卍-불법을만나고/卍-불교자료실1487 무근(無根)-무량수불(無量壽佛) 무근(無根) : 근(根)은 기관(器官), 능력이라는 뜻이 있으므로 불교에서 무근은 기관과 능력이 결핍된 상태를 말하는데 다음 3가지 경 우를 뜻한다. 1, 근거가 없는 것(허위). 2, 신근(信根)이 없는 것 (신앙이 없는 것). 3, 남근, 여근이 없는 것(출가 자격이 없는 것). 무기(無記) 왕생(往生) : 4.. 2017. 5. 13. 무량정천(無量淨天)-무상사(無上士) 무량정천(無量淨天) : 색계의 3선천(禪天) 중 제 2천. 마음에 즐거운 감각이 있으며, 그 아래 선천보다 승묘함이 헤아릴 수 없기에 무량정천이라 함. 무루업(無漏業) : 번뇌가 없는 업입니다 즉, 과오를 일으키는 힘을 동반하지 않는 행위입니다. 추악함이 없는 업(業)입니다. 여기에서 번뇌.. 2017. 5. 13. 무상승장자(無上勝長者)-무소외(無所畏) 무상승장자(無上勝長者) : 선재동자가 보살의 지혜와 행을 묻기 위해서 방문한 24번쌔 선지식. 그는 선재동자에게 "일체처에 이르러 닦는 보살의 청정한 법운"을 설한다.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 : 무상정등보리(無上正等菩提). 무상정각(無上正覺). 무상정진도(無上正眞道) : 바르고 .. 2017. 5. 13. 무소유-무쌍석덕(無雙碩德) 무소유 : 공(空)의 별칭. 무소득(無所得). 어떤 재물도 소유하지 않는 것. 무승국(無勝國) : 열반경에 나오는 석가여래의 정토 이름. 서쪽으로 수많은 불국토를 지난 곳에 있다고 함. 무시공(無始空) : 어떠한 것도 그 시작을 알 수 없다는 것입니다. 18공(空)의 하나입니다. 인과의 이치로 추.. 2017. 5. 13. 무아(無我)-무외시(無畏施) 무아(無我) : 내가 되지 않는 것. 나를 갖지 않는 것. 나라는 구속을 떠나는 것. 내가 아닌 것을 나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입니다. 무앙수겁(無央數劫) : 아승지(阿僧祗) Asamkhya의 번역말로서 헤아릴 수 없는 오랜 시간을 말함. 무애지(無 智) : 10지(智) 중 하나. 부처의 지혜. 그 무엇.. 2017. 5. 13. 무아(無我)-무외시(無畏施) 무아(無我) : 내가 되지 않는 것. 나를 갖지 않는 것. 나라는 구속을 떠나는 것. 내가 아닌 것을 나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입니다. 무앙수겁(無央數劫) : 아승지(阿僧祗) Asamkhya의 번역말로서 헤아릴 수 없는 오랜 시간을 말함. 무애지(無 智) : 10지(智) 중 하나. 부처의 지혜. 그 무엇.. 2017. 5. 13. 무우수(無憂樹)-무주(無住) 무우수(無憂樹) : 나무 이름. 석가모니가 태어날 당시 룸비니 동산에 있었던 나무로 유명하다. 무위(無爲) : 조작된 것이 아님. 다양한 원인과 조건인 *인연에 의해 생성된 것이 아님. 인과 관계를 떠나 있는 존재로서, 생멸과 변화를 초월하여 상주하는 절대 존재, 무한정한 것을 일컫는 말.. 2017. 5. 13. 무진의보살(無盡意菩薩)-문두루법(文頭婁法) 무진의보살(無盡意菩薩) : 범어로는 아크사야마키르보디사트바(Aksayamatir-Bodhisattvah)로 <대방대집경> 제 27권에 등장하는 보살의 이름입니다. 무진혜보살(無盡慧菩薩)× 무량의보살(無量意菩薩)이라고도 합니다. 현겁 16존의 한 분이며 밀교의 금강계만다라 삼매야회(三昧耶會) 바깥쪽 .. 2017. 5. 13. 문상-미간백호상(眉間白毫相) 문상 : 코끼리를 어루만진다는 뜻. 중맹이 다만 코끼리의 일부만을 만져보고 각각 다른 말을 한 것을 외도필학의 무리들이 일체법의 실의를 알지 못하고 서로 시비하는데 비유한 말이다. 문수보살 : 문수사리보살로 석가모니부처님의 대지혜를 상징하며 협시보살, 오른손에 지혜의 칼을 .. 2017. 5. 13. 미래불(未來佛)-미묘(微妙) 미래불(未來佛) : 미래에 나타날 부처님. 특히 미래에 나타날 미륵불은 이미 도솔천에서 대기 중에 있으며 56억7천만년 뒤에 이 세상 에 와서 사람을 구원한다고 함. 미륵(彌勒) : 현겁(賢劫)에 출현하는 제5불(佛)의 이름. 매달려야(梅 麗耶), 미제예(彌帝隸), 자씨(慈氏), 자자(慈者). ⇒ 미.. 2017. 5. 