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卍-불법을만나고2576

사찰에서의 생활 예절 卍-사찰에서의 생활 예절-卍 사찰에 가서 생활하는데 보탬이 될까 하는 마음으로 이 글을 적고...또 절에 가시더라도 무안 당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적습니다.. 1) 취침과 기상시간을 해당사찰의 시간에 맞춘다. 일반적으로 사찰에서의 기상시간이 무척 빠른 관계로 당연히 취침시.. 2017. 4. 24.
부처님께 공양 올릴때의 예절 卍-부처님께 공양 올릴때의 예절-卍 1) 근본은 정성이 깃들어야 한다. 불공을 올리려는 마음가짐에서부터 준비하는 과정까지 깊은 정성이 우러나지 않은면 안된답니다. 그저 해볼까 하는 생각이나, 어떨까 하는 반신반의나, 행여나 하는 요행심으로 불공을 올린다면 한갖 허공에 금을 긋.. 2017. 4. 24.
절에 갈때의 몸가짐 卍-절에 갈때의 몸가짐-卍 1) 절에 올 때의 몸가짐 ⑴ 절에 올 때는 염주를 가지고 와야 합니다. 염주는 항상 손에 들고, 가고 옴에 불보살님의 명호를 외우고 정진하여야 합니다. ⑵ 법복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법복을 입으면 엄숙하고 경건한 마음이 되기에 마음을 다스리는 데에도 도움.. 2017. 4. 24.
불교, 어떻게 믿을것인가 卍-불교, 어떻게 믿을것인가-卍 요즘 세상은 믿을 것이 없다고 한다. 남은 말할 것도 없고 친척, 심지어는 자식 까지도 믿을 것이 못된다. 뉴스나 광고는 물론이지만, 학설까지도 견해가 엇갈려 어떤 쪽을 따라야 할지 알 수가 없다. 재산과 권리와 명예라는 것은 본래부터 덧없는 것이지.. 2017. 4. 24.
종교와 종교인의 역활 卍-종교와 종교인의 역활-卍 요즘 불자님들 마음의 뜨락은 어떠하십니까? 사회 무질서로 불안˙공포와 경제악화등으로 모든 것이 편안치 않을 듯 싶습니다. 그러나 너무 단정적인 비관만 하지 마십시오. 부처님 당시의 사회도 지금과 똑같은 불안한 사회였습니다. 사성계급의 기득권 확.. 2017. 4. 24.
신앙인의 자세 卍-신앙인의 자세-卍 우리는 왜 종교를 갖고 신앙을 가지는가? 재물을 더 많이 얻기 위해서 인가? 오래살기 위해서 인가? 명성을 드높이기 위해서 인가? 아니면 여가를 선용하기 위해서 인가? 아니면 죽어서 천당이나 극락에 가기 위해서 인가? 종교를 믿지 않거나 신앙을 갖지 않은 사람.. 2017. 4. 24.
종교란 무엇인가 卍-종교란 무엇인가-卍 오늘날 지구상에는 다양한 문화와 민족이 함께 어울려 살고 있다. 그 결과 민족과 문화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교가 발생하였다. 여기서 많은 종교를 모두 열거할 수는 없고, 종교의 일반적 정의와 불교에서 말하는 종교에 대해 알아보자. '종교(宗敎)"란 말 그대.. 2017. 4. 24.
불교의 정의 卍-불교의 정의-卍 신심 장한 한 불자가 서울역 광장을 걷는다. 목에는 만(卍)자 목걸이를 걸었고 손목에는 단주를 찼으니 보통불자는 아닐게 분명하다. 이곳에 늘 상 포진해 있는 극성스러운 종교의 전도자들이 가만히 있을 리가 없다. 여지없이 신심 장한 불자에게로 접근한다. 그리고 .. 2017. 4. 24.
참다운 종교인 불교의 개념 정의 卍-참다운 종교인 불교의 개념 정의-卍 장엄겁이라 하는 과거의 겁에 비바시불, 시기불, 비사부불이라고 하는 세분의 부처님과 현겁이라고 하는 현겁에 구루손불, 구나함모니불, 가섭불, 석가모니불 이 네 부처님께서는 불교의 의미에 대해서 똑같은 말을 하는데 이를 칠불통게(七佛通偈.. 2017. 4. 24.
종교(宗敎)의 의미 卍-종교(宗敎)의 의미-卍 화엄오교장 [권 1]에 보면 종교(宗敎) 두 자에 대한 해석이 나오는데 교화의 대상에 적용해서 설해지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교(敎)라 하고 각각의 주된 내용을 종(宗)이라고 풀이했습니다. 일반적인 의미로 宗이란 주관적인 자신의 주의나 신념을 일컫고 敎란 객관.. 2017. 4. 24.
