六種苦行外道) 육시관음(六時觀音) : 6시란 하루를 의미한다. 주야로 항상 중생을 수호하는 관음이다. 33신 중 거사신의 모습으로 범협(경전)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범협관음이라고도 불린다. 육식(六識) : 여섯 가지 인식 작용.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 의(意)이라는 *6근(根)에 의존하여 각각.. 2017. 5. 12. 육지장(六地藏)-음입처계(陰入處界) 육지장(六地藏) : 6도를 모두 교화한다는 여섯 지장. 나투는 곳에 따라 각각 이름이 다르다. 곧 지옥도에 단타지장, 아귀도에 보주지 장, 축생도에 보인지장. 수라도에 지지지장. 인간도에 제개장 지장 천상도에 일광지장. 육처(六處) : 육처는 명색이 있게 되면 명색을 따라 발생하는 것입.. 2017. 5. 12. 음향인(音響忍)-의상(義湘) 음향인(音響忍) : 불.보살의 음성(가르침) 또는 극락세계의 미묘한 음악을 듣고 깨닫는 것. 응공 : 세상의 존경과 공양을 받을 만한 분 응공(應供) : 석가여래의 열 가지 칭호 가운데 하나. 온갖 번뇌를 끊어서 인간 천상의 모든 중생으로부터 공양을 받을 만한 사람이라는 뜻 응무소주이생.. 2017. 5. 12. 의정-이빈(二貧) 의정 : 사람 이름. 635∼713년 생존. 중국 범양(范洋) 출신. 성은 장(張)씨, 자는 문명(文明)이다. 어린 나이에 출가하였으며, 일찍이 법현(法顯)과 현장(玄 ) 스님을 마음 깊이 흠모하였던 의정 스님은 인도에 유학하기를 뜻하였다. 27세 때인 671년부터 695년(또는 698년)까지 남해(南海), 인도(.. 2017. 5. 12. 이사나(伊舍那)-이십오보살(二十五菩薩) 이사나(伊舍那) : 12천 중의 하나로 마혜수라천이나 자재천 이라고도 하 는데, 새계의 정상에 살고 있다는 천신. 3개의 눈과 8 개의 팔 을 가졌으며 흰 소를 타고 흰 총채를 들고 있고 큰 위엄과 덕 망을 지녔다고 이사무애관(理事無碍觀) : 평등한 진리의 본체인 이(理)는 물과 같고, 사 (事).. 2017. 5. 12. 이십오유(二十五有)-이체(理體) 이십오유(二十五有) : 3계 6도에 유정으로 존재하는 중생이 25종이 있음 1) 4악도: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2) 4주: 동불바제. 남염부 주. 서구야니. 북울단월. 3) 6욕계 하늘: 사왕천. 도리천. 야마천. 도솔천. 화락천. 타화재천. 4) 색계: 초선천. 범왕천. 제2선천. 제3선천. 제4선천. 무상천. 5나.. 2017. 5. 12. 이타행(利他行)-인다라(因陀羅) 이타행(利他行) : 남에게 공덕과 이익을 베풀어주며 중생을 구제하기 위 해 노력하는 것. 이행이라고도 함. 이판사판(理判事判) : 이판사판(理判事判)은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의 합성어입니다. 이판은 참선, 경전 공부, 포교 등 불교의 교리를 연구하는 스님을 말하고, 사판이란 절의 산.. 2017. 5. 12. 인도(人道)-인왕(仁王) 인도(人道) : ①6도(道) 중의 하나. 인간 세계를 말함. 인계(人界), 인취(人趣). 사람이 지키는 도덕. 인로왕보살(引路王菩薩) : 망자를 극락정토로 인도하는 영계(靈界)의 안내자를 인로왕보살이라 한다. 한국 사찰의 불전 하단에는 죽은이의 영가를 천도하기 위한 영가단이 있으며 그 뒤편.. 2017. 5. 12. 인욕(忍辱)-일기일경(一機一境) 인욕(忍辱) : 어떠한 고통이나 원한, 모욕도 참고 견디며, 모든 번뇌를 떨쳐 버리고 불법을 꾸준히 닦아가는 것. 인욕바라밀(忍辱波羅蜜) : 6도(度), 10바라밀의 하나. 