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62

003 격의 불교란 어떠한 의미와 의의를 지니는가 卍-003 격의 불교란 어떠한 의미와 의의를 지니는가-卍 중국불교의 성격을 논할 때만 특별하게 사용되는 용어인 격의라는 말은 중국인에게 쉽게 이해되지 않은 불교교리를 널리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유교나 도교 등 중국 고유의 사상으로부터 유사한 개념이나 용어를 차용하여 설.. 2017. 5. 14.
002 12연기에 대하여 卍-002 12연기에 대하여-卍 불교는 인간이 죽음을 포함한 모든 고뇌에서 벗어나는 문제에 대해 명백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즉 인간의 근본적인 고뇌(八苦)는 숙명적이거나 우연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무지가 원인이 되어 받게 되는 필연적인 결과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연기에 .. 2017. 5. 14.
001 108 번뇌란? 卍-001 108 번뇌란?-卍 번뇌와 번뇌가 아닌 것을 분별한다는 것을 그렇게 쉽지가 않습니다. 현실적으로 보면 번뇌라는 것과 번뇌 안니 깨달음, 즉 보리(菩提)라는 것이 실상은 똑같은 자리에서 나온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깨달음에 든 사람은 번뇌의 본체나 보리의 본체가 원래 하나.. 2017. 5. 14.
수인 수인 제불보살(諸佛菩薩)과 제천선신(諸天善神)이 그 깨달음의 내용을 두 손으로 나타내는 모양. 불상 종류에 의한 수인은 교리적인 뜻을 가지고 표현되었기 때문에 불상의 성격과 명칭을 분명하게 해주는 역할을 해왔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그 규칙이 엄격히 지켜지지 않았던 것 같다. 항.. 2017. 5. 14.
불교기 불교기는 1950년 실론(지금의 스리랑카)에서 열린 세계불교도우의회"에서 정식 승인하여 현재 모든 불교 국가와 불교단체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기는 가로와 세로의 비율이 3:2이며 바탕은 다섯 가지의 색(청색, 황색, 적색, 백색, 주황색)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다섯가지 색깔은 부처.. 2017. 5. 14.
108배-가구경행(街衢經行) 108배 : (1)108 번뇌란? 중생의 번뇌 수효가 108개라는 데에서 유래한 것으로 번뇌의 수를 많이 잡으면 8만 4천 번뇌이고, 적게 잡으면 3독 등 다양하다. 이 중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108번뇌이며 이것을 계산하는 방법에는 두 종류가 있다. (2)계산 방법 卍 첫 번째 방법 ①6진(塵) ×3 (好, 惡, 平.. 2017. 5. 14.
가나가모니(迦那伽牟尼)-가득상사과류(可得相似過類) 가나가모니(迦那伽牟尼) : 현겁(現劫) 천불(千佛)의 제2. 과거 7불의 제5. 바라문 종족으로 성은 가섭(迦葉), 아버지는 대덕(大德), 어머니 는 선승(善勝). 우담바라나무 아래서 크게 깨닫고 많은 중생을 재도 하였음. 가나가무니(迦那伽牟尼) : 금적·금선인 이라 한다. 현겁천불의 두 번째 .. 2017. 5. 14.
가라구타(迦羅鳩馱)-가리(迦利) 가라구타(迦羅鳩馱) :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에 출현한 과거7불 가운데 4 번째 부처님. 가라분(迦羅分) : 범어(梵語) Kala . 견절(堅折) · 계분(計分) · 교량분(校量分) 이라고 번역된다. 가라(歌羅) · 伽羅 라고도 적는다. 시간의 짧은 단위 또는 적은 수량의 이름인데, 시간의 경우는 1,600찰.. 2017. 5. 14.
가리가(迦 迦)-가사(袈裟) 가리가(迦 迦) : 칼리카의 음역. 16나한 중 제7나한의 이름. 1,000명의 권속과 함께 승가다주(僧伽茶州)에 머묾. 가력가(迦力迦), 가라(迦羅). 가면불교설(假面佛敎說) : 베단타(Ved nta) 학파, 특히 샹카라(Sampkara) 파의 학설을 가리키는 말. 가명보살(假名菩薩) : 단지 이름만 보살일 뿐이라는 .. 2017. 5. 14.
가사(袈裟)-가야성(伽耶城) 가사(袈裟) : 스님들이 입는 옷. 가사의 색은 대체로 황적색을 띠는데, 이 말의 원어가 황적색(黃赤色)을 뜻하는 것과도 연관이 있다. 본래 출가 수행자란 남이 쓰다 버린 옷 조각이나 못쓰게 된 천 조각들을 주워서 꿰매어 만든 옷을 입을 만큼 무욕(無慾)과 무소유를 실천하였던 것에서 .. 2017. 5. 14.
