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62

혜개(慧開)-혜륭(惠隆) 혜개(慧開) : 중국 남송 때의 승려로 항주 양제 사람이다. 속성은 양씨, 자는 무문으로 처음에 천룡사 광화상에게 글을 배우고 가정 연간(1208-1224)에 안길의 보국사에 출가하였으며, 뒤에 천령사·취암사·개원사·보령사 등에 머물렀다. 순우 6년(1246)에 항주에 호국 인왕사를 짓고, 같은 .. 2017. 5. 11.
혜릉(慧稜)-혜시(慧矢) 혜릉(慧稜) : 중국 당나라 때의 승려로 설봉의존의 제자이며 항주 염관 사람이다. 성은 손씨, 이름은 혜릉, 호는 장경, 시호는 초각대사이다. 13세에 소주 통현사로 가서 득도하였으며, 희종 건봉 5년(878)에 영운을 예방하고 뒤에 설봉을 본 뒤에 크게 깨달았다. 후당의 명종 장흥 3년(932)에 7.. 2017. 5. 11.
혜심-혜예(慧叡) 혜심 : 사람 이름. 1178∼1234년 생존. 고려 후기의 스님. 속성은 최(崔)씨, 자는 영을(永乙). 시호는 진각(眞覺) 국사. 보조 국사의 법을 이어 조계종의 제2세가 되었다. 선문염송(禪門拈頌)을 비롯하여 여러 권의 저술을 남겼다. 혜안(慧安) : 중국 당나라 때의 승려로 형주 지강 사람이다. 속.. 2017. 5. 11.
혜운(惠雲)-혜철(惠哲) 혜운(惠雲) : 고구려의 승려로 당나라에 들어가 유학한 뒤 영류왕 22년(639)에 신라의 사신을 따라 일본으로 건너가 불법을 폈으며, 보장왕 4년(645)년 일본의 효덕천황에 의해 복량·상안·영운·혜공 등과 함께 10사 가운데 한 사람으로 뽑혀 일본 불교계를 지도했다. 혜원 : 1,사람 이름. ①.. 2017. 5. 11.
혜초-호마(護摩) 혜초 : 중국 당대(唐代)의 사문 이름. *불공(不空)의 6대 제자 중 한 사람. 천축을 다녀온 뒤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3권을 저술하였다. 중국 남북조 시대 때 태원(太原) 출신의 사문 이름. 7세 때 출가하여 단계사(檀溪寺)에 머물며 지수(智秀) 선사 등에게 배운 뒤, 양도(楊都)의 영근사.. 2017. 5. 11.
호명보살(護明菩薩)-화대(火大) 호명보살(護明菩薩) : 석모니불이 보살로 있을 시절, 당신께서는 깨닫기 바로 직전에 도솔천에 머물렀는데, 그를 일러 호명보살이라 한다. 호명이란 깨달음의 길로 가고자 하는 중생을 보호하고 그 길을 밝히기 때문에 그렇게 불렀을 것이다. 도솔천에 태어난 호명보살처럼 바로 다음 생.. 2017. 5. 11.
화두(話頭) -화엄경(華嚴經) 화두(話頭) : 선종(禪宗)의 조사들이 참선 수행의 완성을 도모하기 위해서 정립해 놓은 핵심적인 법문. 고칙(古則). 화락천(化樂天) : 6욕천의 다섯째 세계. 스스로 교묘한 즐거움의 경지를 만들어 내어 누리는 신들, 또는 그러한 세계. 여기서의 하루는 인간계의 800년에 상당하고, 수명은 8,.. 2017. 5. 11.
화엄경소(華嚴經疏)-화취(火聚) 화엄경소(華嚴經疏) : 신라 문무왕 때의 승려인 원효가 엮은 불서를 말한다. 진나라 때 번역된 《화엄경》 60권을 간략하게 해석하여 10권으로 묶었으나 현재는 제3권 1책만이 전한다. 현수의 《탐현기》와 혜원의 《간정기》 등 중국에서도 이 책이 많이 원용하여 원효의 교판론을 절찬하.. 2017. 5. 11.
황매산(黃梅山) : 중국 양자강을 건너 黃州府(황주부)에 있는 산이다. 황매산(黃梅山) : 중국 양자강을 건너 黃州府(황주부)에 있는 산이다. 황벽선사(黃檗禪師) : ( ? ~ 850) 법명은 希運(희운), 복건성 복주부 민현성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 신동이라 불렀고, 강서성 서주부 황벽산에 가서 출가 하였다. 백장(百丈)스님으로부터 馬祖(마조)의「할」에 깨친 사연.. 2017. 5. 11.
황매산(黃梅山)-회삼귀일(會三歸一) 황매산(黃梅山) : 중국 양자강을 건너 黃州府(황주부)에 있는 산이다. 황벽선사(黃檗禪師) : ( ? ~ 850) 법명은 希運(희운), 복건성 복주부 민현성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 신동이라 불렀고, 강서성 서주부 황벽산에 가서 출가 하였다. 백장(百丈)스님으로부터 馬祖(마조)의「할」에 깨친 사연.. 2017. 5. 11.
회소(懷素)-후생(後生) 회소(懷素) : 중국 당나라 때의 승려로 동탑율종·동탑율사라고 한다. 속성은 전씨이며 장사 출생이다. 일찍 출가하여 현장의 제자가 되었다. 오직 율만 연구하여 《사분율개종기》를 지었으며, 《비바사론》과 《구사론》 등으로 종을 삼고 일가를 세웠다. 논소 60여 권을 지었는데, 경.. 2017. 5. 11.
