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62 공덕의(功德衣)-공양(供養) 공덕의(功德衣) : 스님들이 입는 가사의 별칭. 선업을 쌓으면 공덕으로 남고, 악업을 쌓으면 죄과로 남는다. 출가자가 수행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공덕을 쌓는 일이 되기 때문에 공덕의라 부른다. ⇒ 가사(袈裟). 공덕전(功德田) : 3보(寶)를 말함. 3보는 무한한 공덕을 가지고 있으므로, 중생.. 2017. 5. 14. 공작명왕(孔雀明王)-과문(科文ⓟ) 공작명왕(孔雀明王) : 중생을 교화시켜 이롭게 하는 덕을 공작으로 표상한 것. 팔이 넷인 보살 형상으로서, 연화(蓮花), 구연과(具緣果), 길상과(吉祥果), 공작우(孔雀羽) 등을 들고서 금색의 공작을 타고 있다. 밀교에서는, 제재(除災)와 기우(祈雨)를 위한 수법(修法)의 본존이다. 공처정(.. 2017. 5. 14. 과보(果報)-관계지한(灌谿志閑, -895) 과보(果報) : 우리는 살아가면서 쉴새 없이 어떠한 행위를 합니다. 이러한 모든 행위에는 원인이 있으며, 원인은 또한 결과를 낳는 것입니다. 이렇게 자기가 지은 행위에 다른 결과가 바로 과보(보)입니다. 따라서 착한 행위에는 좋은 과보가, 악한 행위에는 나쁜 과보가 따릅니다. 이것이 .. 2017. 5. 14. 과보(果報)-관계지한(灌谿志閑, -895) 과보(果報) : 우리는 살아가면서 쉴새 없이 어떠한 행위를 합니다. 이러한 모든 행위에는 원인이 있으며, 원인은 또한 결과를 낳는 것입니다. 이렇게 자기가 지은 행위에 다른 결과가 바로 과보(보)입니다. 따라서 착한 행위에는 좋은 과보가, 악한 행위에는 나쁜 과보가 따릅니다. 이것이 .. 2017. 5. 14. 관대부정(觀待不淨)-관세음(觀世音) 관대부정(觀待不淨) : 6종부정(六種不淨)의 하나입니다. 무색(無色) 의 훌륭하고 청정한 일을 대하면 색계(色界) 의 모든 법은 부정한 것처럼 여겨지는 것입니다. 곧 상대적× 비교적인 부정(不淨)으로 색계와 무색계의 상이계(上二界)의 법을 말합니다. 6종부정이란 (1) 휴예부정 (2) 고뇌부.. 2017. 5. 14. 관심(觀心)-관음영장(觀音靈場) 관심(觀心) : 관심은 자기 마음을 관조하여 그 본성을 밝히는 것이다. 또는 관법과 같은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교의사상의 측면을 교상문이라고 하는 것에 대해, 자기 마음을 관하는 실천수행을 관심문이라고 합니다. 곧 마음이 모든 것의 중심이기 때문에 마음을 관조하면 일체를 관조하.. 2017. 5. 14. 관음예문(觀音禮文)-관행(觀行) 관음예문(觀音禮文) : 관음예문(觀音禮文)은 관세음보살에게 귀의하여 과거에 지은 업을 참회하고 관세음보살의 위신력으로 앞으로의 행복을 기약하는 예참문이다. <관음예문>에는 관세음보살과 버들가지의 관계를 설명하는 귀절이 있다. "원하옵니다. 모든 법계의 사생과 육도 중.. 2017. 5. 14. 광과천(廣果天)-광배(光背) 광과천(廣果天) : 색계제사선천. 8천 가운데 제삼천의 이름. 