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장소멸1995 시절 인연과 만남의 의미, 시절 인연과 만남의 의미, 사람과의 만남도, 일과의 만남도, 소유물과의 만남도, 깨달음과의 만남도, 유형무형의 일체 모든 만남은 모두 때가 있는 법입니다. 아무리 만나고 싶어도 시절 인연이 무르익지 않으면 지천에 두고도 못 만날 수도 있고, 아무리 만나기 싫다고 발버둥을 쳐도 시.. 2019. 8. 6. 삿된 지식 버리고 마음의 눈으로 광명보자. 불법은 본래 부처님과 달마스님이 오기 전에도 있었습니다. 남산에 구름 일어나면 북산에 비 내리고, 구름 흩어지면 청산이 나타나지 않았습니까. 이 곳에 모인 대중들에게 묻노니 한 마디 일러 보시오. “대체 만 길 되는 구덩이 속에 있는 사람을 어떻게 해야 구해내겠는가?” 큰 도(道).. 2019. 7. 31. 卍-현종산하 회심사 불기(彿紀)2563년, 서기2019(기해 己亥)년 8월 행사 일정표 불, 법, 승 - 자비하시고 거룩하신 삼보님 전에 귀의 하옵고……." 참회 기도로 업장 소멸 "회심사" 부처님 인연 공덕으로 불자님들의 가정에 건강과 행복, 뜻하신 소원 꼭 이루시길 두 손 모읍니다. 나무 관세음보살, 나무관세음보살, 나무구고구난 관세음보살.()()(). 卍:-8월 01일 (음력 7월 .. 2019. 7. 30. 정토삼부경 번역 머리말(청화 큰스님) 정토삼부경 번역 머리말(청화 큰스님) 우리 인간은 누구나가 다 고뇌와 빈곤이 없는 안락하고 풍요한 행복을 간구하고, 생로병사가 없는 영생(永生)의 이상향을 그리는 사무친 향수를 지울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인간의 모든 문화현상은 비록 깊고 옅은 차이는 있을지라도, 다 한결같이 .. 2019. 7. 23. 오성론(悟性論) 오성론(悟性論) 1. 불승( 佛乘 ) 도(道)의 본질은 집착을 벗어남에 있다. 그리고 수행을 하는 사람들의 목적은 겉모습으로부터 자유에 있다. 경에 이르기를 "무 집착이 곧 깨달음이다. 그것은 겉모습을 부정하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삼계는 욕심과 성냄과 망상의 세계다. 삼계를 떠나는 것.. 2019. 7. 22. 법화. 열반사상 법화. 열반사상 한국, 중국, 일본의 대승불교 권에서 '경중왕(經中王)'이라 불리는 『법화경(法華經)』의 사상이 불교전반에 기여한 바가 상당하다. 사상적으로는 '우리 모두는 성불(成佛)한다'는 일불승(一佛乘)은 말할 것도 없고, 우리들이 익숙하게 행해온 여러 가지 일상적인 불교행사.. 2019. 7. 20. 법화경의 경명(경의 이름) 법화경의 경명(경의 이름) 『법화경』을 범어로 나타내면 이다. Sad는 '정(正)' 또는 '묘(妙)'로 해석되고, Dharma 는 '법(法)'으로, Pundarika 는 ' 흰 연꽃'을 나타낸다. Sutram은 성인의 말씀을 적어놓은 '경(經)'이다. 그래서 286년 서진의 축법호(竺法護)는 『정법화경(正法華經)』이라 번역하였고,.. 2019. 7. 20. 대승경전에서 법화경의 위치 대승경전에서 법화경의 위치 방대한 팔만대장경을 경을 설한 시기(時期)나 내용(內容)에 따라 분류하는 것을 교상판석(敎相判釋)이라 한다. 전통적으로 천태 지의대사가 정리한 5시교(五時敎)의 관점에서 『법화경』의 위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방법은 모든 팔만대장경을 부처님.. 2019. 7. 20. 법화경의 내용과 사상 법화경의 내용과 사상 『법화경』은 부처님께서 성도 하시고 49년 동안 설해주신 것을 최종적으로 정리하여 '모든 중생들은 다 성불한다'는 부처님의 온전한 사상을 펴는 경이다. 그래서 특별히 이 경은 부처님이 이 세상에 오신 목적을 밝히고 있다. 그것은 '개시오입(開示悟入)'의 일대.. 2019. 7. 20. 법화경의 구성 법화경의 구성 『법화경』전 7권 28품을 전후로 나누어 <서품(序品)> 제 일에서부터 <안락행품(安樂行品)> 제 십사까지의 전반 14품을 적문(迹門)이라 하고, <종지용출품(從地涌出品)> 제 십오에서 <보현보살권발품(普賢菩薩勸發品)> 제 이십팔까지의 후반 14품을 본문(本門.. 2019. 