卍-불법을만나고/卍-불교자료실1487 개화삼매(開華三昧)-건립(建立) 개화삼매(開華三昧) : 관세음보살께서 서방정토에 왕생한 사람이 묵고 있는 곳에 연꽃을 피도록 하기위해 드는 삼매 개회(開會) : 개는 개제(開除), 회는 회입(會入)을 뜻함. 방편을 없애고 궁극적인 진실로 들어가는 것을 가리킴. 성문, 연각, 보살, 3승(乘)이 모두 일불승(一佛乘) 하나로 .. 2017. 5. 14. 건혜(乾慧)-겁화(劫火) 건혜(乾慧) : 건조한 지혜, 즉 유루(有漏)의 지혜로서 궁극적 지혜에 이르기 전 단계를 가리킴. 궁극적인 지혜는 적절한 습기로 윤택한 데 반하여, 그와 대비시켜 부르는 말. 건혜지(乾慧地) : 건혜의 지위. 4염처관(念處觀)을 수행하여 지혜를 얻었으나, 아직 궁극적인 법성(法性)의 진리를 .. 2017. 5. 14. 게송(偈頌)-견일처주지(見一處住地) 게송(偈頌) : 부처님의 가르침이나 공덕을 읊어 놓은 운문(韻文)으로서 그냥 게(偈)라고도 합니다 격외선지(格外禪旨) : 참선의 도리는 보통 사람의 범상한 소견에서 벗어난 것으로, 있는 마음으로나 없는 마음으로나 다 알지 못하는 것「有心無心俱透不得(유심무심투족불득)」이다. 견고.. 2017. 5. 14. 견저자이파비(見猪子而把鼻)-결계(結界) 견저자이파비(見猪子而把鼻) : 옛날 어떤 스님이 공부를 하고 있는데 멧돼지가 쫓아와서 대들기에 그 코를 쥐어잡고 소리치다가 정신을 차려보니 자기의 코를 잡고 있었다고 한다. 이런 일들은 모두 제 마음이 움직이므로 그 틈을 타서 마가 침노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 생각으로 마를.. 2017. 5. 14. 결사(結使)-경록(經錄) 결사(結使) : 번뇌는 심신을 계박하여 고과(苦果)를 가져오므로 결(結)이라 하며, 중생을 따라 다니면서 강요하므로 사(使)라고 함. 9결(結)과 10사(使)가 있다. 결사(結社) : 고려 시대에 태동한 것으로 부패한 불교를 반성하고 불교의 혁신을 부르짓은 운동입니다. 고려는 건국 초기부터 불.. 2017. 5. 14. 경론(經論)-경행(經行) 경론(經論) : 불보살이 설한 내용을 담은 경(經)과 논(論). 3장(藏) 중에서 경장(經藏)과 논장(論藏)을 가리킴. 경봉정석(鏡峰靖錫,1892-1982) : 통도사스님, 聖海南炬의 제자. 경봉은 호, 詩號는 圓光 본명은 金鏞國. 밀양사람. 1892년(고종29) 密陽郡 부내면 계수동에서 父 金榮奎 母 안동權씨 사.. 2017. 5. 14. 계(戒)-계본(戒本) 계(戒) : 시라(尸羅), 시달라(尸 羅), 청량(淸凉), 성선(性善). ①본래 '마음이 착한 습관성'을 말하며, 좋은 습관을 익히는 것은 선계(善戒), 나쁜 습관을 익히는 것은 악계(惡戒)라고 구분한다. 일반적으로는 청정하다는 뜻으로서 정계(淨戒) 또는 선계에 한하여 사용한다. 율 가운데 제정.. 2017. 5. 14. 계사(戒師)-계첩(戒牒) 계사(戒師) : 계를 일러준 스님을 말함. 수계사(授戒師) 의 준말이 기도 함. 사분 율에서는 구족계를 받은지 10년이 상된 비구를 계사라 하고 대승원 돈교에서는 석존을 계화상이라 하므로 계법을 일 러준 스님을 계사라 함. 계상(戒相) : 신(身), 구(口), 의(意), 3업(業)을 행할 때 계행(戒行).. 2017. 5. 14. 계청(啓請)-고법지인(苦法智忍) 계청(啓請) : 다라니를 외우기 전에 관세음 보살과 다라니를 찬탄하며, 관세음 보살을 따라 큰 원(願)을 일으키며, 여러 불보살에게 청원하는 것. 계향(戒香 ) : 계율을 지키는 것이나 그로 인한 공덕이 향이 사방에 퍼지듯 퍼져나간다는 것과 같음을 이릅니다. 계향훈수(戒香熏修) : 계율을.. 2017. 5. 14. 고보(苦報)-고집멸도(苦集滅道) 고보(苦報) : "괴로운 과보"의 뜻인데, 범부가 자기(我)에 밝지 못하여 악한 업을 지어 고통스러운 과보를 받는 것으로, 대개 지옥·아귀·축생 등 악도에 떨어지는 것이 큰 고보(苦報)이고, 설사 인간으로 태어 났더라도 불여의(不如意)의 보(報)를 받는 것을 고보(苦報)라 한다. 고봉태수(.. 2017. 5. 14. 