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62

기바(耆婆)-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 기바(耆婆) : 지바카의 음역. 祇婆라고도 함. 부처님 재세시에 의왕(醫王)이라 불릴 만큼 뛰어난 의술로 이름 높았던 명의(名醫). 덕차시라국의 명의였던 빈가라에게 7년 동안 사사받은 뒤 본국으로 돌아와, 왕사성에 머물면서 빈비사라왕과 부처님의 병을 치료했다. 불법에 귀의하여 깊은.. 2017. 5. 14.
기심사(起尋思)-기예천(伎藝天) 기심사(起尋思) : 업에 따라 식(識)에서 여러 가지를 능히 분별하는 것을 심사(尋思)라고 하고, 이것이 행위의 차별성에 따라 식의 종류를 인도하여 일으키는 것을 심사라고 합니다. 기심입덕(起心立德) : 보리심을 일으켜 공덕을 세운다는 뜻입니다. 기심입행(起心立行) : 기심이란 보리심.. 2017. 5. 14.
기원(祇園) -길상천 기원(祇園) : 제타의 숲. 祇洹이라고도 함. 수달(須達) 장자가 석가모니에게 설법과 수도의 장소로서 헌납한 숲의 이름. 수달 장자는 그 숲에 *기수급고독원을 지어 바쳤다. 흔히 기원 정사로 불리는데, 왕사성의 죽림 정사와 함께 석가모니 당시의 2대 정사로 꼽힌다. 기원정사(祇園精舍) :.. 2017. 5. 14.
길상초(吉祥草)-나선(那先) 길상초(吉祥草) : 습지에서 자라는 풀 이름. 띠 풀과 비슷함. 석가모니가 보리수 아래 앉아서 성도할 당시에 바닥에 깔고 앉았던 풀이라는 데서 길상이라 이름 지어졌음. 일설에는 석가모니가 깔고 앉을 풀을 바쳤던 사람의 이름이 길상이었기 때문이라고 함. 길안(吉安) : 부처님께서 6년.. 2017. 5. 14.
나유타(那由陀)-나후라(羅 羅) 나유타(那由陀) : 나유타의 음역. 인도의 수량 단위. 아유다(阿由多)의 100배이며, 천억(千億)에 해당한다. 조(兆) 또는 구(溝)라고 번역하기도 함. 나제(那提) : 나디의 음역. ①사람 이름. 중인도 출신의 학승. 중국에서 불법이 융성하다는 것을 듣고서, 655년에 불전(佛典) 1,500여 부를 가지고.. 2017. 5. 13.
낙(樂)-난사왕생(難思往生) 낙(樂) : 즐겁고 유쾌하게 느끼는 감정. 선한 업에 따른 과보로서 얻게 됨. 낙구라(諾矩羅) : 나쿨라의 음역. 16나한 중에서 제5존자의 이름. 800명의 나한을 거느리고 남섬부주에 거주함. 낙근(樂根) : 22근의 하나. 악수의 소의를 악근이라 한다. 쾌감이 의지하는 곳. 6식 중에 눈, 귀, 코, 혀, .. 2017. 5. 13.
난승지(難勝地)-남전대장경(南傳大藏經) 난승지(難勝地) : 보살의 10지 중 제5위. 불법을 성취한 보살이 그 누구에게도 지지 않을 만큼 견고한 경지를 얻게 되는 지위. 난제밀다라(難提蜜多羅) : 석가모니가 열반한 지 800년 뒤에 생존했던 비구 이름. 대아라한난제밀다라소설법주기(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에 따르면, 난제.. 2017. 5. 13.
남종선(南宗禪)-내관(內觀) 남종선(南宗禪) : 중국의 선종에서 제6조 혜능(慧能, 638∼713)을 계승한 수행의 전통. 제5조 홍인(弘忍)의 두 제자로부터 유래한 남북 양종 중에서, 장안(長安)이나 낙양(洛陽) 등의 북방에서 번성한 신수(神秀)의 종풍에 대립하여 강남(江南)의 남방에서 성행한 혜능의 종풍. *오가칠종(五家.. 2017. 5. 13.
내녀수원(柰女樹園)-내영인접(來迎引接) 내녀수원(柰女樹園) : 암라파리(菴羅婆利) 즉 내녀(柰女)가 부처님에게 바쳤다고 전하는 승원의 이름 내명(內明) : 5명(明) 중의 하나. 불교도(佛敎徒)가 불교를 자칭하는 말. 성명(聲明)이나 공교명(工巧明)에 대한 말. 내생(來生) : 세 또는 후세라고도 하는데, 다음 세상의 생애 즉 바꾸어 .. 2017. 5. 13.
내외팔공양(內外八供養) -노심(老心) 내외팔공양(內外八供養) : 밀교의 금강계 만다라에서 내(內) 4공양과 외(外) 4공양을 합한 8보살을 가리킴. 내착번뇌(內著煩惱) : 2번뇌의 하나입니다. 마음이 어두워 자신에게 집착하는 데서 발생하는 번뇌입니다. 곧 오견(五見)· 의(疑)· 만(慢) 등을 말합니다 내호마(內護摩) : 밀교의 수.. 2017. 5. 13.
