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62

비슬지라거사( 瑟 羅居士)-빈도(貧道) 비슬지라거사( 瑟 羅居士) : 선재동자가 보살의 지혜와 행을 묻기 위 하여 방문한 27번째 선지식. 그는 선재동자에게 "보살이 얻은 바 열반에 들지 않는 해탈문"을 설하였다. 비심(悲心) : 중생의 고통을 가엾이 여기는 마음. 보살의 10장양심(長養心) 중 하나. 비유(譬喩) : 아파다나(阿波.. 2017. 5. 13.
빈바사라(頻婆娑羅 Bimbisara) -사고팔고 빈바사라(頻婆娑羅 Bimbisara) : 중인도 마갈타국 임금. 왕사성에 살며 불교신자가되어 석존과 그의 교단을 외호(外護)하였다. 그는 왕 사성에서 탁발 수행하는 출가 직후의 석존의 모습을 보고 재산 을 주어 출가를 중지시키려고 하였다한다. 그러나 성도 후의 석존을 존경하고 왕사성에 맞.. 2017. 5. 13.
사교(四敎)-사대오온(四大五蘊) 사교(四敎) : 여러 설이 있음. 능엄경. 기신론. 금강경. 원각경의 4과목을 보통 강원에서는 4교라고 함. 사나굴다( 那 多) : 갸나굽타의 음역. 사람 이름. 건다라국( 陀羅國)의 찰제리 족 출신. 대림사(大林寺)에서 출가하여 경론을 배웠다. 559년에 장안(長安)에 들어와 역경에 종사했다. 6.. 2017. 5. 13.
사대절(四大節)-사리탑 사대절(四大節) : 사찰에서 행하는 1연중 4가지 큰 행사. 1) 부처님 오신 날∼ 음력 4월 8일. 2) 백중날∼ 음력 7월 15일. 3) 성도재일∼ 음력 12월 8일. 4) 열반재일∼ 2월 15일. 이상을 불교의 4대 명 절이라고 함. 사대제자(四大弟子) : 석존의 제자 중에 네 큰 제자. 사리불, 목건련, 수보리, 마하.. 2017. 5. 13.
사리회(舍利會)-사미니 사리회(舍利會) : 불사리(佛舍利) 를 공양하는 법회입니다. 사리에 공물(供物)ㅇ르 바치고 회향(回向)해 그 공덕을 칭송하는 법회입니다. 또는 사리강(舍利講), 사리보은강(舍利報恩講) 이라고도 합니다. 사마(四魔) : 사람들을 괴롭히는 것을 네가지로 나눈 말입니다. (1) 번뇌마(煩惱魔). .. 2017. 5. 13.
사미니(沙彌尼)-사부대중(四部大衆) 사미니(沙彌尼) : 여성 *사미. 출가하여 비구니가 되기 이전까지의 여성 견습 스님. 사바(娑婆) : 인간 세계, 현실 세계. 부처님이 출현하여 교화하는 세계. 이 세상의 중생은 안팎의 온갖 고통과 고뇌를 인내해야 한다는 뜻을 지닌 말. 사바라밀(四波羅蜜) : 방편(方便), 원(願), 역(力), 지(智.. 2017. 5. 13.
사불가경(四不可輕)-사선정(四禪定) 사불가경(四不可輕) : 세존께서 파사익왕께 설한 소홀히 하지 못할 것 4 가지. 1) 태자가 비록 어리지만 장차 국왕이 되므로 소홀히 해 서는 안된다. 2) 독사가 비록 작지만, 맹독이 있어 소홀히 하지 못한다. 3) 작은 불씨라도 큰불이 되므로, 소홀히 하지 못한다. 4) 어린 사미가 장차 성 인.. 2017. 5. 13.
사섭법(四攝法)-사십구재(四十九齋) 사섭법(四攝法) : 고통 세계의 중생을 구제하려는 보살이, 중생을 불도에 이끌어 들이기 위한 네 가지 방법입니다. (1) 보시섭(布施攝) . 상대편이 좋아하는 재물이나 법을 보시하여 친절한 정의(情誼) 를 감동케 하여 이끌어 들입니다. (2)애어섭(愛語攝). 부드럽고 온화한 말을 하여 친해서.. 2017. 5. 13.
사십이장경-사유수(思惟修) 사십이장경 : 아함경을 비롯한 여러 경전에서 42가지 덕목을 발췌하여 엮은 경전 사십이장경(四十二章經) : 인도에서 중국에 전한 첫 경전으로 불교의 요 지를 42장으로 나누어 설명함. 후한의 가섭마등과 축법란이 번 역함. 사십팔원(四十八願) : 아미타불이 법장비구 때, 세자재왕불 처소.. 2017. 5. 13.
사의지(四依止) -사정근(四正勤) 사의지(四依止) : 초창기의 수행자들을 성전에서는 '집 없는 사람' '삼림에 거주하는 사람' 등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그 당시의 수행자들은 출가나 유행 생활을 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수행자들은 임야, 삼림, 동굴 등에서 기거하면서 아무것도 가지지 않은 생활 속에서 명상수행을 하였다.. 2017. 5. 13.
