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울진사찰2174

도일스님-잡아함경(광설팔설도경) -도일스님-잡아함경(광설팔설도경)-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슈라아바스티이국 제타숲<외로운 이 돕는 동산>에 계시면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어떤 것이 바른 소견인가. 바른 소견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세속의 바른 소견으로서 번뇌와 취함이 .. 2017. 4. 30.
도일스님-잡아함경(정구경) -도일스님-잡아함경(정구경)-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라아자그리하성의 칼란다대나무동산에 계시었다. 때에 존자 샤아리풋트라도 또한 라자그리하의 칼란다 대나무동산에 있었다. 그때에 존자 샤아리풋트라는 이른 아침에 가사를 입고 바리를 가지고 라아자그리.. 2017. 4. 30.
도일스님-잡아함경(집장경) -도일스님-잡아함경(집장경)-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어느때 부처님께서는 슈라아바스티이국 제타숲<외로운이 돕는 동산>에 계시었다. 존자 마하카차야는 바라나의 오니못곁에 있으면서 많은 비구들과 함께 옷을 가지는 일을 위해 식당에 모여 있었다. 때에 나이 많고 근(根)이 노숙.. 2017. 4. 30.
도일스님-잡아함경(이서달다경) -도일스님-잡아함경(이서달다경)-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어느때 부처님께서는 알라부락 암라숲에서 많은 상좌비구들과 함께 계시었다. 때에 칫타 장자는 여러 상좌들에게 나아가 머리를 조아려 그 발에 예배하고 한쪽에 물러 앉아 사뢰었다. 『세상 여러 소견들은 혹은 <나>가 있다.. 2017. 4. 30.
도일스님-잡아함경(왕정경) -도일스님-잡아함경(왕정경)-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어느때 부처님께서는 참파국 게가못 곁에 계셨다. 때에 왕정촌장은 부처님께 나아가 그 발에 머리를 조아리고 한 쪽에 물러나 앉았다. 그 때에 세존께서는 왕정촌장에게 말씀하셨다. 『요새 중생들은 두 극단을 의지하고 있다.어떤 .. 2017. 4. 30.
팔상록 일상 1 -팔상록 일상 1- 부처님의전생(前生) 1,일곱송이연꽃 <석가모니부처님>께서 우리인간에 태어나시기 전에는 <선혜보살> 이라는 이름으로 욕계의넷째 하늘인(도솔타천)에 계셨다. 먼저 「도솔천」에 태어나신 인연에대해 「과거현재인과경」 (過去現在因果經)에 이런 이야기가 있.. 2017. 4. 30.
팔상록 2 -팔상록 2- 2)부처님의수기 임금과 대신 .귀족들이 각기 부처님께 꽃을 뿌리어 마치 꽃비가 퍼붓는듯 땅에 쏟아졌다. 최후에 <선혜도인>이 뿌린 다섯송이는 허공에 머물러서 연꽃방석이 되고 다음 두 송이는 부처님의 양쪽 귓가에 매달려 있었다. 그때에 부처님은 <선혜도인>의 정.. 2017. 4. 30.
팔상록 3 -팔상록 3- (보살도)를 닦다. 그 뒤로 (선혜비구)는 (보광여래)를 모시고 도를 닦았다. (보광여래)가 (열반)에 드신뒤에 (보광여래)의 교법을 받들어 지니고 이만여 동안 세상에 머물면서 중생을 교화하였다. 그뒤에 목숨이 마친뒤에 四천왕에 태어나서 그 하는중생을 교화하고 다시 인간에 .. 2017. 4. 30.
팔상록 4 -팔상록 4- 그뒤에 <견제여래>께서 세상에 출현하셨다. 보살은 그 부처님을 받들어 모시고 공양하며 보살도를 닦았다. 그 부처님은 시자에게 이르시기를 <저 보살은 이뒤로 九十三억겁을 지나서 부처가 되리니 호를 <석가모니>라 하리라. 고 하셨다. 이와같이 九十一겁전에 <.. 2017. 4. 30.
능엄경[육진원통] 01 -능엄경[육진원통] 1- 阿難과 及諸大衆이 蒙佛開示하고 慧覺이 圓通하야 得無疑惑이라 一時合掌하야 頂禮雙足하고 而白佛言하사대 我等이 今日에 身心이 皎然하야 快得無?호니 雖復悟知一六亡義나 然猶未達圓通本根이로소이다 世尊하 我輩- 飄零하야 積劫孤露라가.. 2017. 4. 30.