가전연(迦 延)-가치나의(迦 那衣) 가전연(迦 延) : 석가모니의 십대제자 중의 한 사람. 가다연나(大迦多衍那), 가저야야나(迦底耶夜那), 대가다연나, 대가전연, 마하가전연(摩訶迦 延), 호미(好眉), 문식(文飾), 선승(扇繩). 가전(迦 ). 남인도의 바라문 출신. 갓 태어난 석가모니의 미래를 예언했던 아사타(阿私陀) 선인의.. 2017. 5. 14.
가타(伽陀)-가화장부(可化丈夫) 가타(伽陀) : 가타의 음역. 伽他라고도 함. 운문(韻文), 시가(詩歌) 등을 말함. 특히 경(經), 논(論), 석(釋) 등에서, 시구(詩句)의 형식으로 불덕(佛德)을 찬탄하는 것을 가리킴. 송(頌), 송문(頌文), 게송(偈頌), 게(偈), 게타(偈他). 가포덕가람(迦布德伽藍) : 부처님이 과거세에 비둘기가 되어, .. 2017. 5. 14.
가화합(假和合)-각자(覺者) 가화합(假和合) : 우주 만상은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고, 인연따라 임시 로 화합하여 이루어진 것. 각덕(覺德) : ① 신라 때 승려. 구법승의 선구자. 540(진흥왕 1)년 양나라에 들어가 여러 고승들에게 도를 배우고, 549(진흥왕 10)년에 양나라 사신과 함께 불사리를 가지고 돌아왔다. ② 인도 .. 2017. 5. 14.
각지(覺支)-간시궐(乾屎궐) 각지(覺支) : 각분·보리분·심술의 편과 정을 각제함을 각법이라 일컬는다. 깨달음이 하나 뿐이 아니므로 지라 하며 이에 37법이 있다. 각은 보리의 역어이다. 각천(覺天) : 붓다데바의 번역. 사람 이름. 서기 1세기경 생존. 인도의 소승 유부에 속했던 학승. 바사(婆沙) 4대 논사 중 한 사람.. 2017. 5. 14.
간심( 心)-갈마사( 磨師) 간심( 心) : 간탐으로 인해서 보시하지 않는 마음. 6폐심(蔽心) 중의 하나. 간탐심( 貪心). 간탐( 貪) : 재물과 법 등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남에게 베풀지 않는 것. 간혜(乾慧) : 비록 깨쳐서 지혜가 생겼다 할지라도 선정(禪定)의 힘이 충실하지 못하면 그것을 마른 지혜라고 한다. 마른 .. 2017. 5. 14.
갈마아사리(竭摩阿0梨)-감인세계(堪忍世界) 갈마아사리(竭摩阿0梨) : 계단에서 계를 받는 사람에게 지침이 되는 스님 갈앙(渴仰) : 목마르고 갈증날 때 물을 생각하듯이 불법을 동경하고 사 모하는 것 갈애(渴愛) : 욕망, 또는 욕망을 추구하는 것. 중생이 5욕(欲)에 집착하는 것이 마치 목마른 이가 물을 갈구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갈.. 2017. 5. 14.
감자왕(甘蔗王)-강림(降臨) 감자왕(甘蔗王) : 고대 인도의 사람 이름. 석가 종족의 선조로 알려져 있음. 나중에 출가한 뒤에 왕선(王仙)이라 불려졌음. 의마왕(懿摩王), 이마왕(伊摩王), 일종왕(日種王), 선생왕(善生王). 감지승찬(鑑智僧璨, -606) : 중국선종 제3조, 在家時에 風疾이 있었는데 2조 혜가와 問答往來로 풍.. 2017. 5. 14.
강맹상(康孟詳)-개권현실(開權顯實) 강맹상(康孟詳) : 후한 때 사람으로 그의 선조는 당거국 사람으로 지혜와 학문의 칭예가 있었다. 헌제 흥평원(194)년에서 건안 4(199)년에 이르기까지 낙양에서 유사구등 경육부를 번역하였다. 강사(講師) : 법회 때 불전 우측 높은 자리에 올라 경론을 강의 하는 승. 강원에서 부처님의 가르.. 2017. 5. 14.
개당(開堂)-개화(開化) 개당(開堂) : 1) 새로 주지가 된 스님이 절에 가서 처음으로 설법하는 의식. 2) 엣날, 역경원에서 왕의 생일을 축하하여 새 경전을 번 역할 때, 끝나기 두 달 전 관리들이 번역하는 일을 보던 일. 개부일체수화주야신(開敷一切樹華晝夜神) : 선제동자가 도를 구하기 위 해 방문한 53선지식 가.. 2017. 5. 14.