제사선천 가운데 범부가 사는 하늘 중에서 가장 좋은 곳이다. 광대(光臺) : 광명(光明)으로 이루어진 금대(金臺)입니다. 관무량수경에는 다음과 같이 나와 있습니다. "이때 부처님께서 미간으로부터 빛을 발하여 그 금빛이 시방.. 2017. 5. 14. 광보적정(廣普寂定)-괴겁(壞劫) 광보적정(廣普寂定) : 보살이 설법할 때 드는 깊은 선정, 곧 화엄삼매(華嚴三昧)를 말함. 광서(光嶼) : 속성은 한씨. 경주 금성 사람. 어려서 유서를 읽으며 경국제민에 뜻을 두었다. 진용원의 법위에 귀의하여 계를 받고 정명경을 통하였다. 현덕 7(960)년 세수 66, 승뇌 46세로 입적하였다. 광.. 2017. 5. 14. 괴고(壞苦)-교상(敎相) 괴고(壞苦) : 3고(苦) 중의 하나. 자신이 애착하는 것이 파괴되거나 없어질 때 느끼는 고뇌 교(敎) : 가르침 교훈 교설 등의 뜻. 특히 부처님의 가르침, 곧 불교를 가르킵니다. 교담미( 曇彌) : 가우타미의 음역. 구담미(瞿曇彌), 명녀(明女). ①사람 이름. 석가모니의 이모를 가리킴. 교도화.. 2017. 5. 14. 교상미국( 賞彌國)-구(句) 교상미국( 賞彌國) : 교상미는 카우샴비의 음역. 고대 중인도에 자리했던 나라 이름. 석가모니의 생존 당시 인도의 16대국 중 하나. 교상판석(敎相判釋) : 부처님이 설한 교법을 분류 해석하여 판별하는 것. 대표적인 예로서, 3시교(時敎), 5시(時) 8교(敎), 5교(敎) 10종(宗), 2쌍(雙) 4중(重) 등.. 2017. 5. 14. 구(垢) -구과(九果) 구(垢) : 번뇌의 별명. 번뇌는 부정(不淨)하여 마음을 더럽히는 때나 먼지와 같다는 뜻. 탐(貪), 진(瞋), 치(癡), 3독(毒)은 3구(垢)라고도 함. 구겁(久劫) : 수천억 겁의 오랜 시간을 말합니다 구결(九結) : 아홉 가지의 속박(束縛), 즉 번뇌. 중생을 구속하여 고뇌를 떨치지 못하게 방해하는 것.. 2017. 5. 14. 구구인(九句因)-구도(求道) 구구인(九句因) : 인명(因明)의 3지 작법 중에서 제2작법 중, 인(因)의 정(正), 부정(不正)을 판단하기 위한 아홉 가지 관계. 1. 동품유이품유(同品有異品有). 2. 동품유이품비유(同品有異品非有). 3. 동품유이품유비유(同品有異品有非有). 4. 동품비유이품유(同品非有異品有). 5. 동품비유이품.. 2017. 5. 14. 구두삼매(口頭三昧)-구리다(俱利多) 구두삼매(口頭三昧) : 입으로만 떠들고 실행하지 않는 것입니다. 구두선(口頭禪)·구두변(口頭辨)·피선(口皮禪) 등이라고도 합니다. 선의 이치를 체득하지 않고 선가의 상용어를 겨우 익혀서 말로만 분별하는 것입니다 구두학도(救頭學道) : 머리에 붙은 불을 끄는 것처럼 태만함 없이 .. 2017. 5. 14. 구리성(拘利城)-구부득고(求不得苦) 구리성(拘利城) : 구리는 콜리의 음역. 고대 인도의 지명. 석가모니의 모친인 마야 부인의 출신지. 석가 종족의 지족(支族)으로서 가비라위(迦毘羅衛)의 북쪽에 자리했으며, 마야 부인의 부친인 선각왕(善覺王)의 도성이었다. 구리슈나(krsna) : 힌두교도 들이 가장 깊게 신봉하는 신. 뷔슈누.. 2017. 5. 14. 