사정취(邪定聚)-사천왕(四天王) 사정취(邪定聚) : 사람의 성품 정도를 셋으로 나눈 하나로서 성불할만한 소질이 없이 더욱 타락하여 가는 종류. 사종염불(四種念佛) : 염불하는 4가지 방법. 칭명(稱名)염불: 불. 보살님 의 명호를 부르는 것. 관상(觀象)염불: 불. 보살님의 전체 모습 을 관찰하는 것. 관상(觀想)염불: 불. 보.. 2017. 5. 13.
사향사과(四向四果)-산신각 사향사과(四向四果) : 소승불교에서 구분하는 성자의 네 단계. 향은 수행의 목표, 과는 그 목표에 도달한 경지. 예류(預流) 또는 수다원, 일래(一來) 또는 사다함, 불환(不還) 또는 아나함, 아라한이라는 네 단계에 향과 과를 붙여 4향 4과라고 한다. 4향은 예류향, 일래향, 불환향, 아라한향. .. 2017. 5. 13.
산염송(散念誦)-삼관(三觀) 산염송(散念誦) : 산란한 마음으로 염송하는 것입니다. 자륜(字輪)을 관(觀)하는 정염송(定念誦) 에 대하여 산염송(散念誦) 을 말합니다. 산타나경(散陀那經) : 산타나는 색리어. 거사 이름. 내용은 산타나 거사가 니구타의 범지가 있는 곳에 갔는데, 범지가 부처님을 헐뜯으니 부처님이 그.. 2017. 5. 13.
삼교(三敎)-삼라만상(森羅萬象) 삼교(三敎) : 교를 설하는 방법을 3가지로 나눈 것. 돈교(頓敎): 화엄경처 럼 차례를 세우지 않고 깊은 내용을 설함. 점교(漸敎): 아함경. 반야경. 열반경 처럼, 처음은 알기 쉬운것에서 점차 깊은 경지 를 설함. 부정교(不定敎): 승만경. 금강명경처럼 그 깊이가 순서 없이 설해진 것 삼국유.. 2017. 5. 13.
삼락(三樂)-삼명육통(三明六通) 삼락(三樂) : 첫째, 천락(天樂) . 열 가지 선업을 닦은 사람이 천상에 태어나 갖가지 수승한 즐거움을 받는 것입니다. 둘째, 선락(禪樂) . 수행하는 사람이 모든 선정에 들면 적정(寂靜)의 즐거움을 받는 것입니다. 셋제, 열반락(涅槃樂) 몯느 혹을 끊고 열반을 증득하면 생(生), 멸(滅), 고.. 2017. 5. 13.
삼무차별(三無差別)-삼보사찰(三寶寺刹) 삼무차별(三無差別) : 심무차별∼ 마음의 체는 중생과 부처가 둘이 아니 며 차별이 없음. 불(佛)무차별:∼ 중생이 어리석음과 인과는 다 르지만, 그 체는 부처님과 차별이 없음. 중생무차별∼ 중생이 깨닫지는 못했어도 모든 부처님이 깨달으신 본체와 차별이 없음. 삼문(三門) : 절의 정문.. 2017. 5. 12.
삼사칠증(三師七證)-삼시년한(三時年限) 삼사칠증(三師七證) : 비구계(구족계)를 받을 때, 있어야 하는 3사람의 스승과 7사람의 증인. 3사는 계화상(바로 계를 주는 분.) 갈마 사(계 받는 취지 를 대중에게 알리는 표백과 갈마문을 읽는 분.) 교수사(위의와 작법을 가르치는 분.) 7증은 덕이 높은 7분 의 스님이 증인이 되어 계를 준다.. 2017. 5. 12.
삼시전(三時殿)-삼악취(三惡趣) 삼시전(三時殿) : 인도에서는 1년을 3계절로 나눈다. 석가모니부처님이 태자시절 그의 출가를 막으려고, 각 계절에 살기 좋게 지은 태 자궁. 부왕 인 슛도다나왕이 만들었다고 함. 삼시화궁이라고도 함. 삼신(三身) : 삼신(三身)이란 법신·보신·응신의 세 가지를 말하는 것입니다. 법신(.. 2017. 5. 12.
삼업(三業)-삼천대천세계(三千大天世界) 삼업(三業) : 세 가지 업. 그 내용은 분류 기준에 따라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몸으로 짓는 신업(身業), 입, 즉 말로써 짓는 구업(口業), 뜻, 즉 생각으로 짓는 의업(意業) 등의 세 가지 업을 말함. 불교에서는 그 가운데 의업을 제일 중요시한다. 의지가 있어야 업이 성립된다고 강조하는 .. 2017. 5. 12.
삼취(三聚)-상념(常念) 삼취(三聚) : 중생의 근기를 세 부류로 구분한 것. 수도의 자세에 따라 사람을 3종의 무리로 구분한 것. *삼정취(三定聚). *아(我)와 *법(法)을 3종으로 구분한 것. 인연의 화합과 분리에 따라 생멸하는 유위취(有爲聚), 발생하지도 않고 소멸하지도 않는 무위취(無爲聚), 유위취와 무위취 중 .. 2017. 5. 12.
