卍-불법을만나고/卍-불교자료실1487 014 법당은 어떤 곳이며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卍-014 법당은 어떤 곳이며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卍 우리들은 법당(法堂)이라고 하면 흔히 본존이 모셔져 있는 그 사찰의 중심 건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만, 실제 불상이나 보살상을 모신 전각을 법당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고려시대에 선종이 설핼하면서 부터이며 .. 2017. 5. 15. 013 법당 안의 신중단은 어떤 곳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 卍-013 법당 안의 신중단은 어떤 곳이며 어떤 의미가 있나-卍 대승불교가 발달하면서 일체중생에 대한 구제가 강조되어 불교에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신앙 형태가 생겨나게 되었습니다만, 그 신앙 형태의 특징 가운데 한 가지가 인도 재래의 토속신뿐 아니라 불교가 전파되는 여러 지역의.. 2017. 5. 15. 012 밀교는 어떻게 성립하였고 어떤 가르침인가 卍-012 밀교는 어떻게 성립하였고 어떤 가르침인가-卍 밀교(密敎)란 말 그대로 비밀스런 가르침이라는 의미인데, 불교의 다른 교설들이 모두 드러내놓고 설해진 가르침 즉, 현교(顯敎)인데 반해 자신들의 가르침은 본래 부처님의 심중에 감춰져 있던 것으로서 스승과 제자 사이에만 은밀.. 2017. 5. 15. 011 미륵불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야 하나 卍-011 미륵불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야 하나-卍 미륵부처님(彌勒佛)은 먼 훗날 이 땅에 출현하셔서 중생들을 제도하실 미래세의 부처님으로, 지금은 도솔천에서 천인들을 위해 설법하고 계시는 분입니다. 그러므로 미륵부처님이라고도 하고 아직은 부처님이 아니므로 미륵보살이라.. 2017. 5. 15. 010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시나 卍-010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시나-卍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양 옆에 모시기도 하고 때로는 비로자나 부처님의 좌우에 모시기도 하는 보살로, 말하자면 각기 지혜와 행원(行願)이라는 부처님의 두 가지 커다란 덕성을 상징.. 2017. 5. 15. 009 무상이란? 卍-009 무상이란?-卍 불교의 근본 교의(敎義)를 셋으로 표시한 것을 삼법인(三法印)이라고 하는데 이 중 첫째가 제행무상(諸行無常)입니다. 이 세상 모든 생물은 태어나서(生), 늙고(老), 병들고(病), 죽는(死) 과정을 거치지 않는 것이 없고, 거대한 것이나 미세한 것이나 모든 존재는 머물다.. 2017. 5. 15. 008 무명의 뜻은 卍-008 무명의 뜻은-卍 무명(無明:Avidya)은 진리를 알지 못하는 상태, 또는 진여(眞如)에 대하여 비진여(非眞如)를 말합니다. 진여를 설명함으로써 무명의 뜻이 명확해집니다. 진여는 우주만유에 보편한 상주불변(常住不變)하는 본체를 말합니다. 이 진여는 우리의 사상개념으로 미칠 수 없.. 2017. 5. 15. 007 대승불교는 어떻게 성립하였고 어떤... 卍-007 대승불교는 어떻게 성립하였고 어떤...-卍 인간 이성에 대한 깊은 신뢰와 삶의 괴로움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창시된 불교는 애당초 대단히 생기발랄한 가르침으로서 부처님 당시에 이미 인도대륙의 지역으로 전파되어 엄청난 민중적 반향을 불러 일으켰습니다만, .. 2017. 5. 15. 006 나라마다 스님들의 생활방식이 크게 다른 이유는 卍-006 나라마다 스님들의 생활방식이 크게 다른 이유는-卍 불교는 인도라는 사회문화적인 토양을 기반으로 성립하고 발전했지만, 인도에만 국한하지 않고 일찍부터 범세계적인 종교로 성장해 갔습니다. 그것은 불교가 그만큼 보편적인 가르침을 지향하는 종교였음을 입증하는 종교로서.. 2017. 5. 15. 005 교단이 삼보 가운데 하나로 공경되는 이유는 卍-005 교단이 삼보 가운데 하나로 공경되는 이유는-卍 불교에서는 불. 법. 승의 삼보를 삶의 지표이자 수행의 의지처로 삼고 있습니다만, 그 중에는 특히 승보 즉, 교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승보의 승(僧)은 본래 승가(僧伽)를 줄인 말로서, 다른 말로는 중(衆) 또는 화합중(和合衆)이라고.. 2017. 