기본교리(基本敎理)란 무엇인가? 卍-기본교리(基本敎理)란 무엇인가?-卍 기본교리(基本敎理)란 무엇인가? 기본교리, 기초교리라고 하며 불자들이 꼭, 반드시 알아야 할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삼보, 삼법인, 사성제, 팔정도, 십이연기, 사대, 십이처, 중도, 십업, 열반 등이며 이것은 부처님의 직접적인 가르침이다. 후대 대.. 2017. 4. 24.
예불문 卍-예불문-卍 오늘날 우리들이 조석으로 봉송하고 있는 예불문은 그 역사가 오래되지 않았다. 1955년 경기도 남양주군 봉선사에 계시는 월운(月雲)스님께서 석문의범, 작법귀감, 염불문, 선어록 등 여러 가지 예경독송집을 참고하여 만든 것이다. 큰절에서 드리는 새벽 예불 도량석(道場釋.. 2017. 4. 24.
심우도 卍-심우도-卍 본성을 찾아 수행하는 단계를 동자(童子)나 스님이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해서 묘사한 불교 선종화(禪宗畵) 이다. 본래 도교의 팔우도(八牛圖)에서 유래된 것으로 12세기 중엽 중국 송나라 때 곽암선사(廓庵禪師)가 2장면을 추가하여 십우도(十牛圖)를 그렸다. 도교의 팔우도는 .. 2017. 4. 24.
중도 卍-중도-卍 중도란 양극단을 떠나 어느 한편으로 치우치지 않는, 사람 이 행해야 할 바른길 중정(中正)이라 한다. 아함경에 출가한 사람은 두 가지 극단에 친근해서는 안된다. 두 가 지란 무엇인가? 온갖 욕망에 오로지 집착하는 것과 스스 로 고행을 일삼아 육체와 정신을 괴롭히는 것이.. 2017. 4. 24.
해와 행 卍-해와 행-卍 해와 행은 이론과 실천이다. 인간의 괴로움은 욕망(갈애)에서 시작되고 그 욕망은 존재의 실상을 체득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다. 때문에 진리에 대한 무지가 바로 무명(無明)이다. 무명은 연기의 법칙성을 통찰하면 극복될 수 있는 것이 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자력적(自力的.. 2017. 4. 24.
업설 卍-업설-卍 업설 (業設)의 내용 주체적 인간(六根)과 객체적 대상 (六境) 사이에는 작용, 반응이라는 인과관계가 있다. 이 같은 업설은 이미 우파니샤드 철학에서 사용되고 있던 것이다. 그래서 부처님은 인간의 의지적 작용과 객체의 필연적 반응이라는 말로 체택하게 되었던 것이다. 선.. 2017. 4. 24.
연기의 잔리 卍-연기의 잔리-卍 [연기 공식]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此有故彼有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긴다. 此生故彼生 이것이 없으므로 저것이 없고 此無故彼無 이것이 멸하므로 저것이 멸한다. 此滅故彼滅 연기는 인과법, 인연법, 연생연멸의 법칙이라고도 불린다. 부처님은 이 연기의 .. 2017. 4. 24.
사물 卍-사물-卍 불전에 필요한 여러 가지 법구를 말한다. 가. 범종 (梵鐘) 무릇 지극한 도(道)는 형상 밖의 것도 포함하나니 범종의 소리를 부처의 음성이라고 하였다. 부처의 말씀을 글로 표현하면 불경이 되고, 부처의 모습을 형상화하면 불상이 되고, 부처의 깨달음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만.. 2017. 4. 24.
칠불통계게(七佛通戒偈) 卍-칠불통계게(七佛通戒偈)-卍 제악막작 諸惡莫作 모든 악한 일은 짓지 말고 중선봉행 衆善奉行 착하고 선한 일은 받들어 실천하라. (자비) 자정기의 自淨基意 자신의 마음을 청정하게 하는 것 (지혜) 시제불교 是諸佛敎 이것이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칠불 (七佛) : 일곱 분의 부처님.. 2017. 4. 24.
육바라밀 卍-육바라밀-卍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는 보살의 수행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육바라밀이다. 바라밀은 산스크리트 paramita를 소리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저 언덕에 이른상태'. '완성'이라는 뜻이다. 중생들의 어리석음과 탐욕으로 생기는 괴 로움의 세계를 '.. 2017. 4. 24.