어떠한 고통이나 원한, 모욕도 참고 견디며, 모든 번뇌를 떨쳐 버리고 불법을 꾸준히 닦아가는 수행. 다른 모든 계행을 더.. 2017. 5. 12. 일념불생(一念不生)-일상관(日想觀) 일념불생(一念不生) : 한 생각에 몰입하여 망상과 사된 마음이 생기지 않는 것. 불도를 생각하는 일념에 망심이 생기지 않는 경계. 일념왕생(一念往生) : 단 한 번의 칭명(부처님의 명호를 부름)으로 극락 왕생 할 수 있다고 믿는 사상. 일대사(一大事) : 가장 중요한 일. 부처님이 이 세상에.. 2017. 5. 12. 일상삼매(一相三昧)-일원상(一圓相) 일상삼매(一相三昧) : 진여의 세계는 평등하여 한결같고 차별이 없는 한 모양이라고 보는 삼매. 일생보처(一生補處) : 바로 다음 생에서는 부처의 지위를 얻게 되는 위치. 보살의 지위 중에서 가장 높은 위치. 일승(一乘) : 불교의 참다운 가르침은 오직 하나로, 그 가르침에 의하여 모든 중.. 2017. 5. 12. 일자불설(一字不說)-일체종지(一切種智) 일자불설(一字不說) : 부처님의 경지는 문자로써는 표현할 수 없다는 말. 일종(一種) : 일종자(一種子)의 준말이며, 일생 동안이나 끌어갈 만큼 큰 번뇌의 종자. 일주문 : 사찰 입구에 양쪽 하나씩의 기둥으로 세워진 건물, 일주문을 경계로 문밖을 속계, 문안을 진계라 부른다. 일주문(一柱.. 2017. 5. 12. 일체중생(一切衆生)-입아아인(入我我入) 일체중생(一切衆生) : 이 세상에 살아 있는 모든 것들. 사람을 말하기도 하는데 일체유정(一切有情)과 같은 뜻. 일초직입(一超直入) :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 단번에 미혹의 세계를 뛰어넘어 깨달음에 들어감. 일초직입여래지(一超直入如來地) : 사람은 태어나기 전부터 본래 부처임 을 .. 2017. 5. 12. 입적(入寂)-자성청정(自性淸淨) 입적(入寂) : 적멸의 경지에 들어감. 성자 또는 스님이 세상을 떠난 것을 말함. 불도 수행을 끝마쳤다는 니르바나의 의미를 채용하여 적멸에 들었다고 함. 자관심경(自觀心經) : 상·하 2권인데, 상권에는 지관(止觀)을 얻고 얻지 못한 것을 간략하게 4구로 표현했으며, 하권에는 틈을 보는 .. 2017. 5. 11. 자수법락(自受法樂)-잡상관(雜想觀) 자수법락(自受法樂) : 불타가 그 광대한 깨달음의 경지에서 스스로 법의 즐거움을 향수(亨受)하는 것. 자씨(慈氏) : 현겁(賢劫)에 출현하는 제5불(佛)의 이름. ⇒ 미륵보살(彌勒菩薩). 미륵의 제자를 가리키는 자연(自然) : 자연법이(自然法爾), 법자연(法自然). 다른 어떤 힘도 빌리지 않고 .. 2017. 5. 11. 잡상관(雜想觀)-장엄겁(莊嚴劫) 잡상관(雜想觀) : 대불신(大佛身)과 소불신(小佛身), 진불(眞佛)과 화불(化佛) 등을 섞어 관조하는 것. 잡아비담심론(雜阿毘曇心論) : 법구(法救)가 법승(法勝)의 아비담심론을 해석하여 지은 책으로 전11권이며 승가발마(僧伽跋摩)의 한역본이 있다. 잡심론(雜心論)· 잡아비담경·잡아비.. 2017. 5. 11. 장엄불법제의경(莊嚴佛法諸義經)-저사(底沙) 장엄불법제의경(莊嚴佛法諸義經) : 《지심범천소문경(持心梵天所門經)》의 다른 이름으로 전4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진의 축법호(竺法護)가 한역하였다. 장자(長者) : ① 재산을 축적하고 덕을 갖춘 자의 통칭. ② 나이가 많은 자. ③ 현달하여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 ④ 관대하고 근.. 2017. 5. 11. 이전 1 ··· 70 71 72 73 74 75 76 ··· 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