卍-불법을만나고/卍-불교자료실1487 십삼승잔(十三僧殘)-십이궁(十二宮) 십삼승잔(十三僧殘) : 범어의 한자식 표기로서, 스님이 지켜야 할 250계 가운데 실정계·촉여인계·추어계·탄신색공양계·매가계·유주방계·무주방계·무근방계·가근방계·파승위련계·조파승위련계·오가빈방위련계·악성거승위계 등 13가지 종류를 말한다 십상(十想) : 무상상(.. 2017. 5. 12. 십이두타행(十二頭陀行)-십장양심(十長養心) 십이두타행(十二頭陀行) : 의·식·주를 간단히 하는 불도를 수행하는데 12조의 행법이 있다. ① 재아난야처. ② 상행걸식. ③ 차제걸식. ④ 수일식법. ⑤ 절양식. ⑥ 중후부득음장. ⑦ 저폐납의. ⑧ 단삼의. ⑨ 총간주. ⑩ 수하지. ⑪ 노지좌. ⑫ 단좌불와. 십이문론(十二門論) : 전1권으로 .. 2017. 5. 12. 십제자(十弟子)-십팔계(十八界) 십제자(十弟子) : 석존의 십대제자(十代弟子) 를 보 뜬 것으로 대법회(大法會)의 대도사(大導師), 도는 관정(灌頂)의 大阿사리 등이 인솔하는 십제자(十弟子)를 말합니다. 십주(十住) : 들어가서 반야를 다스림을 주(住)라 하고 주하면서 공덕을 생함을 지(地)라 하는데, 이미 신(信)을 얻은 .. 2017. 5. 12. 십팔변(十八變)-아견(我見) 십팔변(十八變) : 나한이 입정할 때에 나타내는 진동·치연·시현·전변·유포·왕래·권·서·중상입신·동류경취·은·현·소작자재·제타신통·능시변재·능시억렴·능시안락·방대광명 등 18가지 종류의 신변불사의. 십팔불공법(十八不共法) : 부처님은 무량한 겁에 선업을 닦.. 2017. 5. 12. 아공(我空)-아니루타(阿尼樓馱) 아공(我空) : 중생의 신체는 *5온이 화합한 것일 뿐이며, 거기에는 영원하고 불변하는 유일한 주체나 실체로서의 자아가 없음. 아귀(餓鬼) : 3도(塗), 5취(趣), 6도(道)의 하나. 프레타의 원뜻은 죽은 사람, 사체(死體), 망령(亡靈) 등이다. 전생에 악업을 짓거나 탐욕과 질투가 심한 경우에는 .. 2017. 5. 12. 아다나식(阿陀那識)-아루릇다(Aniruddha) 아다나식(阿陀那識) : 집지(執持), 무해(無解)라고 번역. 심식의 일종. 제7식 또는 제8식의 별명. 구역에서는 제7식, 신역에서는 제8식이라고 한다. 선악의 업력과 유정(有情)의 신체가 흩어지지 않도록 유지시켜 주는 심식이다. 아라야식(阿梨耶識) : 인간 존재의 근저로 상정되는 근원적인 .. 2017. 5. 12. 아리야발마(阿離耶跋摩)-아미타불(阿彌陀佛) 아리야발마(阿離耶跋摩) : 아리야바르만의 음역. 사람 이름. 신라(新羅) 출신의 고승. 7세기 중엽에 당 나라의 수도 장안(長安)을 떠나 인도에 가서 불교 유적들을 돌아보고 나란다사에서 율장과 논장을 배웠다. 고향에 돌아오기를 원했으나, 인도의 나란다사에서 입적했다. 아마라(阿摩羅.. 2017. 5. 12. 아비달마(阿毘達磨)-아비담팔건도론 아비달마(阿毘達磨) : 불교의 경전을 경(經)· 율(律)· 논(論)의 3장(三藏)으로 나눌 때에 논장(論藏), 즉 논부(論部)의 총칭이다. 석가모니의 설법을 경, 또 경을 조직적으로 설명한 것을 논이라고 하는데, 이 논을 아비달마라 음역하고, 대법(對法)이라고 의역한다. 대법이란 지혜의 별명.. 2017. 5. 12. 아비라제국(阿比羅提國)-아수라(阿修羅) 아비라제국(阿比羅提國) : 동방으로 1천 불국(佛國)을 지난 곳에 있는 정토 이름으로 아촉불이 주재한다. 아비지옥(阿鼻地獄) : 아비는 지하의 뇌옥이므로 지옥이라 한다. 이것은 지하의 가장 밑에 있기 때문에 그 위에 다른 대지옥들이 첩첩이 있다고 한다. 아사리 : 제자의 행위를 교정하.. 2017. 5. 12. 아승기(阿僧祇)-아타바구 아승기(阿僧祇) : 무수(無數), 무앙수(無央數)라고 한역하며, 셀 수 없다라는 뜻입니다. 인도의 수량의 하나로 인도에서는 실제로는 거대한 수의 단위로써 생각되었습니다.10의 59승을 의미합니다. 아승기겁(阿僧祈劫) : 산스크리트 어 아상키야 칼파의 음역어. 헤아릴 수 없이 긴 시간을 뜻.. 2017. 5. 12. 아트만(Atman) -악지식(惡知識) 아트만(Atman) : 고대인도 철학 사상에서 상주, 단일, 주제로서 중시한 절대의 아(我) 사상. 그러나 불교는 그러한 아(我)는 부정하고 아(我)나 자아(自我)는 모두 다른 많은 요소의 인연 결합으로 생겨나는 것이라고 해석하였음. 아함(阿含) : 아가마의 음역. 