사섭법 (四攝法) 卍-사섭법 (四攝法)-卍 보살이 실천해아 할 덕목으로서 중생을 불법에 끌어들이기 위한 네가지 행위이다. 가. 보시 (布施) : 남에게 가르침이나 재물을 조건없이 베푸는 것이다. 나. 애어 (愛語) : 부드럽고 온화한 말로 중생을 거두어 들이는 것이다. 다. 이행 (利行) : 남을 이롭게 하는 행.. 2017. 4. 24.
팔정도(八正道) 卍-팔정도(八正道)-卍 팔정도(八正道 : 여덟 가지 바른길) 가. 정견 (正見) : 바른 견해 (붓다가 설한 연기와 자세에 관한 지혜 정견의 반대는 십이연기의 무명이다) 나. 정사 (正思) : 바른 생각, 또는 정사유(正思유) 다. 정어 (正語) : 바른 말 (거짓말, 남을 헐뜯는 말, 거친 말, 쓸데없는 잡.. 2017. 4. 24.
사성제 卍-사성제-卍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 깨달음을 얻으신 부처님께서 최초 다섯 비구에게 설법한 내용이 사성제와 팔정도(八正道)이다. 때문에 이것은 깨친 내용을 전하는 최초의 설법이라 할 수 있다. 사성제와 팔정도는 마치 코끼리 발자국이 모든 다른 동물의 발자국을 포용하둣이 불교.. 2017. 4. 24.
사홍서원 卍-사홍서원-卍 가. 총원 (總願) : 모든 부처님과 보살님들의 한결같은 공통의 원. ⓐ 중생무변서원도 (衆生無邊誓願道)가없는 중생을 다 건지오리다 ⓑ 번뇌무진서원단 (煩惱無盡誓願斷)끝없는 번뇌를 다 끊으오리다 ⓒ 법문무량서원학 (法門無量誓願學)한없는 법문을 다 배우오리다 ⓓ .. 2017. 4. 24.
삼세 인과 卍-삼세인과-卍 삼세인과'삼세업보(三世業報)라 설명하기도 한다. 삼세는 전생(前生)또는 숙세(宿世)와 금생(今生) 그리고 내생(來生)을 가리킨다. 전생을 알고 싶은가 欲知前生事 금생에 받는 이것이요 今生受者是 후생 일을 알고 싶은가 欲知來生事 금생에 짓는 이것이다 今生作者是 2017. 4. 24.
조도품 卍-조도품-卍 사념처 (四念處 : 네가지를 생각하는 것) ① 관신부정 (觀身不淨) : 몸은 깨끗 하지 않다고 봄 ② 관수시고 (觀受是苦) : 감각작용은 괴롭다고 봄 ③ 관심무상 (觀心無常) : 마음은 영원하지 않다고 봄 ④ 관법무아 (觀法無我) : 모든 존재는 실체가 없다고 봄 四念住라고도 하는.. 2017. 4. 24.
삼귀의계 卍-삼귀의계-卍 가.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귀의불 양족존 歸依佛 兩足尊) 이미 부처님께 귀의하였사오니, 차라리 몸과 목숨을 버릴지언정 끝내 다른 종교는 믿지 않겠습니다. 나.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귀의법 이욕존 歸依法 離欲尊) 이미 부처님의 가르침에 귀의하였사.. 2017. 4. 24.
기도 식순 卍-기도 식순-卍 **기도시 준비할 점** *기도 기간을 3일,7일. 21일. 50일. 100일 1000일 등 일정한 기간을 정해두고 그 기간은 어려움이 있더라도 중도에 포기하지 말고 기도해야 기도 성취 할수 있다. *매일 기도 시간을 일정하게 정해놓고 기도 시간을 어기지 말아야 한다. *기도 할때는 불상.. 2017. 4. 24.
불상의 종류-2, 석가여래불(釋迦佛像) 卍-불상의 종류-2, 석가여래불(釋迦佛像)-卍 석가불상/ 비로자나불상/ 아미타불상/ 약사불상/ 미륵불상/ 방위불/ 천불 인도에도 초기의 불상은 거의가 석가불이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어느 시대나 석가불이 가장 많이 만들어졌다.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유명한 황룡사 장육불상은 바로 석.. 2017. 4. 24.
불상의 종류-1, 아미타불 卍-불상의 종류-1, 아미타불-卍 사람들의 입에 가장 많이 오르내리던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이란 유명한 불경 구절처럼 아미타불상은 관음보살상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있던 보살이었다. 아미타불은 영원한 수명과 무한한 광명을 보장해주는 즉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 2017.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