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卍-불법을만나고/卍-불교자료실1487

본원(本願)-부동우바이(不動優婆夷) 본원(本願) : 보살이 부처가 되기 위해서 수행할 때, 불도 수행의 최종 목적을 달성하여 중생을 모두 제도하겠다고 다짐하는 마음의 맹세. 본제(本際) : 근본 구경의 맨 끝입니다. 진여(眞如) ·열반의 다른 이름입니다 본존(本尊) : 공양과 예배의 대상으로 존경되는 상(像). 한 건물에 안치.. 2017. 5. 13.
부루나(富樓那) -부정취(不定聚) 부루나(富樓那) : 부루나는 수달장자의 소개로 불법에 귀의한 뒤 의리(義理)를 분별하여 설법하였으므로 설법제일(說法第一) 이라 칭송받았고, 후에 고향인 수나아파란타국에 가서 전도를 펼쳤습니다. 부루나미다라니자(富樓那彌多羅尼子) : 십대제자 중의 한 사람인 *부루나의 온전한 .. 2017. 5. 13.
부처-분위(分位) 부처 : 붓다의 음역. 불타(佛陀), 불(佛), 각자(覺者), 지자(智者), 각(覺). ①불교에만 한정되지 않는 일반적인 의미로서 '진리를 깨달은 자'를 가리키는 보통 명사. 일찍이 인도에서는 부처라는 말이 진리를 깨달은 이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칭호였다. 즉 스스로 깨달아서 다른 사람을 깨.. 2017. 5. 13.
분향(焚香)-불교가사(佛敎歌辭) 분향(焚香) : 향을 태우는 것. 불공의 일종으로서 불교의식 외에도 일반적으로 많이 행해지는 예법의 하나. 불(佛) : 붓다의 음역. ⇒ 부처. 불각(不覺) : 마음의 본성에 대한 미망. 마음의 본성에 상응하지 않고 홀연히 여러 가지 번뇌를 일으키는 것. 진여의 진상을 깨닫지 못하는 중생의 .. 2017. 5. 13.
불기(佛紀)-불사(佛事) 불기(佛紀) : 불교의 기원(紀元)으로부터 헤아리는 햇수. 불교의 기원은 석가모니가 타계한 입멸 연도로부터 시작되므로, 불기는 석가모니가 입멸한 지 경과된 햇수. 불노불사(不老不死) : 늙는 일 없고, 죽는 일 없다라는 뜻입니다. 불립문자(不立文字) : 진리는 문자나 언어로써 표현할 .. 2017. 5. 13.
불사음(不邪 )-불수(佛樹) 불사음(不邪 ) : 5계(戒)의 하나. 간음하지 않음. 남녀의 성도덕을 문란하게 하는 행위를 하지 않음. 불살생(不殺生) : 5계(戒)의 하나. 생물을 죽이거나 다치게 하지 않음. 생명체를 파괴하지 않음. 모든 생명에 대한 경외심. 불상(佛像) : 불보살 등의 형상을 돌, 나무 등으로 조각한 형상, .. 2017. 5. 13.
불심(佛心)-불자(佛子) 불심(佛心) : 부처님의 마음을 말합니다. 이 부처님의 마음은 인간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마음입니다. 이것을 알고 믿고 수행해 나가는 것이 불교의 가르침입니다 불유교경 : 부처님께서 열반하시기 직전에 제자들에게 남긴 최후의 설법 불음주(不飮酒) : 5계(戒)의 하나. 술을 마시지 않.. 2017. 5. 13.
불전(佛殿)-불타야사(佛陀耶舍) 불전(佛殿) : 불보살의 상을 봉안한 건물. 인도에서는 향전, 우리 나라에서눈 법당(法堂), 선종에서는 불전(佛殿)이라 하며, 설법당(說法堂) 위에 짓는 것이 보통이다. 당우를 많이 짓지 않은 절에서는 설법당과 겸하여 쓰기도 한다. 불정(佛頂) : 부처님의 정수리. 최고의 불지(佛智)를 일컫.. 2017. 5. 13.
불토(佛土)-비구 불토(佛土) : 부처가 있는 땅. 부처가 머물러 주재하고 있는 국토(國土). 부처가 중생을 위해 교화를 펴고 있는 영토. 2토(土), 3종 불토, 4토(土) 등 다양한 종류의 불토가 있다 불퇴(不退) : 보살의 계위(階位) 중 하나. 불도 수행의 과정에서 이미 얻은 공덕을 잃지 않고 더 이상 퇴보하거나 .. 2017. 5. 13.
비구-비목구사선인(毘目舊沙仙人) 비구 : 비구는 걸식하는 자라는 뜻으로 불교흥기 시대에는 모든 종교를 통하여 탁발하는 수행자를 비구라고 부르고 있었습니다. 불교는 이 호칭을 받아들였던 것으로 특히 계율의 체계가 확정된 시대가 되면서 출가하여 구족계(具足戒) 를 받은 남자 승려를 비구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 2017. 5. 13.