13. 미진(微塵)-바라문 미진(微塵) : 극미(極微)의 일곱 배를 가리키는 말. 극미란 아주 작은 물질을 가리킴. 미타(彌陀) : 아미타바, 아미타유스의 음역. ⇒ 아미타불(阿彌陀佛). 미타굴(彌陀窟) : 아미타불(阿彌陀佛)이 거처하는 곳. 미타선(彌陀仙) : 미트라샨타의 음역. 사람 이름. 토화라(吐火羅) 출신. 690∼704년.. 2017. 5. 13. 바라문교(婆羅門敎)-바시라선사(婆施羅船飾) 바라문교(婆羅門敎) : 옛 인도에서, 불교에 앞서 바라문 종족을 중심으로 베타의 신앙을 바탕으로 발달한 종교. 범천을 우주의 창조신으 로 위하고 희생을 중히 여기며 고행. 결백을 으뜸으로 삼는다. 바라밀 : 바라밀 바라밀 도피안(度彼岸)으로 한역되며, 즉 피안에 이르렀다는 뜻입니다.. 2017. 5. 13. 바차부(婆蹉部)-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密多心經) 바차부(婆蹉部) : 바차는 밧시푸트리야의 음역. 소승 20부파 중의 하나. 불멸 후 300년경에 설일체유부에서 분파되었음. 박구라(薄拘羅) : 나한의 이름이며 번역하여 선용 혹은 위형이라 한다. 법화문구2에「박구라는 번역하여 선용 혹은 위형(중략) 용모가 단정하므로 선용이라 한다」하였.. 2017. 5. 13. 반야선(般若船)-발난타(跋難陀) 반야선(般若船) : 성불로 이끌어 주는 지혜의 배. 최상의 지혜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말. 반야심경(般若心經) : - 정식 명칭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 600권의 대품반야경의 반야사상을 260자로 압축하여 표현한 경 - 공(空)의 이치와 도리를 설한 가르침 즉, 세상 만물은 인연 따라 발생하는 .. 2017. 5. 13. 발로라국(鉢露羅國)-방생회(放生會) 발로라국(鉢露羅國) : 나라 이름. 고대 북인도에 있었던 나라. 현재의 카슈미르의 북부, 발티스탄(Baltistan) 지역에 해당. 당 나라 때, 대발률(大勃律)과 소발률(小勃律), 두 나라로 나뉘었으나, 전자는 토번(吐蕃), 후자는 중국에 속했다. 현장 스님이 방문했을 당시에는 1,000명의 비구들이 수.. 2017. 5. 13. 방장(方丈)-백시리밀다라(帛尸梨蜜多羅) 방장(方丈) : 선사(禪寺)에 있어서의 주지의 거실. 사방이 1장(丈=약3m) 의 방이란 뜻으로 방장실 이라 한다. 유마경에 의하면, 유마거 사의 간소한 방에서 방장이 비롯되었다고 함. 방장(方丈)스님 : 총림의 조실스님/원래는 사방 1장인 방으로 선사의 주지가 쓰는 거실 방좌(方座) : 여기에.. 2017. 5. 13. 백의(白衣)-벌절라(伐折羅) 백의(白衣) : 재가자를 가리킴. 일반적으로 재가자의 옷 빛깔이 흰색인 반면에 출가자는 물들여서 색이 있는 옷을 입기 때문에, 양자를 대비하여 부르는 말로 쓰임. 본래 인도에서 바라문을 비롯한 속인들이 흰색 옷을 주로 입었던 것에서 유래한다. 백의관음(白衣觀音) : 머리에서 발끝까.. 2017. 5. 13. 범(梵)-범천(梵天) 범(梵) : 고대인도 철학에서 우주의 궁극적 원리라고 생각한 부라만의 한역어. 일체 현상 세계는 범이 전개하고 변화하여 생긴 것이 라고 함. 범은 원래 중성이며 철학적 원리였으나 나중에는 남 성화되어 부라만 (Braham, 梵天)이 되었다. 범망경(梵網經) : 이 경은 梵語(범어)나 파리어로 된.. 2017. 5. 13. 범패(梵唄)-법구(法具) 범패(梵唄) : 범패는 불교의 의식음악이다. 범음(梵音)?어산(魚山)?인도(印度 ,引導) 소리라고도 합니다. 절에서 주로 재를 올릴 때 부르는 소리입니다. 또 가곡 ·판소리와 더불어 우리 나라 3대 성악곡 증의 하나입니다. 범패는 장단이 없는 단성선률(單聲旋律)의 음악입니다. 재를 올릴 .. 2017. 5. 13. 법구경-법력(法力) 법구경 : 진리의 말씀을 담은 짧은 구절의 가르침(일종의 불교시집) 법구경(法句經) : 인도의 법구가 서술한 원시불교의 경전. 423편의 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석가의 가르침이 간명하게 표현되어 있어서 널리 애송됨. 법기보살(法起菩薩) : 화엄경 보살주처품에 나오는 보살로 산스크리트.. 2017. 