후성(後聖)-흑치(黑齒) 후성(後聖) : 후대에 올 성인 후세(後世) : 후생이라고도 함. 죽은 뒤에 다시 오는 세상 후안거(後安居) : 승려들이 한 곳에 모여 일체의 외출을 금하고 수행에만 전념하는 것을 안거라고 하는데, 남산 구율에서는 5월 16일 이후의 3개월을 후안거라 하였으며, 의정의 신율에서는 6월 16일 이.. 2017. 5. 11.
흑흑업(黑黑業) -희론(戱論) 흑흑업(黑黑業) : 4업의1 욕계의 악업은 업의 성질도 좋지 못하고 ,받는 과보도 나쁜 과 이므로 거듭하여 흑흑 업이라 한다. 흔구정토(欣求淨土) : 염리예토 또는 흔정.극락정토에 왕생하기를 원함 흔묘관(炘妙觀) : 6행관의1 초선의 선정이 움직이지 아니 하는것 이어서 상묘한 것과 초선의.. 2017. 5. 11.
희림원(喜林苑)-희유(希有) 희림원(喜林苑) : 또는 환희원 .가무원.대희원..제석4원의1 수미산 꼭대기 제석천이 사는 희견성의 북쪽에 있는동산 지극히 묘한 경계가 모두 이곳에모여 있어, 그 즐거움이 한량없다. 부처님께서 어머니를 위하여 이곳에서 한 여름 90일 동안 설법 하였다 한다. 희망계(希望戒) : 4종계의1 .. 2017. 5. 11.
희유인(希有人)-四사(事) 희유인(希有人) : 드물게 있는 사람이라는 뜻 염불하는 사람을 칭찬하는말 염불하여 극락 정토에 왕생한다고 믿는것이 매우 어려운 일인데도 이것을 믿고 염불하므로 이렇게 말한다. 희인(喜忍) : 3인의1 아미타불이 대자비로 구제하여 주심에 기뻐하는 마음 희천시(希天施) : 8종의시 하.. 2017. 5. 11.
四은(恩)-六종진동(種震動) 四은(恩) : 부모.국왕.중생.三보(寶) 등 네 가지 은혜 四체(諦) : 범어 Catv ri- s tyani. 四제라고도 발음함. 四성체(聖諦)라고도 함. 미혹의 인과인 고(苦).집(集)과 깨달음의 인과인 멸(滅).도(道)의 네 가지 도리로서 불교의 강령(綱領)이라 할 수 있는 교리. 성문승(聲聞乘)은 이를 깨달아 아라.. 2017. 5. 11.
律師(율사)-和尙(화상) 律師(율사) : 계율을 전문적으로 연구했거나 계행이 철저한 스님 祖師(조사) : 석가모니부처님의 정통 법맥을 이어 받은 덕이 높은 스님 宗師(종사) : 한 종파를 일으켜 세운 학식이 깊은 스님 天上天下 唯我獨尊“ : 하늘과 땅 사이에서 오직 나만이 홀로 존귀하다”의 참 뜻은 이 세상에.. 2017. 5. 11.
현종산하 회심사 참회 기도 2017. 5. 11.
자비송(慈經) -자비송(慈經)- =The Chant of Metta 자 비 송(慈經)= 작곡& 노래 : Imee Ooi Aham avero homi avyapajjhohom 제가 증오에서 벗어나기를! 제가 성냄에서 벗어나기를! anigho homi sukhi- attanam pariharami 제가 격정에서 벗어나기를! 제가 행복하게 지내게 하여지리다! Mama matapitu acariya ca nati mitta ca 저의 부모님, 스승들.. 2017. 5. 10.
자식을 잃은 어머니들의 통한의 노래~보고 싶은 내 아들아/능인스님 싱어송라이트 강북구 수유동 행복사 능인스님의 불교대중음악 심향~마음의향기12집 이 곡은 호국의 달을 맞이하여 천안함 등 군 복중중인 아들을 잃은 어머니들의 아픔을 생각하며 만든 곡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zRgz1JDz_R0 2017. 5. 10.
불효자의 눈물 불효자의 눈물-영인스님.mp32.17MB 2017. 5. 10.
부모 은중가 -부모 은중가 - 나무아미타불 생각하길 거듭해서 곰곰ㅡ이 살펴보오 세상살이 천만이래 제일가는 중한것이 사람마다 생각하면 부모은혜 제일일세 억조창생 개개인이 부모없이 어이나며 설사탄생 했더라도 부모없이 자랄손가 다큰뒤에 살펴보면 제ㅡ절로 태어나서 제ㅡ절로 자란듯이 .. 2017. 5. 10.
한글 부모은중경 -한글 부모은중경 (父母恩重經)- 똑 똑 똑 크릭.... 제 1 장 이 경의 연유 이렇게 내가 들었다. 한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왕사성의 기수급고독원에서 큰 비구 삼만 팔천인 및 여러 보살마하살과 함께 계셨다. 제 2 장 마른 뼈의 교훈 그때 세존께서 대중들과 함께 남방으로 가실 때에 한 무더.. 2017. 5. 10.
영가 천도문 卍-영가 천도문.-卍 영가시여 !!! 저희들이 지극정성 염불하고 독송하니 사바인연 마치시고 저승가실 영가시여 염불공덕 인연으로 삼독심을 여의옵고 무명업장 소멸하여 생사고해 벗어나소 염불하는 공덕으로 반야지혜 드러내서 영가위한 묘한법문 모두통달 하옵시고 해탈열반 성취하.. 2017. 5. 10.
아내란 ? 2017. 5. 10.
장엄염불(莊嚴念佛) 2017. 5. 10.
백팔 대 참회문(懺悔文) 2017. 5. 10.
현종산하 회심사-작은 선(善)이라 가벼이 여기지 말라 2017. 5. 10.
살며 생각하며 2017. 5. 10.
목우십도송(牧牛十圖頌) 2017.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