비목지선(毘目智仙)-비사사(毘舍 ) 비목지선(毘目智仙) : 사람 이름. 북인도 출신으로서 516년 낙양에 들어와서 541년경 구담반야류지와 함께 업( )에서 회쟁론 등을 비롯한 불경의 한역 작업에 힘썼다. 비무량심(悲無量心) : 4무량심의 하나. 무진을 체로 하여 남의 고통을 덜어 주려는 마음. 처음은 친한 이의 고통을 덜어 .. 2017. 5. 13.
비슬지라거사( 瑟 羅居士)-빈도(貧道) 비슬지라거사( 瑟 羅居士) : 선재동자가 보살의 지혜와 행을 묻기 위 하여 방문한 27번째 선지식. 그는 선재동자에게 "보살이 얻은 바 열반에 들지 않는 해탈문"을 설하였다. 비심(悲心) : 중생의 고통을 가엾이 여기는 마음. 보살의 10장양심(長養心) 중 하나. 비유(譬喩) : 아파다나(阿波.. 2017. 5. 13.
빈바사라(頻婆娑羅 Bimbisara) -사고팔고 빈바사라(頻婆娑羅 Bimbisara) : 중인도 마갈타국 임금. 왕사성에 살며 불교신자가되어 석존과 그의 교단을 외호(外護)하였다. 그는 왕 사성에서 탁발 수행하는 출가 직후의 석존의 모습을 보고 재산 을 주어 출가를 중지시키려고 하였다한다. 그러나 성도 후의 석존을 존경하고 왕사성에 맞.. 2017. 5. 13.
사교(四敎)-사대오온(四大五蘊) 사교(四敎) : 여러 설이 있음. 능엄경. 기신론. 금강경. 원각경의 4과목을 보통 강원에서는 4교라고 함. 사나굴다( 那 多) : 갸나굽타의 음역. 사람 이름. 건다라국( 陀羅國)의 찰제리 족 출신. 대림사(大林寺)에서 출가하여 경론을 배웠다. 559년에 장안(長安)에 들어와 역경에 종사했다. 6.. 2017. 5. 13.
사대절(四大節)-사리탑 사대절(四大節) : 사찰에서 행하는 1연중 4가지 큰 행사. 1) 부처님 오신 날∼ 음력 4월 8일. 2) 백중날∼ 음력 7월 15일. 3) 성도재일∼ 음력 12월 8일. 4) 열반재일∼ 2월 15일. 이상을 불교의 4대 명 절이라고 함. 사대제자(四大弟子) : 석존의 제자 중에 네 큰 제자. 사리불, 목건련, 수보리, 마하.. 2017. 5. 13.
사리회(舍利會)-사미니 사리회(舍利會) : 불사리(佛舍利) 를 공양하는 법회입니다. 사리에 공물(供物)ㅇ르 바치고 회향(回向)해 그 공덕을 칭송하는 법회입니다. 또는 사리강(舍利講), 사리보은강(舍利報恩講) 이라고도 합니다. 사마(四魔) : 사람들을 괴롭히는 것을 네가지로 나눈 말입니다. (1) 번뇌마(煩惱魔). .. 2017. 5. 13.
사미니(沙彌尼)-사부대중(四部大衆) 사미니(沙彌尼) : 여성 *사미. 출가하여 비구니가 되기 이전까지의 여성 견습 스님. 사바(娑婆) : 인간 세계, 현실 세계. 부처님이 출현하여 교화하는 세계. 이 세상의 중생은 안팎의 온갖 고통과 고뇌를 인내해야 한다는 뜻을 지닌 말. 사바라밀(四波羅蜜) : 방편(方便), 원(願), 역(力), 지(智.. 2017. 5. 13.
사불가경(四不可輕)-사선정(四禪定) 사불가경(四不可輕) : 세존께서 파사익왕께 설한 소홀히 하지 못할 것 4 가지. 1) 태자가 비록 어리지만 장차 국왕이 되므로 소홀히 해 서는 안된다. 2) 독사가 비록 작지만, 맹독이 있어 소홀히 하지 못한다. 3) 작은 불씨라도 큰불이 되므로, 소홀히 하지 못한다. 4) 어린 사미가 장차 성 인.. 2017. 5. 13.
사섭법(四攝法)-사십구재(四十九齋) 사섭법(四攝法) : 고통 세계의 중생을 구제하려는 보살이, 중생을 불도에 이끌어 들이기 위한 네 가지 방법입니다. (1) 보시섭(布施攝) . 상대편이 좋아하는 재물이나 법을 보시하여 친절한 정의(情誼) 를 감동케 하여 이끌어 들입니다. (2)애어섭(愛語攝). 부드럽고 온화한 말을 하여 친해서.. 2017. 5. 13.
사십이장경-사유수(思惟修) 사십이장경 : 아함경을 비롯한 여러 경전에서 42가지 덕목을 발췌하여 엮은 경전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 인도에서 중국에 전한 첫 경전으로 불교의 요 지를 42장으로 나누어 설명함. 후한의 가섭마등과 축법란이 번 역함. 사십팔원(四十八願) : 아미타불이 법장비구 때, 세자재왕불 처소.. 2017. 5. 13.
