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卍-불법을만나고/卍-불교자료실

고해(苦海)-공덕(功德)

by 회심사 2017. 5. 14.
고해(苦海) : 이 세상이 괴로움이 많다하여 바다에 비유한 것입니다. 고해는 첫째로 고통의 바다를 말합니다. 현실의 이 세계에는 고통이 끝도 없이 가득 차 있다는 것을 바다에 비유한 것입니다. 둘째는 괴로움으로 가득찬 인간세계를 말하는 데, 번뇌가 가득한 극악중생이 거처하는 세계입니다.
고행(苦行) : 깨달음을 얻기 위해 또는 願望을 달성하기 위해 괴로운 수행을 하는 것입니다.

원래 인도에서 불교 외의 종교행자(외도)가 깨달음을 얻기 위해 육체를 극도로 혹사 시키는 수행을 말합니다. 즉 육체적 욕망을 없애고, 최고의 정신생활을 실현하기 위한 준열한 육체적 가책을 말하고, 불교 이외의 종교에서 이용된 수행으로 단식, 호흡제어, 특수한 자학적 행위로 육체를 괴롭히고, 자신이 원하는 소망의 달성과 정신적 자유를 기대했지만, 석존은 오히려 극단적인 고행을 배제하는 태도를 취했습니 다. 나중에는 보시?자비 등 불도에 맞는 목적을 위한 難行이라고도 합니다.
고행논사(苦行論師) : 심신의 고통을 통해서 미래생의 낙과(樂果)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이들. ⇒ 고행외도(苦行外道).
고행외도(苦行外道) : 숙명론을 주장하는 외도의 일파. 고행을 통해서 열반 또는 미래생의 낙과(樂果)를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함
공 자(孔子,552-479B.C) : 魯나라 철인, 昌平邑  邑사람, 자는 仲尼 이름은 丘, 부는 叔梁紇 모는 顔씨.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빈곤 속에서도 學問에 뜻을 두어, 周公을 추앙하다. 주공의 理想政治를 실현하려고 관리가 되지만 반대로 인해 國外로 망명, 諸國을 다니며 治國의 道를 설하다. 일정한 스승이 없었지만 禮를 老聃에게 묻고 音樂을  弘에게, 벼슬하는 도리를  子에게 물었으며, 거문고를 師襄에게 배웠다. 뒤에 노나라로 돌아와서 제자교육에 힘쓰다. 73세에 卒하였는데, [禮記 檀弓記]에, '돌아가기 7일전에 아침일찍 지팡이를 짚고 산책하다가,"泰山이 장차 무너지리로다, 대들보가 장차 꺾어지리로다, 철인이 장차 이세상에서 꺼지리로다!"하고 노래 부르고는 병들어 누운지 7일만에 돌아갔다'한다. 문하에 顔回, 閔子騫,  伯牛, 仲弓, 宰我, 子貢,  有, 子路,  有, 子夏 등을 '孔門十哲'이라 한다.
공(空) : 범어 순야(sunya)의 번역으로 무야라고 음역합니다.
공이라는 것은 공성(空性)이라고 하며, 주공신(主空神)을 순야다신(舜若多神)이라고도 칭하고 있습니다.

공(空)이란 일체의 법이 인연에 따라 생겨난 것으로, 거기에는 아체(我體), 본체(本體), 실체(實體)라 할 만한 것이 없으므로 공이라고 한 것입니다.

이와 같이 일체가 공이라고 관견(觀見)하는 것을 공관(空觀)이라고 합니다. 공은 허무가 아니고 공을 관하는 것은 진실한 가치의 발견이므로, 진공(眞空) 그대로가 묘유(妙有)라는 것입니다. 이것을 진공묘유(眞空妙有)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에 반하여 공을 허무적인 것으로 이해하는 것을 악취공(惡取空)이라고 합니다. 이것이 불교 전반에 통하는 기본적인 공의 교리입니다. 대승과 소승에 걸쳐 공이 설해져 있지 않은 경전이 없으나 그 교리의 심오함과 깊음에 따라 그 설명의 방법은 각기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먼저 이공(二空)이라는 것이 있는데 실재의 나가(實我)가 공인 것, 유정의 개체 가운데 아체라고 할 만한 것이 없는 것으로 아공(我空), 중생공(衆生空), 생공(生空), 인무아(人無我)라고도 하는 인공(人空)과 인연에 따라 생긴 것이므로 일체의 존재 자체가 공이란 원리로 법무아(法無我)라고도 하는 법공(法空) 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소승은 인공만을 설하고 법공을 설하지 않지만 대승은 법이공(法二空)을 설한다고 합니다.

이공으로 공을 설하는 것은 석공(析空)과 체공(體空)이 있습니다.
존재를 분석하여 나타난 공(석공)과 종재의 당체 그 자체가 공이라고 체달하는 공(체공)이 그것입니다. 소승과 성실종(成實宗, 불교의 한 종파)은 석공을 설하고 대승을 체공을 설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공은 설하는 방법에 따라 이공(二空), 삼공(三空), 사공(四空) , 육공, 칠공, 십공, 십일공, 십팔공 등 공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습니다.
공겁(空劫) : 불교의 우주관을 토대로 한 4겁(劫) 중 하나. 우주는 일정한 네 가지 주기를 반복하며 이루어지는데, 그 중에서 넷째 단계인 공막기(空漠期)를 말한다
공견(空見) : 선악(善惡)이나 인과(因果)의 이치, 만유 차별의 법체(法體) 등을 모두 부정하는 사견(邪見)이나 단견(斷見). 공법(空法)에 집착하는 견해.
공경예배(恭敬禮拜) : 공손히 섬기면서 삼가 존경하고 우러러 공경하는 뜻을 신체적 동작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공덕(功德) : 좋은 일을 함으로써 쌓이는 것이 공이며, 그러한 수행을 통해서 얻어진 것을 덕이라고 한다. 공은 복되고 이로운 결과를 가져오며, 선행의 덕은 공을 닦음으로써 얻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