7. 20. 법화경의 9가지 비유 법화경의 9가지 비유 그 동안 소승의 가르침에서는 성문승과 연각승, 보살승을 증득하여 번뇌를 여의고 열반에만 머무르는 데에만 만족하였으나, 대승의 진리를 펴는『법화경』에서는 여기서 더 나아가 자기 자신마다에 있는 불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을 통해서 확신하여 느끼고 그것을.. 2019. 7. 20. 열반경 사상 열반경 사상 《열반경》에는 두 가지가 있다. 석가세존이 돌아가실 때 하신 마지막 가르침을 담은 경전을 《열반경》이라고 한다. 이에 비해 《대반열반경》은 죽음의 의미를 해석해 놓은 경전이다. 범인(凡人)들은 죽음 = 단절이라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투철한 내세관을 지닌 종교인.. 2019. 7. 20. 화엄경 해설-제1강 화엄학의 범주와 사상 개요 화엄경 해설-제1강 화엄학의 범주와 사상 개요 1. 화엄학의 범주 화엄사상을 담고 있는《화엄경》은 한국불교의 수행과 신앙형태에 크나큰 영향을 끼친 대표적인 경이다. 불교의식에도 화엄사상이 무르녹아 있다. 특히 한국선의 이해는 화엄사상의 공부 없이는 완전하지 못할 정도이다. .. 2019. 7. 19. 화엄경 해설-제2강 화엄경의 편찬과 유통 제2강 화엄경의 편찬과 유통 1. 인도·서역의 화엄경 편찬 《화엄경》은 화엄부의 대표적인 경전으로서 '대방광불화엄경'의 준말이다. 《화엄경》의 원 범명은 인수 없으니 원본인 범본이 Dasabhumika(다사부미카)라고 불리는〈십지품〉과 Gandavyuha(간다뷰하)라고 불리는〈입법계품〉 외에.. 2019. 7. 19. 화엄경 해설-제3강 화엄경의 구성 조직 제3강 화엄경의 구성 조직 1. 경의 구성과 회처의 상징 《화엄경》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화엄경》의 구성 조직을《팔십화엄》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하겠다.《팔십화엄》의 구성 조직을 도시하면 다음〈표 1〉과 같다. 〈표 1〉《팔십화엄》(7처 9회 39품의 설주와 교설내용) .. 2019. 7. 19. 화엄경 해설-제4강 화엄경의 내용 -초회 6품 제4강 화엄경의 내용 -초회 6품 초회 6품에서는 특히 다음 사항을 주목하게 한다. 6성취와 그 가운데 청법대중의 특징은 무엇인가? 《화엄경》의 교설인연, 달리 말해서 화엄교설의 내용이 무엇인가? 설주는 교설할 수 있는 능력을 얻게 되는 삼매에 어떻게 들어가는가? 연화장세계, 즉 .. 2019. 7. 19. 화엄경 해설-제5강 화엄경의 내용 -제2회 6품 제5강 화엄경의 내용 -제2회 6품 제2회 6품에서는 신(信)에 대해서 교설하고 있다. 문수보살의 특수한 지혜에 의해서 우리 중생들로 하여금 신심을 성취케 해주는 법회인 것이다. 이 말씀을 만남에 있어서도 다음 몇 가지를 염두에 두게 한다. 무엇을 믿는가? 믿음의 대상, 믿음의 내용이 .. 2019. 7. 19. 화엄경 해설-제6강 화엄경의 내용 -해인삼매 제6강 화엄경의 내용 -해인삼매 〈현수품〉에는 신심이 원만 성취되면 얻어지는 신심의 공능으로서 삼매가 설해져 있다. 《화엄경》의 총정인 해인삼매도 교설되어 있다. 이 해인삼매는 어떠한 삼매이며, 어떻게 모든 삼매 중 으뜸인 것으로 부각되어 갔는가. 그리고 해인삼매를 얻게 .. 2019. 7. 19. 화엄경 해설-제7강 화엄경의 내용 -제3회 6품 제7강 화엄경의 내용 -제3회 6품 제3회 6품은 수미산정의 제석천궁전에서 법혜보살에 의하여 십주법문이 설해지고 있다. 이곳에서 주목하게 하는 점으로서는 첫째, 보살의 주처이다. 십주의 자리는 어디이며 십주보살행은 어떠한 것인가? 둘째, 발심의 인과 연은 무엇이며, 초발심시변정.. 2019. 7. 19. 화엄경 해설-제8강 화엄경의 내용 -제4회 4품 제8강 화엄경의 내용 -제4회 4품 제4회 4품에서는《화엄경》의 유심설과 보살의 십바라밀행에 특히 주목하게 된다. 19. 승야마천궁품 세존께서 보리수 아래와 수미산 꼭대기를 떠나지 아니하시고 야마천궁으로 향하셨다. 