사의지(四依止) -사정근(四正勤) 사의지(四依止) : 초창기의 수행자들을 성전에서는 '집 없는 사람' '삼림에 거주하는 사람' 등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그 당시의 수행자들은 출가나 유행 생활을 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수행자들은 임야, 삼림, 동굴 등에서 기거하면서 아무것도 가지지 않은 생활 속에서 명상수행을 하였다.. 2017. 5. 13.
사정취(邪定聚)-사천왕(四天王) 사정취(邪定聚) : 사람의 성품 정도를 셋으로 나눈 하나로서 성불할만한 소질이 없이 더욱 타락하여 가는 종류. 사종염불(四種念佛) : 염불하는 4가지 방법. 칭명(稱名)염불: 불. 보살님 의 명호를 부르는 것. 관상(觀象)염불: 불. 보살님의 전체 모습 을 관찰하는 것. 관상(觀想)염불: 불. 보.. 2017. 5. 13.
사향사과(四向四果)-산신각 사향사과(四向四果) : 소승불교에서 구분하는 성자의 네 단계. 향은 수행의 목표, 과는 그 목표에 도달한 경지. 예류(預流) 또는 수다원, 일래(一來) 또는 사다함, 불환(不還) 또는 아나함, 아라한이라는 네 단계에 향과 과를 붙여 4향 4과라고 한다. 4향은 예류향, 일래향, 불환향, 아라한향. .. 2017. 5. 13.
산염송(散念誦)-삼관(三觀) 산염송(散念誦) : 산란한 마음으로 염송하는 것입니다. 자륜(字輪)을 관(觀)하는 정염송(定念誦) 에 대하여 산염송(散念誦) 을 말합니다. 산타나경(散陀那經) : 산타나는 색리어. 거사 이름. 내용은 산타나 거사가 니구타의 범지가 있는 곳에 갔는데, 범지가 부처님을 헐뜯으니 부처님이 그.. 2017. 5. 13.
삼교(三敎)-삼라만상(森羅萬象) 삼교(三敎) : 교를 설하는 방법을 3가지로 나눈 것. 돈교(頓敎): 화엄경처 럼 차례를 세우지 않고 깊은 내용을 설함. 점교(漸敎): 아함경. 반야경. 열반경 처럼, 처음은 알기 쉬운것에서 점차 깊은 경지 를 설함. 부정교(不定敎): 승만경. 금강명경처럼 그 깊이가 순서 없이 설해진 것 삼국유.. 2017. 5. 13.
삼락(三樂)-삼명육통(三明六通) 삼락(三樂) : 첫째, 천락(天樂) . 열 가지 선업을 닦은 사람이 천상에 태어나 갖가지 수승한 즐거움을 받는 것입니다. 둘째, 선락(禪樂) . 수행하는 사람이 모든 선정에 들면 적정(寂靜)의 즐거움을 받는 것입니다. 셋제, 열반락(涅槃樂) 몯느 혹을 끊고 열반을 증득하면 생(生), 멸(滅), 고.. 2017. 5. 13.
삼무차별(三無差別)-삼보사찰(三寶寺刹) 삼무차별(三無差別) : 심무차별∼ 마음의 체는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 며 차별이 없음. 불(佛)무차별:∼ 중생이 어리석음과 인과는 다 르지만, 그 체는 부처님과 차별이 없음. 중생무차별∼ 중생이 깨닫지는 못했어도 모든 부처님이 깨달으신 본체와 차별이 없음. 삼문(三門) : 절의 정문.. 2017. 5. 12.
삼사칠증(三師七證)-삼시년한(三時年限) 삼사칠증(三師七證) : 비구계(구족계)를 받을 때, 있어야 하는 3사람의 스승과 7사람의 증인. 3사는 계화상(바로 계를 주는 분.) 갈마 사(계 받는 취지 를 대중에게 알리는 표백과 갈마문을 읽는 분.) 교수사(위의와 작법을 가르치는 분.) 7증은 덕이 높은 7분 의 스님이 증인이 되어 계를 준다.. 2017. 5. 12.
삼시전(三時殿)-삼악취(三惡趣) 삼시전(三時殿) : 인도에서는 1년을 3계절로 나눈다. 석가모니부처님이 태자시절 그의 출가를 막으려고, 각 계절에 살기 좋게 지은 태 자궁. 부왕 인 슛도다나왕이 만들었다고 함. 삼시화궁이라고도 함. 삼신(三身) : 삼신(三身)이란 법신·보신·응신의 세 가지를 말하는 것입니다. 법신(.. 2017. 5. 12.
삼업(三業)-삼천대천세계(三千大天世界) 삼업(三業) : 세 가지 업. 그 내용은 분류 기준에 따라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몸으로 짓는 신업(身業), 입, 즉 말로써 짓는 구업(口業), 뜻, 즉 생각으로 짓는 의업(意業) 등의 세 가지 업을 말함. 불교에서는 그 가운데 의업을 제일 중요시한다. 의지가 있어야 업이 성립된다고 강조하는 .. 2017.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