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卍-불법을만나고/卍-불교자료실

계사(戒師)-계첩(戒牒)

by 회심사 2017. 5. 14.
계사(戒師) : 계를 일러준 스님을 말함. 수계사(授戒師) 의 준말이 기도 함. 사분 율에서는 구족계를 받은지 10년이 상된 비구를 계사라 하고 대승원 돈교에서는 석존을 계화상이라 하므로 계법을 일 러준 스님을 계사라 함.
계상(戒相) : 신(身), 구(口), 의(意), 3업(業)을 행할 때 계행(戒行)이 나타나는 모양.
계수(稽首) : 인도에서의 최상의 경례 방법인데 양 무릎을 끓고 얼굴을 땅에 대고 양손 바닥을 위로 올리며 상대방 발을 쥐고 얼굴을 갖다 대는 인사방법.
계윤부 : 소승 20부파 중의 하나. 불멸 후 200년경에 대중부(大衆部)에서 분파되었다. 과미무체론(過未無體論)을 주장했다. 고구리가(高拘梨柯), 교구지가( 矩 迦), 구구라(拘拘羅), 굴거부(窟居部), 회산주부(灰山住部).
계율(戒律) : 계(戒)와 율(律)의 복합어. 쉴라( ila)는 계, 비나야(vinaya)는 율로 구분된다. 넓은 뜻으로는 불자(佛子)로서 지켜야 할 모든 생활 규범을 총칭한다. 일반적으로는 출가자가 수행 생활을 위해서 지키는 규율 조항을 말한다.
계일왕(戒日王) : 7세기경 중인도에 자리했던 갈야국사국( 若鞠 國)의 왕 이름. 불교를 보호하였으며, 불교 희곡인 나가난다(N g nada)를 저술했다. 현장 스님이 방문했을 당시에 매우 환대하였다고 전한다. 시라아질다(尸羅阿迭多).
계장(戒場) : 자자(自恣) 또는 설계(說戒)를 하는 식장(式場). 3종 결계(結界) 중 하나. 수계(受戒) 도량을 가리킴. 본래 인도에서 작법을 행할 때, 노지(露地)에 단(壇)을 쌓아 놓았던 유풍에서 비롯되어 계장은 곧 계단(戒壇)이라고도 함.
계정혜(戒定慧) : 계(戒)는 부처님의 가르침 중 윤리 도덕적인 규범, 정은 마음을 집중하여 흐트러지지 않게 하는 것, 혜는 수행을 통하여 얻는 지혜. 깨달음의 방법은 이 셋 안에 다 들어온다고 할 수 있는데, 이를 통 틀어서 삼학이라고 합니다
계족도(戒足道) : 계의 발로써 도의 길을 밟아서 모든 덕이 원만하고 일체의 악이 다 없어져 적멸한 원적산에 올라간다는 뜻.
계첩(戒牒) : 승니(僧尼)가 수계받을 때 받는 증명서로서, 일반적으로 구 족계첩을 말하며 정규 자격증으로 사원을 통해 사부(祠部)에서 발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