노자(老子)-뇌(惱) 노자(老子) : 노장(老莊) 사상의 주창가로서 무위자연(無爲自然)을 주장했음. 중국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던 경칭(敬稱)의 일종. 노파심(老婆心) : 노파가 자식이나 손자를 애지중지하듯이, 스승이 수행지에게 나타내는 자비심입니다. 친절심(親切心)이라고도 하며, 줄여서 파심(婆心)이라고.. 2017. 5. 13.
누(漏)-능단금강(能斷金剛) 누(漏) : 마음으로부터 새어 나오는 것. 번뇌가 유정의 감관으로부터 새어 나옴, 또는 번뇌로 인해 마음이 흐트러진다든가 인간이 생사에 떨어짐을 일컫는 말. *번뇌. 여기에는 부정(不淨)을 유출한다는 뜻의 유(流)와 삼계(三界)에 머물게 한다는 뜻의라는 두 가지 뜻이 있다고 한다. 누진.. 2017. 5. 13.
능립(能立)-능적(能寂) 능립(能立) : 능성립(能成立)의 줄임말. 인명(因明)에서, 논식(論式)을 세워서 주장하는 것을 말함. 진능립(眞能立)을 말함. 인명(因明) 8문(門) 중 하나이며, 3지(支) 작법 중에서 인(因)과 유(喩), 2지를 가리킴. 능변(能變) : 유식(唯識)에서, 일체 만법(萬法)을 변화시키는 것, 곧 식(識)을 뜻.. 2017. 5. 13.
능정관음(能靜觀音)-니사단(尼師壇) 능정관음(能靜觀音) : 정적(靜寂)한 모습으로, 해변의 바위에 앉아 손을 바위에 대고 있다. 해로(海路)의 수호신이다. 능지(能持) : 한량없이 깊고 많은 뜻을 알고 기억하여 잃지 않으며, 또 한 갖가지 선법을 능히 가지는 것. 능취(能取) : 인식하는 주체. 주관. 대상을 파악하는 것. *능집(能.. 2017. 5. 13.
니살기바일제(尼薩耆波逸提)-다라보살(多羅菩薩) 니살기바일제(尼薩耆波逸提) : 출가자가 수지(受持)하는 구족계 중 일부. 만약 범했을 경우에, 탐심으로 모은 재물을 내놓고 대중들 앞에서 참회해야 하는 계. 탐심으로 인해 죄업을 지으면 지옥에 떨어지게 된다고 함. 니살기바일제법(尼薩耆波逸提法) : 율장 중에서 니살기바일제에 대.. 2017. 5. 13.
다라수(多羅樹)-다보탑(多寶塔) 다라수(多羅樹) : 나무 이름. 모래땅에서 잘 자라는 열대 식물로서 남인도, 스리랑카, 미얀마 등에서 자란다. 종려과(棕櫚科)에 속하며, 흰색의 꽃은 크고, 열매는 붉으며 석류와 비슷하다. 높이는 24∼25미터에 이르며, 옛부터 높이에 대한 비유로써 많이 쓰였다. 패다라(貝多羅) 또는 패엽(.. 2017. 5. 13.
다비(茶毘)-단도직입(單刀直入) 다비(茶毘) : 자피타의 음역. 죽은 시체를 불에 태우는 장례법의 일종. 석가모니 이래로 불교의 전통에서는 화장(火葬)이 주된 장례법이었다. 인도의 기후상, 시체를 흙에 묻는 매장보다는 화장으로써 처리하는 것이 위생상 더 나은 방법이었을 것이다. 불교의 전파와 함께 우리 나라에 들.. 2017. 5. 13.
단말마(斷末摩)-단청(丹靑) 단말마(斷末摩) : 말마란 범어 마르만(marman)을 음역한 것으로서, 말마가 끊어졌다는 뜻. 말마는 신체에 노출된 치명적인 부분으로서 조금만 상처를 입어도 목숨이 끊어지는 급소이다. 단바라밀(檀波羅蜜) : 6바라밀 또는 10바라밀 중 하나. 단나바라밀(檀那波羅蜜). 단법(壇法) : 수행법(修.. 2017. 5. 13.
단타(團墮)-담경(談經) 단타(團墮) : 핀다파타의 번역. 12두타행의 하나. 인도에서 걸식하는 수행자에게 밥을 뭉쳐서 발우 안에 떨어뜨려 주었던 것에서 유래된 말이다. 단특산(檀特山) : 단특은 단다카의 음역. 고대 북인도의 *건타라국에 있었던 산 이름. 석가모니가 전생(前生)에 수행했던 장소. 단하소목불(丹.. 2017. 5. 13.
담란(曇鸞)-담연(擔然) 담란(曇鸞) : 사람 이름. 476∼542년 생존. 북위(北魏) 시대 때 안문(雁門) 지역 출신으로서, 성씨는 미상. 오대산(五臺山)으로 출가하여, 중론(中論), 백론(百論), 십이문론(十二門論), 대지도론(大智度論) 등 4논서에 정통하였다. 한때 선경(仙經)에 심취했으나, 51세 때 정토교(淨土敎)에 귀의.. 2017. 5. 13.