고해(苦海)-공덕(功德) 고해(苦海) : 이 세상이 괴로움이 많다하여 바다에 비유한 것입니다. 고해는 첫째로 고통의 바다를 말합니다. 현실의 이 세계에는 고통이 끝도 없이 가득 차 있다는 것을 바다에 비유한 것입니다. 둘째는 괴로움으로 가득찬 인간세계를 말하는 데, 번뇌가 가득한 극악중생이 거처하는 세.. 2017. 5. 14. 공덕의(功德衣)-공양(供養) 공덕의(功德衣) : 스님들이 입는 가사의 별칭. 선업을 쌓으면 공덕으로 남고, 악업을 쌓으면 죄과로 남는다. 출가자가 수행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공덕을 쌓는 일이 되기 때문에 공덕의라 부른다. ⇒ 가사(袈裟). 공덕전(功德田) : 3보(寶)를 말함. 3보는 무한한 공덕을 가지고 있으므로, 중생.. 2017. 5. 14. 공작명왕(孔雀明王)-과문(科文ⓟ) 공작명왕(孔雀明王) : 중생을 교화시켜 이롭게 하는 덕을 공작으로 표상한 것. 팔이 넷인 보살 형상으로서, 연화(蓮花), 구연과(具緣果), 길상과(吉祥果), 공작우(孔雀羽) 등을 들고서 금색의 공작을 타고 있다. 밀교에서는, 제재(除災)와 기우(祈雨)를 위한 수법(修法)의 본존이다. 공처정(.. 2017. 5. 14. 과보(果報)-관계지한(灌谿志閑, -895) 과보(果報) : 우리는 살아가면서 쉴새 없이 어떠한 행위를 합니다. 이러한 모든 행위에는 원인이 있으며, 원인은 또한 결과를 낳는 것입니다. 이렇게 자기가 지은 행위에 다른 결과가 바로 과보(보)입니다. 따라서 착한 행위에는 좋은 과보가, 악한 행위에는 나쁜 과보가 따릅니다. 이것이 .. 2017. 5. 14. 과보(果報)-관계지한(灌谿志閑, -895) 과보(果報) : 우리는 살아가면서 쉴새 없이 어떠한 행위를 합니다. 이러한 모든 행위에는 원인이 있으며, 원인은 또한 결과를 낳는 것입니다. 이렇게 자기가 지은 행위에 다른 결과가 바로 과보(보)입니다. 따라서 착한 행위에는 좋은 과보가, 악한 행위에는 나쁜 과보가 따릅니다. 이것이 .. 2017. 5. 14. 관대부정(觀待不淨)-관세음(觀世音) 관대부정(觀待不淨) : 6종부정(六種不淨)의 하나입니다. 무색(無色) 의 훌륭하고 청정한 일을 대하면 색계(色界) 의 모든 법은 부정한 것처럼 여겨지는 것입니다. 곧 상대적× 비교적인 부정(不淨)으로 색계와 무색계의 상이계(上二界)의 법을 말합니다. 6종부정이란 (1) 휴예부정 (2) 고뇌부.. 2017. 5. 14. 관심(觀心)-관음영장(觀音靈場) 관심(觀心) : 관심은 자기 마음을 관조하여 그 본성을 밝히는 것이다. 또는 관법과 같은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교의사상의 측면을 교상문이라고 하는 것에 대해, 자기 마음을 관하는 실천수행을 관심문이라고 합니다. 곧 마음이 모든 것의 중심이기 때문에 마음을 관조하면 일체를 관조하.. 2017. 5. 14. 관음예문(觀音禮文)-관행(觀行) 관음예문(觀音禮文) : 관음예문(觀音禮文)은 관세음보살에게 귀의하여 과거에 지은 업을 참회하고 관세음보살의 위신력으로 앞으로의 행복을 기약하는 예참문이다. <관음예문>에는 관세음보살과 버들가지의 관계를 설명하는 귀절이 있다. "원하옵니다. 모든 법계의 사생과 육도 중.. 2017. 5. 14. 광과천(廣果天)-광배(光背) 광과천(廣果天) : 색계제사선천. 8천 가운데 제삼천의 이름. 제사선천 가운데 범부가 사는 하늘 중에서 가장 좋은 곳이다. 광대(光臺) : 광명(光明)으로 이루어진 금대(金臺)입니다. 관무량수경에는 다음과 같이 나와 있습니다. "이때 부처님께서 미간으로부터 빛을 발하여 그 금빛이 시방.. 2017. 5. 14. 광보적정(廣普寂定)-괴겁(壞劫) 광보적정(廣普寂定) : 보살이 설법할 때 드는 깊은 선정, 곧 화엄삼매(華嚴三昧)를 말함. 광서(光嶼) : 속성은 한씨. 경주 금성 사람. 어려서 유서를 읽으며 경국제민에 뜻을 두었다. 진용원의 법위에 귀의하여 계를 받고 정명경을 통하였다. 현덕 7(960)년 세수 66, 승뇌 46세로 입적하였다. 광.. 2017. 5. 14. 괴고(壞苦)-교상(敎相) 괴고(壞苦) : 3고(苦) 중의 하나. 