5. 13. 법륜(法輪)-법성(法性) 법륜(法輪) : 부처님의 가르침이 퍼져 나가는 것을 바퀴에 비유한 것입니다. 그리하여 진리의 바퀴라고 하는 것입니다. 법명(法名) : 불교에 입문한 이에게 주는 이름. 출가자에게는 집을 버리고 불문에 들어와서 득도식을 마칠 때에 주며, 속가에 있는 신남(信男), 신녀(信女)에게는 수계(.. 2017. 5. 13. 법성신(法性身)-법요(法要) 법성신(法性身) : 법신(法身)의 다른 말로 시방 허공에 두루하고 법계의 이치와 일치한 부처님의 진신(眞身), 빛깔도 형상도 없는 본체신(本體身)을 말한다. 법수(法數) : 법문(法門) 중에서 숫자와 결합된 것. 예컨대 3계(界), 4제(諦), 5온(蘊), 6도(度) 등. 순서에 따라서 법수를 열거해 놓은 .. 2017. 5. 13. 법우(法友)-법호(法號) 법우(法友) : 불법의 친구. 불문(佛門)에서 법의위에 맺어진 친우입니다. 즉 함께 불도에 힘쓰는 자를 말함 법인(法印) : 불교를 외도와 구별하는 표지. 불법이 참되고 부동 불변한 것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소승불교에서는 무상인, 무아인, 열반 인의 삼법인을 주장하고, 대승불교에서는 .. 2017. 5. 13. 법화경(法華經)-변상(變相) 법화경(法華經) : - 정식 명칭은 묘법연화경 - 대승경전의 대표적인 경(대승과 소승불교의 갈등을 교리적으로 통일 - 성문, 연각, 보살이 결국에는 부처님의 품에서는 일불승(一佛乘)으로 귀착 된다는 가르침 - 지의 천태대사의 중국 천태종을 창종의 바탕이 된 경 법화삼매(法華三昧) : 법.. 2017. 5. 13. 변상도(變相圖)-보당불 변상도(變相圖) : 부처님의 일대기 또는 불교설화에 관한 여러 가지 내용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변상이란 변현(變現)된 상이라는 뜻으로서 부처님의 본생 혹은 정토 등의 변현상을 그린 것을 말합니다. 변상도는 일반적으로 부처님의 전생을 묘사한 본생도와 일대기를 나타낸 불.. 2017. 5. 13. 보당불(寶幢佛)-보리수(菩提樹) 보당불(寶幢佛) : 보당여래 또는 보성불(寶星佛) 이라고도 합니다. 그림으로 나타내면 밀고의 태장계만다라 중대 팔엽원의 동방에 위치한 부처님입니다. 이 부처님은 보리심의 덕을 주관하며 보당으로써 보리심을 발하고 있음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즉 일치 지원(智願)으로써 당기(幢旗).. 2017. 5. 13. 보리심(菩提心)-보살승(菩薩乘) 보리심(菩提心) : 더없이 높고 평등한 깨달음의 마음. 불과(佛果)를 얻기 위해 불도를 수행하는 마음. 보문(普門) : 관세음보살이 중생들을제도하기위해 넓고 큰 방편문(方便門)을 시현(示現)하는것처럼 다양한 방편으로 중생들을 제도하라.는뜻 보문(普門) : 아미타 3존의 하나인 관세음의.. 2017. 5. 13. 보살지(菩薩智)-보지관(寶地觀) 보살지(菩薩智) : 보살의 5종 지혜. 통달지(通達智), 수념지(隨念智), 안립지(安立智), 화합지(和合智), 여의지(如意智). 보살오지(菩薩五智). 5(智) 중의 하나. 보생불 : 범어로는 라크나삼바바(Ratna-sambhava)이며 티벳어로는 린첸빈바(Rin-chen hbyun-ba)입니다. 보생여래라고도 하며 대일여래를 주.. 2017. 5. 13. 보처존(補處尊) -보현연명(普賢延命) 보처존(補處尊) : 전불(前佛)의 뒤를 이어서 성불(成佛)한 보살(菩薩)를 말하며, 일생(一生)을 隔(격)하고 성불(成佛)하는 것을 생보처 (生補處)라고 한다. 미륵보살은 석가여래의 보처보살(補處菩薩) 이다. 보타산(補陀山) : 보타락가산(補陀落迦山)의 줄임말. 산스트리트 어인 포탈라카를 .. 2017. 5. 13. 복전(福田)-본식(本識) 복전(福田) : 1).선행의 씨앗을 뿌려서 반드시 복을 받는 밭. 부처님이나 승 가와 같은 존경의 대상은 경전(敬田). 스숭과 부모와 같이 그 은혜를 갚지 않으면 안 되는 존재를 은전(恩田). 병자, 빈자와 같이 자비로운 구제가 필요한 대상을 비전(悲田)이라고 함. 2).삼보를 공양하고 부모의 .. 2017. 5. 13.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