능엄경[육진원통] 02 -능엄경[육진원통] 2- 爾時에 世尊이 普告衆中의 諸大菩薩과 及諸漏盡한 大阿羅漢하사대 汝等菩薩과 及阿羅漢이 生我法中하야 得成無學이니 吾今問汝호리라 最初發心하야 悟十八界에 誰爲圓通이며 從何方便하야 入三摩地오 이때에 세존께서 대중 가운데의 모든 대보살과 루(漏)가 다.. 2017. 4. 30.
능엄경[육진원통] 03 -능엄경[육진원통] 3- 優波尼沙? - 卽從座起하야 頂禮佛足하고 而白佛言하사대 我亦觀佛의 最初成道하고 觀不淨相이라가 生大厭離하야 悟諸色性호대 以從不淨하야 白骨微塵이 歸於虛空하고 空色이 二無하야 成無學道러니 如來- 印我하사 名尼沙?하시니 塵色이 旣盡하고 妙色이 .. 2017. 4. 30.
능엄경[육진원통] 04 -능엄경[육진원통] 4- 跋陀婆羅와 幷其同伴인 十六開士- 卽從座起하야 頂禮佛足하고 而白佛言하사대 我等이 先於威音王佛에 聞法出家러니 於浴僧時에 隨例入室이라가 忽悟水因호니 旣不洗塵이며 亦不洗體라 中間이 安然하야 得無所有호이다 宿習無忘.. 2017. 4. 30.
능엄경[육진원통] 05 -능엄경[육진원통] 5- 阿那律陀- 卽從座起하야 頂禮佛足하고 而白佛言하사대 我初出家하야 常樂睡眠이러니 如來- 訶我하사 爲畜生類라하야시늘 我聞佛訶하고 啼泣自責하야 七日不眠이라가 失其雙目호이다 世尊이 示我樂見照明金剛三昧어시늘 .. 2017. 4. 30.
능엄경[육진원통] 06 -능엄경[육진원통] 6- 畢陵伽婆蹉- 卽從座起하야 頂禮佛足하고 而白佛言하사대 我初發心에 從佛入道하야 數聞如來- 說諸世間의 不可樂事하고 乞食城中할새 心思法門이라가 不覺路中에 毒刺傷足하야 擧身疼通호이다 我念有知하야 知此深痛이니 雖覺覺痛이나 覺淸.. 2017. 4. 30.
능엄경[육진원통] 07 -능엄경[육진원통] 7- 舍利弗이 卽從座起하야 頂禮佛足하고 而白佛言하사대 我曠劫來로 心見이 淸淨하야 如是受生이 如恒河沙하며 世出世間의 種種變化를 一見則通하야 獲無障?호이다 我於路中에 逢迦葉波의 兄弟相逐하며 宣說因緣하야 悟心無際하고 從佛出家하야 見覺.. 2017. 4. 30.
능엄경[육진원통] 08 -능엄경[육진원통] 8- 孫陀羅難陀- 卽從座起하야 頂禮佛足하고 而白佛言하사대 我初出家에 從佛入道하야 雖具戒律이나 於三摩地엔 心常牀하야 未獲無漏러니 世尊이 敎我와 及俱?羅하사 觀鼻端白하라하야시늘 我初諦觀하야 經三七日에 見鼻中氣- 出入如煙하며 身心이 內.. 2017. 4. 30.
능엄경[칠대원통]09 -능엄경[칠대원통] 9- 優波離-卽從座起하야 頂禮佛足하고 而白佛言하사대 我親隨佛하고 逾城出家하야 親觀如來의 六年勤苦하며 親見如來의 降伏諸魔하고 制諸外道하시며 解脫世間의 貪欲諸漏하고 承佛敎戒하야 如是乃至三千威儀와 八萬微細한 性業遮業이 悉皆淸淨하며 .. 2017. 4. 30.
능엄경[칠대원통]10 -능엄경[칠대원통]10- 烏芻瑟摩- 於如來前에 合掌頂禮佛之雙足하고 而白佛言하사대 我常先憶호니 久遠劫前에 性多貪欲이니이다 有佛出世하시니 名曰空王이라 說多?人은 成猛火聚라하사 敎我?觀百骸四支의 諸冷暖氣어시늘 神光이 內凝에 化多?心하야 成智慧火라 從是諸佛.. 2017. 4. 30.