담연(曇延) -대계(大界) 담연(曇延) : 사람 이름. 중국 남북조 시대 때 포주(浦州) 상천(桑泉) 출신. 16세 때 승묘(僧妙) 법사의 열반경 강설을 듣고 나서 출가했다. 588년 8월 세수 73세로 입적했다. 열반의소(涅槃義疏) 등을 저술했다. 담영(曇穎) : 임제종. 호는 금산으로 어려서 출가하여 처음 대양고현을 따라 조동.. 2017. 5. 13.
대공(大空)-대륜(大輪)보살 대공(大空) : 18공(空) 중의 하나. 색법(色法)은 모두 지(地), 수(水), 화(火), 풍(風), *4대(大)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공(空)일 뿐이라는 것. 대승에서 말하는 구경(究竟) 공적(空寂)의 이치, 즉 열반(涅槃)을 가리킴. 대광명왕(大光明王) : 석가모니가 과거세(過去世)에 염부제(閻浮提)의 국왕이.. 2017. 5. 13.
대림정사(大林精舍)-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대림정사(大林精舍) : 대림은 마하바나의 번역. 고대 중인도의 비사리성(毘舍離城) 근처의 큰 숲에 있었던 정사 이름. 석가모니가 설법했던 장소 대만다라(大曼茶羅) : 4종 만다라 중 하나로서 가장 큰 크기의 만다라이며, 여러 존상의 모습을 그려 놓은 것. 대명도무극경(大明度無極經) : 3.. 2017. 5. 13.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대비관세음(大悲觀世音)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 6위(位) 심소(心所) 중의 하나. 모든 번뇌로 인해 일어나는 심소를 가리킴. 치(癡), 방일(放逸), 해태(懈怠), 불신(不信), 혼침( 沈), 도거(掉擧) 등 여섯 가지가 있음. 대범천(大梵天) : 색계(色界) 17천의 하나입니다. 또는 대범천의 주인으로 사바세계의 주인도 됩.. 2017. 5. 13.
대비구(大比丘)-대세지(大勢至) 대비구(大比丘) : 덕이 높은 장로(長老) 비구를 가리킴. 사미(沙彌)에 대해서 비구를 가리키는 말. 대비로자나(大毘盧자那) : 위에서 아래를 골고루 비추시는 위대한 부처님입니다. 대일여래(大日如來) 라고도 합니다. 대비보살(大悲菩薩) : 관세음 보살의 별명. 대비(大悲)는 불보살을 일반.. 2017. 5. 13.
대세지보살-대승방등경전(大乘方等經典) 대세지보살 : 아미타부처님의 오른쪽에 위치-지혜의 문으로 중생을 제도함, 머리의 보관 내에 보배병을 나타냄-손에는 연꽃을 들거나 합장 모습 대세지보살 (大勢至菩薩) : 범어로는 마하스타마프라프타(Mahasthamaprapta)이며 '대정진' 또는 '득대세대세지'라 번역합니다. 또는 줄여서 대세`.. 2017. 5. 13.
대승불교(大乘佛敎)-대웅전(大雄殿) 대승불교(大乘佛敎) : 대승은 마하야나의 번역. 서력 기원 전후부터 인도에서 발흥되기 시작했던 혁신적인 불교 운동. 석가모니 이래로 출가자가 불교 교단의 중심을 차지했으나, 대승 불교 운동 이래로 재가 신자들이 교단 활동의 주체가 되었다. 대승 불교에서는 기존의 불교를 *소승(.. 2017. 5. 13.
대원(大願)-대자대비(大慈大悲) 대원(大願) : 대원은 커다란 바람. 서원. 기원하는 것입니다. 또는 대비원력(大悲願力)의 줄임말 입니다. 일체중생을 구제하려고 하는 대자비(大慈悲)의 아미타불의 본원력으로 아미타불의48가지 소원을 말하기도 합니다. 대원각(大圓覺) : 광대하고 완전한 깨달음, 부처님의 지혜를 말함. .. 2017. 5. 13.
대자은사(大慈恩寺) -대종(大種) 대자은사(大慈恩寺) : 중국 협서성(陜西省) 서안부(西安府)에 자리함. 그 지역의 고대 명칭은 장안(長安)이었다. 648년 당 나라 정관(貞觀) 22년에, 훗날 고종(高宗)이 되었던 황태자 치(治)가 창건했다. 현장(玄 ) 법사가 절의 서북쪽에 세워졌던 번경원( 經院)에 머물렀던 것으로 유명하다.. 2017. 5. 13.
본론(大宗地玄文本論)-대초열지옥(大焦熱地獄) 대종지현문본론(大宗地玄文本論) : 마명(馬鳴)이 저술하고, 진제(眞諦)가 번역한 문헌. 총 20권으로 이루어져 있음. 대좌(臺座) : 불보살 및 비구 등이 앉는 자리를 말합니다. 대좌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그 명칭도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대좌는 부처님이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을 .. 2017. 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