자신이 애착하는 것이 파괴되거나 없어질 때 느끼는 고뇌 교(敎) : 가르침 교훈 교설 등의 뜻. 특히 부처님의 가르침, 곧 불교를 가르킵니다. 교담미( 曇彌) : 가우타미의 음역. 구담미(瞿曇彌), 명녀(明女). ①사람 이름. 석가모니의 이모를 가리킴. 교도화.. 2017. 5. 14. 교상미국( 賞彌國)-구(句) 교상미국( 賞彌國) : 교상미는 카우샴비의 음역. 고대 중인도에 자리했던 나라 이름. 석가모니의 생존 당시 인도의 16대국 중 하나. 교상판석(敎相判釋) : 부처님이 설한 교법을 분류 해석하여 판별하는 것. 대표적인 예로서, 3시교(時敎), 5시(時) 8교(敎), 5교(敎) 10종(宗), 2쌍(雙) 4중(重) 등.. 2017. 5. 14. 구(垢) -구과(九果) 구(垢) : 번뇌의 별명. 번뇌는 부정(不淨)하여 마음을 더럽히는 때나 먼지와 같다는 뜻. 탐(貪), 진(瞋), 치(癡), 3독(毒)은 3구(垢)라고도 함. 구겁(久劫) : 수천억 겁의 오랜 시간을 말합니다 구결(九結) : 아홉 가지의 속박(束縛), 즉 번뇌. 중생을 구속하여 고뇌를 떨치지 못하게 방해하는 것.. 2017. 5. 14. 구구인(九句因)-구도(求道) 구구인(九句因) : 인명(因明)의 3지 작법 중에서 제2작법 중, 인(因)의 정(正), 부정(不正)을 판단하기 위한 아홉 가지 관계. 1. 동품유이품유(同品有異品有). 2. 동품유이품비유(同品有異品非有). 3. 동품유이품유비유(同品有異品有非有). 4. 동품비유이품유(同品非有異品有). 5. 동품비유이품.. 2017. 5. 14. 구두삼매(口頭三昧)-구리다(俱利多) 구두삼매(口頭三昧) : 입으로만 떠들고 실행하지 않는 것입니다. 구두선(口頭禪)·구두변(口頭辨)·피선(口皮禪) 등이라고도 합니다. 선의 이치를 체득하지 않고 선가의 상용어를 겨우 익혀서 말로만 분별하는 것입니다 구두학도(救頭學道) : 머리에 붙은 불을 끄는 것처럼 태만함 없이 .. 2017. 5. 14. 구리성(拘利城)-구부득고(求不得苦) 구리성(拘利城) : 구리는 콜리의 음역. 고대 인도의 지명. 석가모니의 모친인 마야 부인의 출신지. 석가 종족의 지족(支族)으로서 가비라위(迦毘羅衛)의 북쪽에 자리했으며, 마야 부인의 부친인 선각왕(善覺王)의 도성이었다. 구리슈나(krsna) : 힌두교도 들이 가장 깊게 신봉하는 신. 뷔슈누.. 2017. 5. 14. 구사론(俱舍論)-구시인(舊詩人) 구사론(俱舍論) :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의 약칭. 인도의 세친(世親)이 저술하고 당 나라 때 현장(玄 )이 30권으로 번역한 문헌. 구사종(俱舍宗) : 비담종(毘曇宗)이라고도 합니다. 인도의 세친이 지은<구사론>을 소의론전으로 성립한 종파입니다. 중국에서는 독립된 종파로.. 2017. 5. 14. 구식(九識)-구의(九儀) 구식(九識) : 유식설에서 주장하는 8식, 즉 안식(眼識), 이식(耳識), 비식(鼻識), 설식(舌識), 신식(身識), 의식(意識), 말나식(末那識), 아뢰야식(阿賴耶識) 등에 아마라식(阿摩羅識)을 더한 것. 진제(眞諦)를 비롯한 구역가들이 9식설을 내세우는 반면, 현장을 비롯한 신역가들은 8식설을 내세.. 2017. 5. 14. 구이(瞿夷)-구차제정(九次第定) 구이(瞿夷) : 고피카의 음역. 俱夷, 夷라고도 함. 사람 이름. 석가모니가 태자였을 때 제1부인의 이름. 수광(水光) 장자의 딸. 일설에서는 *야수다라(耶輸陀羅)의 별명이라고 함. 구자국(龜玆國) : 구자는 쿠차의 음역. 고대 서역에 있었던 나라 이름. 불교가 성했으나, 회교도의 침입 이후 .. 2017. 5. 14. 구천(九天)-궁자(窮子) 구천(九天) : 온 하늘. 대지를 중심으로 월천, 수성천, 금성천, 일륜천, 화성천, 목성천, 토성천, 항성천, 종동천 등을 말 함. 구편지(九遍知) : 편지(遍知)에는 지(智) 편지와 단(斷) 편지, 2종이 있는데, 그 중 지 편지를 9종으로 나눈 것을 가리킴. 욕계견고집단결진박지(欲界見苦集斷結盡縛.. 2017. 5. 14.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