구사론(俱舍論)-구시인(舊詩人) 구사론(俱舍論) :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의 약칭. 인도의 세친(世親)이 저술하고 당 나라 때 현장(玄 )이 30권으로 번역한 문헌. 구사종(俱舍宗) : 비담종(毘曇宗)이라고도 합니다. 인도의 세친이 지은<구사론>을 소의론전으로 성립한 종파입니다. 중국에서는 독립된 종파로.. 2017. 5. 14. 구식(九識)-구의(九儀) 구식(九識) : 유식설에서 주장하는 8식, 즉 안식(眼識), 이식(耳識), 비식(鼻識), 설식(舌識), 신식(身識), 의식(意識), 말나식(末那識), 아뢰야식(阿賴耶識) 등에 아마라식(阿摩羅識)을 더한 것. 진제(眞諦)를 비롯한 구역가들이 9식설을 내세우는 반면, 현장을 비롯한 신역가들은 8식설을 내세.. 2017. 5. 14. 구이(瞿夷)-구차제정(九次第定) 구이(瞿夷) : 고피카의 음역. 俱夷, 夷라고도 함. 사람 이름. 석가모니가 태자였을 때 제1부인의 이름. 수광(水光) 장자의 딸. 일설에서는 *야수다라(耶輸陀羅)의 별명이라고 함. 구자국(龜玆國) : 구자는 쿠차의 음역. 고대 서역에 있었던 나라 이름. 불교가 성했으나, 회교도의 침입 이후 .. 2017. 5. 14. 구천(九天)-궁자(窮子) 구천(九天) : 온 하늘. 대지를 중심으로 월천, 수성천, 금성천, 일륜천, 화성천, 목성천, 토성천, 항성천, 종동천 등을 말 함. 구편지(九遍知) : 편지(遍知)에는 지(智) 편지와 단(斷) 편지, 2종이 있는데, 그 중 지 편지를 9종으로 나눈 것을 가리킴. 욕계견고집단결진박지(欲界見苦集斷結盡縛.. 2017. 5. 14. 권교(權敎)-귀명(歸命) 권교(權敎) : 부처님이 말씀하신 깊은 진리는 보통 사람으로서는 알기 어렵기 때문에 일시적인 방편으로 처음에는 옅은 이치의 차별법을 가르치다가 나중에는 "참된 실상은 둘이 아님"을 가르쳤다. 그리하여 권교와 실교의 다름이 있는 것이다. 권교는 방편설 이라고 한다. 권속(眷屬) : .. 2017. 5. 14. 귀명례(歸命禮)-규환지옥(叫喚地獄) 귀명례(歸命禮) : 신명을 바쳐서 귀의할 것을 다짐하며 머리를 조아려서 예배를 올리는 것 귀신(鬼神) : 흔히 죽은 사람의 영혼을 가리켜 귀신이라 하며, 천신(天神)은 영(靈), 지신(地神)은 기(祇), 인신(人神)은 귀(鬼)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불교에서는 귀와 신을 구분한다. 즉 귀(鬼)란 6취.. 2017. 5. 14. 극락(極樂)-근문(近門) 극락(極樂) : 극락은 이 세계에서 서쪽으로 십만억의 불국토를 지나면 저쪽 편에 있는 곳입니다. 아미타불께서 머물며 항상 설법 하고 계시는 곳으로, 일체의 고통이 없고 자유롭고 안락함이 가득하여 모든 중생이 왕생하기를 소망하는 이상향입니다. <아미타경>에 이 정토의 모습이 .. 2017. 5. 14. 근본(根本)-근본업도(根本業道) 근본(根本) : 비로자나화신인 지길상인(智吉祥印)과 같은 뜻입니다. 곧 지혜의 손으로 길상인을 맺는다는 뜻입니다. 양손의 엄지손가락과 넷째 손가락을 서로 맞잡는 모양으로, 부처님께 공양하는 근본인(根本印) 입니다. 