阿 이라고도 함. ①성인(聖人)이.. 2017. 5. 12. 악혜(惡慧)-안름 악혜(惡慧) : 법상종 사람들이 가지는 원융(圓融)을 한번 맛보지 못하는 소견. 나쁜 지혜. 안거(安居) : 안거란 한여름 석 달 동안 걸식하러 다니지 않고 한곳에 정주한 채 연구, 정진, 수양에 힘쓰는 것을 말합니다. 안거(安居)는 우기(雨期, 비가 오는 때)를 뜻하는 말로 하행(夏行), 하경(夏.. 2017. 5. 12. 안법흠-암바라파리원(菴波羅婆利園) 안법흠 : 사람 이름. 안식국(安息國) 출신. 중국 서진(西晋) 시대 때 낙양(洛陽)에 들어와, 281년부터 306년까지 아육왕전을 비롯하여 총 5부 16권을 번역했다. 안세고(安世高) : 중국 후한 때에 불경을 번역한 승려로 이름은 청(淸)이며, 세고는 자이다. 이란 북동부에 있던 안식국(安息國)의 .. 2017. 5. 12. 암자(庵子) -야차(夜叉) 암자(庵子) : 큰절에 딸린 작은 절이라는 뜻 - 주로 큰절 안에 있음 집으로 당나라 때 불교건축물에 씀 암호관음(巖戶觀音) : [보문품]게송에 관세음을 염하는 거룩한 힘으로 도마뱀, 뱀, 살모사, 전갈의 독으로부터 벗어난다는 것에서 유래하는데, 독충들이 머무르는 암호에 앉아 있다. 앙.. 2017. 5. 12. 약건도-양류관음(楊柳觀音) 약건도 : 20 건도 가운데 일곱 번째로 아침에서 정오까지 먹는 식사를 가리키는 시약(時藥), 병든 자가 때 아닌 때에 먹는 것을 말하는 비시약(非時藥), 칠일약(七日藥), 병든 비구가 종신토록 먹는 약식을 가리키는 진형수약(盡形壽藥) 등 네 종류가 있다. 약사여래(藥師如來) : 동방 정유리.. 2017. 5. 12. 양족존(兩足尊)-업보(業報) 양족존(兩足尊) : 두발을 가진 존재 중에서 가장 높은 이. 또는 계와 정, 복과 지를 원만하게 갖추었다는 뜻으로 부처님을 높이는 말. 어람관음(魚籃觀音) : 손에 물고기가 가득찬 어람(魚籃)을 들거나 혹은 큰 고기를 타고 있다. 당나라 시대, 한 물고기 장수의 아름다운 딸이 [보문품]을 수.. 2017. 5. 12. 업연(業緣)-여래시교승군왕경(如來示敎勝軍王經) 업연(業緣) : 일체의 유정(有情)은 모두 업연에 의해 일어 난다는 것. 즉, 선업은 낙과(樂果)의 인연을 부르고 악업은 고과(苦果)의 인연을 부른다는 것. 업인(業因) : 과보를 받게 되는 원인. 예컨대 선업은 낙과(樂果)의 원인이 되고, 악업은 고과(苦果)의 원인이 됨. 업장(業障) : 3장(障)의 .. 2017. 5. 12. 여래십호(如來十護)-여습(餘習) 여래십호(如來十護) : 부처의 열 가지 다른 이름. 응공(應供)·정변지(正邊知)·명행족(明行足)·선서(善逝)·세간해(世間解)·무상사(無上士)·조어장부(調御丈夫)·천인사(天人師)·불(佛)·세존(世尊) 등. 여래장(如來藏) : 여래의 태(胎 : 모태와 태아의 어느 쪽을 의미함)라는 뜻입니.. 2017. 5. 12. 여시아문(如是我聞)-여의륜관음(如意輪觀音) 여시아문(如是我聞) : 여시아문(如是我聞)은 '이렇게 나는 들었다'는 뜻으로, 여문여시(如聞如是)라고도 합니다. 경전의 첫머리에 나오는 말로 붓다가 입적할 때 법문을 외어 지닌 것이 많았던 아난에게 모든 경전의 처음에 이 말을 두어 외도(外道)의 성전과 구별하도록 한 것에 의한다고.. 2017. 5. 12. 여의륜다라니경(如意輪陀羅尼經)-역경(譯經) 여의륜다라니경(如意輪陀羅尼經) : 여의륜관음(如意輪觀音)이 설한 단법(壇法)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전1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나라 보리유지(菩提流志)의 한역본이 있다. 여의륜보살(如意輪菩薩) : 여섯 관음 가운데 하나인 여의륜관음(如意輪觀音)이라고도 한다. 이 보살은 손에 여.. 2017. 5. 12. 역대삼보기(歷代三寶紀)-연각승(緣覺乘) 역대삼보기(歷代三寶紀) : 중국 수나라의 비장방(費長芳)이 개황(開皇) 17년(597)에 저술한 불교 역사서로 전15권이다. 《삼보기》·《개황삼보기》라고도 한다. 내용은 제년(帝年) 3권, 역경(譯經) 9권, 입장목(入藏目) 2권, 총목(總目) 1권의 4부로 되어 있다. 역대조사(歷大祖師) : 석존으로.. 2017. 5. 12. 