5. 14. 004 관세음보살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야 하나 卍-004 관세음보살은 어떤 분이며 어떻게 모셔야 하나-卍 대승불교의 수많은 불. 보살 가운데에서 대중들과 가장 친근한 분이라면 단연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들 수 있겠습니다. 이같은 관세음보살은 달리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광세음보살(光世音菩薩), 관세자재보살(觀世自在菩.. 2017. 5. 14. 003 격의 불교란 어떠한 의미와 의의를 지니는가 卍-003 격의 불교란 어떠한 의미와 의의를 지니는가-卍 중국불교의 성격을 논할 때만 특별하게 사용되는 용어인 격의라는 말은 중국인에게 쉽게 이해되지 않은 불교교리를 널리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유교나 도교 등 중국 고유의 사상으로부터 유사한 개념이나 용어를 차용하여 설.. 2017. 5. 14. 002 12연기에 대하여 卍-002 12연기에 대하여-卍 불교는 인간이 죽음을 포함한 모든 고뇌에서 벗어나는 문제에 대해 명백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즉 인간의 근본적인 고뇌(八苦)는 숙명적이거나 우연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무지가 원인이 되어 받게 되는 필연적인 결과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연기에 .. 2017. 5. 14. 001 108 번뇌란? 卍-001 108 번뇌란?-卍 번뇌와 번뇌가 아닌 것을 분별한다는 것을 그렇게 쉽지가 않습니다. 현실적으로 보면 번뇌라는 것과 번뇌 안니 깨달음, 즉 보리(菩提)라는 것이 실상은 똑같은 자리에서 나온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깨달음에 든 사람은 번뇌의 본체나 보리의 본체가 원래 하나.. 2017. 5. 14. 수인 수인 제불보살(諸佛菩薩)과 제천선신(諸天善神)이 그 깨달음의 내용을 두 손으로 나타내는 모양. 불상 종류에 의한 수인은 교리적인 뜻을 가지고 표현되었기 때문에 불상의 성격과 명칭을 분명하게 해주는 역할을 해왔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그 규칙이 엄격히 지켜지지 않았던 것 같다. 항.. 2017. 5. 14. 불교기 불교기는 1950년 실론(지금의 스리랑카)에서 열린 세계불교도우의회"에서 정식 승인하여 현재 모든 불교 국가와 불교단체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기는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3:2이며 바탕은 다섯 가지의 색(청색, 황색, 적색, 백색, 주황색)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다섯가지 색깔은 부처.. 2017. 5. 14. 108배-가구경행(街衢經行) 108배 : (1)108 번뇌란? 중생의 번뇌 수효가 108개라는 데에서 유래한 것으로 번뇌의 수를 많이 잡으면 8만 4천 번뇌이고, 적게 잡으면 3독 등 다양하다. 이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108번뇌이며 이것을 계산하는 방법에는 두 종류가 있다. (2)계산 방법 卍 첫 번째 방법 ①6진(塵) ×3 (好, 惡, 平.. 2017. 5. 14. 가나가모니(迦那伽牟尼)-가득상사과류(可得相似過類) 가나가모니(迦那伽牟尼) : 현겁(現劫) 천불(千佛)의 제2. 과거 7불의 제5. 바라문 종족으로 성은 가섭(迦葉), 아버지는 대덕(大德), 어머니 는 선승(善勝). 우담바라나무 아래서 크게 깨닫고 많은 중생을 재도 하였음. 가나가무니(迦那伽牟尼) : 금적·금선인 이라 한다. 현겁천불의 두 번째 .. 2017. 5. 14. 가라구타(迦羅鳩馱)-가리(迦利) 가라구타(迦羅鳩馱) :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에 출현한 과거7불 가운데 4 번째 부처님. 가라분(迦羅分) : 범어(梵語) Kala . 견절(堅折) · 계분(計分) · 교량분(校量分) 이라고 번역된다. 가라(歌羅) · 伽羅 라고도 적는다. 시간의 짧은 단위 또는 적은 수량의 이름인데, 시간의 경우는 1,600찰.. 2017. 5. 14. 