유마경 01 - (유마힐 소설경) -유마경 1- 유마경을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마경의 본 이름은 유마힐 소설경 인데 줄여서 유마경이라 합니다. 경의 이름 속에는 성스러운 유마힐의 설법이라는 뜻을 가진 경전 입니다. 왜 이경을 강의 교재로 삼았느냐 하면, 출가하여 수행하는 스님과 같은 수행자가 아니더라도 일.. 2017. 4. 30.
유마경 2 -유마경 2- 유마경의 본문을 공부하기에 앞서서 유마경이 설립된 시대적 배경을 좀 알아보는 것이 본문을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서 설명을 좀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부처님께서 살아 계실 때는 모든 불자들이 부처님의 말씀에 따라가기만 하면 모든 것이 해결되었습니다. 불교의 .. 2017. 4. 30.
유마경 3 -유마경 3- 그럼 이제 경전의 본문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경전의 내용을 알고자 하는 것이므로 한문 원전쓰기를 생락 하고 한글로 직역한 것을 사용토록 하겠습니다. (원문 ) 1 불국품 (佛國品=부처님의 정토에 대한 법문)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이렇게 부처님께서 법문하시는 것.. 2017. 4. 28.
유마경 4 -유마경 4- 원문에 많은 보살들의 이름이 기록되어있지만 일일이 다 거명할 수 없습니다. 관세음보살, 미륵보살. 문수사리법왕자보살 이런 보살은 많이 듣는 명칭이니까 생소하지는 않지마는 잘 알지 못하는 무수한 보살이 등장 합니다. 경전에는 중요한 52명의 보살명이 기록 되어있고 .. 2017. 4. 28.
유마경 5 -유마경 5- 장자의 아들 보적이 부처님 앞에서 게송으로 아래와 같이 찬탄하였다. 눈은맑아 푸른연꽃 같으신옵고 마음맑아 온갖선정 이룩하셨네 청정업을 쌓고쌓아 명망끝없네 중생들의 도사일세 정례합니다. 대성께서 신통으로 변화하시어 시방세계 많은국토 나타내시며 부처님의 설.. 2017. 4. 28.
유마경 6 -유마경 6- 그 때에 장자의 아들 보적이 이 게송을 설하고 부처님께 사뢰었다. 세존이시여, 이 오백인 장자의 아들이다 이미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어 시고 불국토가 청정하여진 일을 듣고 져 하나이다. 바라옵건대 세존께서는 여러 보살들의 국토를 깨끗이 하는 인행(因行)을 .. 2017. 4. 28.
유마경 7 -유마경 7- 부처님의 법문을 듣기위해 대중들이 자리를 꽉 메우고 앉아있는데 아마 햇빛이 부처님 머리위로 비쳐서 덥게 보였던 모양이지요. 성중에 사는 장자의 아들 보적이란 신자가 부처님 머리위로 일산(양산)을 펴서 햇빛을 가리고는 예배를 올립니다. 인도는 일 년 내내 더운 지방.. 2017. 4. 28.
유마경 8 -유마경 8- 중생들의 안목으로는 어떤 사안이나 물건을 두고 다르게 보거나 생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자기에게 미치는 유 불 리의 이해타산을 따져서 자기에게 유리한 쪽으로 해석을 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마음속에 탐욕(욕심)과 진애(성냄)와 우치(어리석음)가 있음으로 해서이다. 그.. 2017. 4. 28.
유마경 9 -유마경 9- 유마경 제2 방편품 (중생을 교화하는 방법. 수단) 방편품 에서는 유마힐이란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에 대해서 자세히 밝히는 대목입니다. 그런데 왜 방편 품이라 했는고. 하면 유마힐이란 사람이 여러 가지 방편을 동원해서 대중들을 교화하는 많은 일을 했기 때문에 방편품이라.. 2017. 4. 28.
유마경 10 -유마경 10- 법화경에서는 방편은 선교의 이름이요 선교는 지혜의 작용이라고 하였습니다. 유마힐은 덕이 높은 보살로서 부처님에 가까운 지혜를 갖추었고 중생의 어리석음을 불쌍히 여기는 생각이 대단히 깊기 때문에 스스로 가지가지 선교방편을 쓸 수가 있었던 것입니다. 제2 방편품 .. 2017. 4. 28.
유마경 11 -유마경 11- (원문) 유마힐이 병들어 누웠다는 소문을 듣고 국왕을 비롯한 대신 장자거사와 바라문등 수많은 권속들이 병문안을 오게 됩니다. 유마힐은 자기에게 병문안을 오는 사람들을 상대로 법문을 합니다. 여러분, 이 몸은 무상하니 덧없고 늘 건강한 것이 아니며 큰 힘이 있는 것도 .. 2017.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