야마천왕이 멀리서 보고 즉시 보연화장 사자좌를 만들고 맞이하.. 2019. 7. 19. 선 사상의 이해 선사상의 이해 선(禪) 선(禪)은 마음을 통하여 잡념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며, 진정한 참 모습으로 돌아가는 실천과정이다. 선(禪)은 불가(佛家)의 고매한 수행방법 중의 하나이다. 석가모니께서 보리수 아래에서 대각(大覺)을 이루신 것도 선이 주종이었고, 영산회상에서 《법화경》법문.. 2019. 7. 18. 여래장 사상 여래장 사상 여래장은 여래의 씨라는 뜻으로 누구나 지니고 있는 여래의 가능성, 즉 모든 생명의 무한한 가능성을 설명하고 있다. (1)여래장의 의미 여래장(tathagata-garbha)은 여래의 씨라는 의미이다. 누구나 지니고 있는 여래의 가능성을 말하는 것이다. 이 사상은 《법화경》과 《열반경.. 2019. 7. 18. 유식 사상 유식 사상 유식을 흔히 마음의 불교 혹은 불교심리학이라고 한다. 불교만큼 마음을 심층 분석한 철학도 없는데, 그 가운데서도 유식사상은 최고봉이라 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중관 철학은 사물을 연기에 의지한 무자성으로 파악하고 실천적인 수행을 내세워 공(空)을 시현하는 것을 .. 2019. 7. 17. 유식 사상-십바라밀다(十波羅密多) 유식 사상-십바라밀다(十波羅密多)- 유식사상에서는 지(止)와 관(觀)에 대해서도 가르치고 있다. 여기서 지란 윤리적인 규범이며, 지식의 축척을 통한 지혜의 완성이다. 즉, 지혜가 관이며 지(止)라는 것은 윤리적인 실천을 의미한다. 이것은 십바라밀다로 설명이 된다. 육바라밀에서 4가.. 2019. 7. 17. 중관 사상 중관 사상 이제 반야사상이 중관사상(madhayamaka)으로 발전하는 과정을 살펴보자. 위에서 함께 살펴본 《반야심경》과 《금강경》등의 사상을 중관이라는 사고방식으로 크게 발전시킨 인물이 바로 용수(龍樹)이다. 용수는 기원 후 150∼250년경에 활약하신 분으로 불교에서 8종(宗)의 조사(.. 2019. 7. 17. 반야 사상 반야사상 반야란 사물의 피상적인 모습을 떠난, 절대 완전한 지혜라는 뜻이다. 즉, 현상의 본질을 파악하지 못하는 인간이 가장 완벽하고 이지적인 지혜의 눈을 지니게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불교 내부에 대승불교운동이 일어나게 되면서 어떠한 사상적인 발전을 하게 되었을까. 대승불.. 2019. 7. 17. 반야사상-금강경 반야사상-금강경 금강경의 본디 명칭은《금강반야바라밀다경》이다. 혹은 《능단(能斷) 금강반야바라밀다경》이라고도 한다. 금강(vajracchedika)은 부처님의 반야지(智)를 비유한 것으로, 이 세상의 무엇으로도 깨뜨려지지 않으나, 이 세상의 무엇이든 깨뜨릴 수 있다는 뜻으로 사용된 것.. 2019. 7. 17. Ⅰ.원효의 정토사상 Ⅰ.원효의 정토사상 들어가기 불자라면 출가자이든 재가불자이든 누구나 成佛 내지는 極樂往生을 바랄 것이다. 원효의 정토사상은 왕생에 관한 사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재가신자의 信心에 근거한 마음의 자세와 왕생을 연결시켜, 범부중생의 구제의 방편을 현실적으로 제시한 것이 .. 2019. 7. 16. Ⅱ.원효의 정토관 Ⅱ.원효의 정토관 원효의 정토관은 크게 세 가지로 종합할 수 있다. 첫째는 각각 다른 淨土門에 대한 제사들의 의견을 和諍하고 있다는 것이고, 둘째는 각 정토 특성의 근거를 대부분 唯識論書에 두고 있으며, 셋째 중생이 모두 부처될 수 있다는 如來藏思想이 그 바탕을 이루고 있다는 .. 2019. 7. 16. Ⅲ.원효의 왕생인설 Ⅲ.원효의 왕생인설 원효는 정토에 왕생하는 인에 대하여 正因과 助因등으로 구별하여 설하였다. 발보리심을 정인이라 하고, 십념 등을 조인이라 하였다. 발보리심을 정인이라 한 것은 담란 이래의 설을 이어받은 것이지만, 원효는 {무량수경}의 삼배가운데서 설한 발보리심을 열거하여 .. 2019. 7. 16.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