가리가(迦 迦)-가사(袈裟) 가리가(迦 迦) : 칼리카의 음역. 16나한 중 제7나한의 이름. 1,000명의 권속과 함께 승가다주(僧伽茶州)에 머묾. 가력가(迦力迦), 가라(迦羅). 가면불교설(假面佛敎說) : 베단타(Ved nta) 학파, 특히 샹카라(Sampkara) 파의 학설을 가리키는 말. 가명보살(假名菩薩) : 단지 이름만 보살일 뿐이라는 .. 2017. 5. 14. 가사(袈裟)-가야성(伽耶城) 가사(袈裟) : 스님들이 입는 옷. 가사의 색은 대체로 황적색을 띠는데, 이 말의 원어가 황적색(黃赤色)을 뜻하는 것과도 연관이 있다. 본래 출가 수행자란 남이 쓰다 버린 옷 조각이나 못쓰게 된 천 조각들을 주워서 꿰매어 만든 옷을 입을 만큼 무욕(無慾)과 무소유를 실천하였던 것에서 .. 2017. 5. 14. 가전연(迦 延)-가치나의(迦 那衣) 가전연(迦 延) : 석가모니의 십대제자 중의 한 사람. 가다연나(大迦多衍那), 가저야야나(迦底耶夜那), 대가다연나, 대가전연, 마하가전연(摩訶迦 延), 호미(好眉), 문식(文飾), 선승(扇繩). 가전(迦 ). 남인도의 바라문 출신. 갓 태어난 석가모니의 미래를 예언했던 아사타(阿私陀) 선인의.. 2017. 5. 14. 가타(伽陀)-가화장부(可化丈夫) 가타(伽陀) : 가타의 음역. 伽他라고도 함. 운문(韻文), 시가(詩歌) 등을 말함. 특히 경(經), 논(論), 석(釋) 등에서, 시구(詩句)의 형식으로 불덕(佛德)을 찬탄하는 것을 가리킴. 송(頌), 송문(頌文), 게송(偈頌), 게(偈), 게타(偈他). 가포덕가람(迦布德伽藍) : 부처님이 과거세에 비둘기가 되어, .. 2017. 5. 14. 가화합(假和合)-각자(覺者) 가화합(假和合) : 우주 만상은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고, 인연따라 임시 로 화합하여 이루어진 것. 각덕(覺德) : ① 신라 때 승려. 구법승의 선구자. 540(진흥왕 1)년 양나라에 들어가 여러 고승들에게 도를 배우고, 549(진흥왕 10)년에 양나라 사신과 함께 불사리를 가지고 돌아왔다. ② 인도 .. 2017. 5. 14. 각지(覺支)-간시궐(乾屎궐) 각지(覺支) : 각분·보리분·심술의 편과 정을 각제함을 각법이라 일컬는다. 깨달음이 하나 뿐이 아니므로 지라 하며 이에 37법이 있다. 각은 보리의 역어이다. 각천(覺天) : 붓다데바의 번역. 사람 이름. 서기 1세기경 생존. 인도의 소승 유부에 속했던 학승. 바사(婆沙) 4대 논사 중 한 사람.. 2017. 5. 14. 간심( 心)-갈마사( 磨師) 간심( 心) : 간탐으로 인해서 보시하지 않는 마음. 6폐심(蔽心) 중의 하나. 간탐심( 貪心). 간탐( 貪) : 재물과 법 등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남에게 베풀지 않는 것. 간혜(乾慧) : 비록 깨쳐서 지혜가 생겼다 할지라도 선정(禪定)의 힘이 충실하지 못하면 그것을 마른 지혜라고 한다. 마른 .. 2017. 5. 14. 갈마아사리(竭摩阿0梨)-감인세계(堪忍世界) 갈마아사리(竭摩阿0梨) : 계단에서 계를 받는 사람에게 지침이 되는 스님 갈앙(渴仰) : 목마르고 갈증날 때 물을 생각하듯이 불법을 동경하고 사 모하는 것 갈애(渴愛) : 욕망, 또는 욕망을 추구하는 것. 중생이 5욕(欲)에 집착하는 것이 마치 목마른 이가 물을 갈구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갈.. 2017. 5. 14. 감자왕(甘蔗王)-강림(降臨) 감자왕(甘蔗王) : 고대 인도의 사람 이름. 석가 종족의 선조로 알려져 있음. 나중에 출가한 뒤에 왕선(王仙)이라 불려졌음. 의마왕(懿摩王), 이마왕(伊摩王), 일종왕(日種王), 선생왕(善生王). 감지승찬(鑑智僧璨, -606) : 중국선종 제3조, 在家時에 風疾이 있었는데 2조 혜가와 問答往來로 풍.. 2017. 5. 14. 강맹상(康孟詳)-개권현실(開權顯實) 강맹상(康孟詳) : 후한 때 사람으로 그의 선조는 당거국 사람으로 지혜와 학문의 칭예가 있었다. 헌제 흥평원(194)년에서 건안 4(199)년에 이르기까지 낙양에서 유사구등 경육부를 번역하였다. 강사(講師) : 법회 때 불전 우측 높은 자리에 올라 경론을 강의 하는 승. 강원에서 부처님의 가르.. 2017. 5. 14. 개당(開堂)-개화(開化) 개당(開堂) : 1) 새로 주지가 된 스님이 절에 가서 처음으로 설법하는 의식. 2) 엣날, 역경원에서 왕의 생일을 축하하여 새 경전을 번 역할 때, 끝나기 두 달 전 관리들이 번역하는 일을 보던 일. 개부일체수화주야신(開敷一切樹華晝夜神) : 선제동자가 도를 구하기 위 해 방문한 53선지식 가.. 2017. 5. 14.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