비로자나화신인 지길상인(智吉祥印)과 같은 뜻입니다. 곧 지혜의 .. 2017. 5. 14. 근사-금강계(金剛界) 근사 : 삼보에 가까이서 봉사한다는 뜻. 5계(戒)를 받아 준수하는 재가 신자. 남자는 근사남 즉 우바새, 여자는 근사녀 즉 우바이. 근상하지력(根上下智力) : 부처가 갖추고 있는 10역(力) 중 하나. 중생의 근기가 높고 낮음을 아는 힘. 근식(勤息) : 악을 저지하고 선행에 힘쓴다는 뜻입니다 .. 2017. 5. 14. 금강계만다라(金剛界曼茶羅)-금강반야바라밀경론(金剛般若波羅蜜經論) 금강계만다라(金剛界曼茶羅) : 밀교의 양부(兩部) 만다라 중 하나. 금강계 여래의 지덕(智德)을 만다라로 표현한 것. 만다라의 내용은 금강정경(金剛頂經)에 따르고 있으며, 그 내용에 따라 불과(佛果)의 실상을 9회(會)로 나누어 표현하고 있다. 1. 갈마회( 磨會). 2. 삼매야회(三昧耶會). 3... 2017. 5. 14. 금강보계(金剛寶戒)-금강수(金剛手) 금강보계(金剛寶戒) : 범망경에서 설한 대승계. 원돈계를 말한다. 원돈계는 마음에 갖추어 있는 성계로서 한 번 얻으면 오래 잃지 않는 것이 마치 금강보를 깨뜨릴 수 없는 것과 같아 이같이 말한다. 금강보리(金剛菩提) : 금강석과 같이 견고하고 예리한 지혜합니다. 곧 부처님의 지혜입.. 2017. 5. 14. 금강수보살(金剛手菩薩)-금강정(金剛頂) 금강수보살(金剛手菩薩) : 집금강보살·비밀주보살이라고도 합니다. 보통 금강저를 쥐고 있는 보살을 가리키며 혹은 특별히 밀적금강역사(密迹金剛力士) 를 지칭하기도 합니다. 금강수보살에게는 깊은 뜻과 얕은 뜻이 있는데, 얕은 뜻으로는 비밀주는 야차왕(夜叉王)을 가리키며, 이는 .. 2017. 5. 14. 금강정경(金剛頂經)-금구(金口) 금강정경(金剛頂經) : 밀교의 근본 경전으로서, 진언종(眞言宗)의 3부 비경(秘經) 중 하나. 여러 가지 번역본이 있으나, 대표적인 것으로는 당 나라 때 불공(不空)이 총 3권으로 번역한 금강정일체여래진실섭대승현증대교왕경(金剛頂一切如來眞實攝大乘現證大敎王經)이 있음. 금강좌(金剛.. 2017. 5. 14. 금당(金堂)-금일당체(今日當體) 금당(金堂) : 불상이나 보살상 등의 본존불을 모신 사당의 중심이 되는 전각(殿閣)입니다. 금당이라는 명칭은 금당 안을 금색으로 칠하여 장식한 것으로부터 본당(本堂)을 금당이라고 불렀다고 설먕되고 있으나, 아마도 금색의 불상이 안에 안치되어 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금당.. 2017. 5. 14. 금지(金地)-기만(起慢) 금지(金地) : 불사(佛寺)의 별명. 수달(須達) 장자가 땅 위에 금(金)을 깔고 나서 기원 정사의 땅을 매입할 수 있었던 일에서 비롯된 것 기(器) : 교법(敎法)을 믿고 따르며, 불도(佛道)를 수행하는 능력이나 근기(根機). 기세간(器世間)의 줄임말. 기(氣) : 인간을 포함한 우주 만물(萬物)을 생.. 2017. 5. 14. 이전 1 ··· 63 64 65 66 67 68 69 ··· 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