연결불생(緣缺不生)-연명관음(延命觀音) 연결불생(緣缺不生) : 일체의 만법은 모두 인연 화합하여 생기고, 미래로부터 현재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그 연이 부족하면 법은 생기는 일이 없이 영원히 미래에 멈춰 나타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연기(緣起) : 다른 것과의 관계가 연이 되어 생기(生起)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든 현상.. 2017. 5. 12. 연명법(延命法) -연화장(蓮華藏) 연명법(延命法) : 보현연명보살을 본존으로 하고 수명을 늘리며, 지혜·경애(敬愛)를 얻는 것을 기원하는 기도법입니다. <금강수명다라니경>에 근거한 밀교의 수행법으로 주로 수명을 늘리고, 모든 복덕과 재물을 늘리고, 총명한 자녀를 낳게 해달라고 바라는 기도법입니다. 연명지.. 2017. 5. 12.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열하증(列河增)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 연화 속에 담겨있는 세계(연화의 나라)를 말합니다. 비로자나불이 계신 정토, 결국 우리가 사는 세계를 연화에 비유해 말한 것입니다. 연화좌(蓮花座) : 불상 대좌 가운데 가장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연꽃 줄기를 도안한 앙련(仰蓮) 이나 복련(覆蓮) 대좌 등이 있.. 2017. 5. 12. 염(念)-염불 왕생원(往生願) 염(念) : 생각해 내거나 기억하는 것, 과거를 추억하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불교에서 관하는 것이나 염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염계융절(念界融絶) : 우리의 일념(一念)의 생각과 세상의 모든 것이 하나의 존재로 융합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차만별로 활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 2017. 5. 12. 염불(念佛)-염주(念住) 염불(念佛) : 염불은 마음 속으로 부처님을 항상 생각하는 것을 말합니다. '나무관세음보살', '나무아미타불', '나무석가모니불' 등은 부처님을 염원하는 소리입니다. 즉 부처님께 귀의하고 모든 것을 부처님의 뜻에 따라 수행하는 것이 염불인 것입니다. 염불에는 부처님이 깨달으신 진리.. 2017. 5. 12. 염주(念珠)-영가(詠歌) 염주(念珠) : 부처님을 생각하기 위한 구슬로 염불의 도구 임 부처님께 예배할 때 손에 걸거나 돌리며 부처님을 간절히 생각하며 수를 헤아려 잡념을 없애고 정신을 한 곳에 집중시키기 위함 백팔염주, 천염주 등이 있고 7개,16개,21개의 손목용 단주가 있음 염주(念珠) : 염불하거나 절을 .. 2017. 5. 12. 영골(靈骨)-예류과(預流果) 영골(靈骨) : 사람이 죽은 뒤 그 시체를 화장하고 남은 뼈. 산골(散骨), 유신(遺身), 설리라(設利羅). 사리(舍利). 영락(瓔珞) : 지유라(枳由羅). ①보석, 주옥, 귀금속, 꽃 등을 끈에 꿰어서 몸을 치장하는 장신구. 고래로부터 인도의 귀족층에서는 남녀가 모두 사용했다. 불보살상의 머리, 몸,.. 2017. 5. 12. 예류과(預流果)-오가칠종(五家七宗) 예류과(預流果) : 아라한의 지위에 이르는 단계를 나타내는 4과(果) 중의 제1과. *삼계(三界)의 견혹(見惑)을 모두 끊고서 비로소 성자의 흐름에 들어섰다는 뜻. 깨달음으로 향하는 흐름에 갓 합류한 경지. 성자의 대열에 갓 들어선 자로서의 과보. *수도(修道)에 들어선 지위. 이것을 향해 .. 2017. 5. 12. 오개(五蓋)-오관(五觀) 오개(五蓋) : 마음을 덮는 5가지 번뇌로 탐냄, 화냄, 졸리움과 같은 무지몽매(無知蒙昧), 조울(躁鬱), 의심을 말합니다. 오겁사유(五劫思惟) : 아미타불이 48원(願)을 세우기 전에 5겁(劫)동안 골똘이 생각에 잠겼던 것을 말합니다. 아미타불이 과거 인위(因位)에서 법장 보살이던 때 극락정토.. 2017. 5. 12.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