상도(常道)-상입(相入) 상도(常道) : 항상 변치 않는 자연의 도리를 말함. 상락아정(常樂我淨) : 상락아정(常樂我淨) 상번뇌(上煩惱) : 수번뇌(隨煩惱)라고도 합니다. 마음을 따라 인간을 뇌란(惱亂)케 하는 번뇌입니다. 상분(相分) : 유식학에서 설하는 4분의 하나. 객관의 형상. 의식의 객관적인 측면. *8식의 수동.. 2017. 5. 12.
상정진보살(常精進菩薩)-상호(相好) 상정진보살(常精進菩薩) : <법화경> <법사공덕품> 제19와 <심지관경(心地觀經)> <아란야품> 제5 그리고 <아미타경> 등의 청법대중으로 등장하는 보살입니다. 상정진이란 항상 끊임없이 정진하는 보살이라는 뜻입니다. 정진이란 어떠한 큰 위치만을 내세우며 노력하는 .. 2017. 5. 12.
상호장엄(商號莊嚴)-생령좌(生靈座) 상호장엄(商號莊嚴) : 부처님의 뛰어난 모습과 위엄 있는 행동을 말합니다. 상호장엄신(相好莊嚴身) : 업보불(業報佛)과 같습니다. 업보로서 32상· 80종호로 나타나는 부처님입니다. 옛날 인도인이 기대히고 있던 위인이 가진 32의 특징 및 80의 작은 특징을 후세의 불교도가 부처님에게 돌.. 2017. 5. 12.
생로병사(生老病死)-서방정토(西方淨土) 생로병사(生老病死) : 태어나는 것과 늙는 것, 병드는 것, 죽는 것, 인생에 있어서의 네가지 괴로움으로 인간이 생존하는 한 피할 수 없는 것입니다. 또는 사고(四苦)라고도 합니다. 생멸(生滅) : 생기(生起)와 멸진(滅盡). 인연이 화합하여 성립된 만유(萬有)가 나고 죽음을 거듭 변천하는 .. 2017. 5. 12.
서방정토변(西方淨土變)-석가세존(釋迦世尊) 서방정토변(西方淨土變) : 또는 극락변상(極樂變相)이라고도 합니다. 아미타불의 극락정토의 모습을 그린 그림입니다. 서역(西域) : 옛날 중국에서 그들의 서쪽 나라들을 일컫는 말. 경우에 따라 가리키는 범위가 달랐는데 넓게는 지금의 서부 아시아, 인도 들을 포함하나, 좁게는 지금의 .. 2017. 5. 12.
석범(釋梵)-선량(善良) 석범(釋梵) : 석(釋)은 도리천(도利天) 주(主)인 제석천왕이며, 범(梵)은 색계 초선천의 대범천왕(大梵天王)임. 석제환인(釋提桓因) : 제석천왕을 말하며 도리천의 왕으로 불법에 귀의한 자를 옹호함. 선(禪) : 명상이라는 뜻입니다. 선정(禪定)이라고도 합니다. 마음의 통일과 안정에 관한 .. 2017. 5. 12.
선방(禪房)-선인(仙人) 선방(禪房) : 참선(參禪) 수행을 하는 방. 시끄러운 세속을 떠나 조용히 불도를 닦는 선실(禪室) 선사(禪師) : 선정(禪定)을 수행한 스승을 가리킴. 선가(禪家)에서 스님에게 붙이는 경칭 또는 칭호로서 널리 쓰이는 말. 선종(禪宗)의 스님을 가리키는 말. 선상번뇌(禪上煩惱) : 선정(禪定) 중.. 2017. 5. 12.
선인선과(善因善果)-설법(說法) 선인선과(善因善果) : 선성(善性)을 지닌 원인에는 선성의 결과가 따른다는 것. 선한 행업(行業)을 쌓으면 좋은 과보를 받게 되는 원리를 뜻한다. 선재동자(善財童子) : 구체적인 이름은 수다나스레스티다라카이고 복성장자(福城長者)의 아들입니다. 동자란 동진(童眞) 이라고도 하며 보살.. 2017. 5. 12.
설법오덕(設法五德)-성관자재(聖觀自在) 설법오덕(設法五德) : 설법을 듣는 사람에게 다섯가지의 복덕이 있다는 것입니다. 첫째, 당생(當生)에 장자(長者)가 되는 것입니다. 설법을 듣는 사람은 살생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둘째, 당생(當生)에 큰 부자가 됩니다. 설법을 듣는 사람은 도둑질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셋째, 당생.. 2017. 5. 12.
성도(成道)-성정(性情) 성도(成道) : 깨달음. 부처가 되는 것. 석가모니가 6년 고행 끝에 보리수 아래서 *선정에 들어 모든 번뇌로부터 벗어나는 깨달음을 얻은 것. 성문(聲聞) : 가르침을 듣는 자. 스승의 가르침에 의해 깨닫는 사람. 부처님이 가르치는 음성을 듣고서 수행하는 사람. 가르침의 소리를 듣고서야 .. 2017.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