개화삼매(開華三昧)-건립(建立) 개화삼매(開華三昧) : 관세음보살께서 서방정토에 왕생한 사람이 묵고 있는 곳에 연꽃을 피도록 하기위해 드는 삼매 개회(開會) : 개는 개제(開除), 회는 회입(會入)을 뜻함. 방편을 없애고 궁극적인 진실로 들어가는 것을 가리킴. 성문, 연각, 보살, 3승(乘)이 모두 일불승(一佛乘) 하나로 .. 2017. 5. 14.
건혜(乾慧)-겁화(劫火) 건혜(乾慧) : 건조한 지혜, 즉 유루(有漏)의 지혜로서 궁극적 지혜에 이르기 전 단계를 가리킴. 궁극적인 지혜는 적절한 습기로 윤택한 데 반하여, 그와 대비시켜 부르는 말. 건혜지(乾慧地) : 건혜의 지위. 4염처관(念處觀)을 수행하여 지혜를 얻었으나, 아직 궁극적인 법성(法性)의 진리를 .. 2017. 5. 14.
게송(偈頌)-견일처주지(見一處住地) 게송(偈頌) : 부처님의 가르침이나 공덕을 읊어 놓은 운문(韻文)으로서 그냥 게(偈)라고도 합니다 격외선지(格外禪旨) : 참선의 도리는 보통 사람의 범상한 소견에서 벗어난 것으로, 있는 마음으로나 없는 마음으로나 다 알지 못하는 것「有心無心俱透不得(유심무심투족불득)」이다. 견고.. 2017. 5. 14.
견저자이파비(見猪子而把鼻)-결계(結界) 견저자이파비(見猪子而把鼻) : 옛날 어떤 스님이 공부를 하고 있는데 멧돼지가 쫓아와서 대들기에 그 코를 쥐어잡고 소리치다가 정신을 차려보니 자기의 코를 잡고 있었다고 한다. 이런 일들은 모두 제 마음이 움직이므로 그 틈을 타서 마가 침노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제 생각으로 마를.. 2017. 5. 14.
결사(結使)-경록(經錄) 결사(結使) : 번뇌는 심신을 계박하여 고과(苦果)를 가져오므로 결(結)이라 하며, 중생을 따라 다니면서 강요하므로 사(使)라고 함. 9결(結)과 10사(使)가 있다. 결사(結社) : 고려 시대에 태동한 것으로 부패한 불교를 반성하고 불교의 혁신을 부르짓은 운동입니다. 고려는 건국 초기부터 불.. 2017. 5. 14.
경론(經論)-경행(經行) 경론(經論) : 불보살이 설한 내용을 담은 경(經)과 논(論). 3장(藏) 중에서 경장(經藏)과 논장(論藏)을 가리킴. 경봉정석(鏡峰靖錫,1892-1982) : 통도사스님, 聖海南炬의 제자. 경봉은 호, 詩號는 圓光 본명은 金鏞國. 밀양사람. 1892년(고종29) 密陽郡 부내면 계수동에서 父 金榮奎 母 안동權씨 사.. 2017. 5. 14.
계(戒)-계본(戒本) 계(戒) : 시라(尸羅), 시달라(尸 羅), 청량(淸凉), 성선(性善). ①본래 '마음이 착한 습관성'을 말하며, 좋은 습관을 익히는 것은 선계(善戒), 나쁜 습관을 익히는 것은 악계(惡戒)라고 구분한다. 일반적으로는 청정하다는 뜻으로서 정계(淨戒) 또는 선계에 한하여 사용한다. 율 가운데 제정.. 2017. 5. 14.
계사(戒師)-계첩(戒牒) 계사(戒師) : 계를 일러준 스님을 말함. 수계사(授戒師) 의 준말이 기도 함. 사분 율에서는 구족계를 받은지 10년이 상된 비구를 계사라 하고 대승원 돈교에서는 석존을 계화상이라 하므로 계법을 일 러준 스님을 계사라 함. 계상(戒相) : 신(身), 구(口), 의(意), 3업(業)을 행할 때 계행(戒行).. 2017. 5. 14.
계청(啓請)-고법지인(苦法智忍) 계청(啓請) : 다라니를 외우기 전에 관세음 보살과 다라니를 찬탄하며, 관세음 보살을 따라 큰 원(願)을 일으키며, 여러 불보살에게 청원하는 것. 계향(戒香 ) : 계율을 지키는 것이나 그로 인한 공덕이 향이 사방에 퍼지듯 퍼져나간다는 것과 같음을 이릅니다. 계향훈수(戒香熏修) : 계율을.. 2017. 5. 14.
고보(苦報)-고집멸도(苦集滅道) 고보(苦報) : "괴로운 과보"의 뜻인데, 범부가 자기(我)에 밝지 못하여 악한 업을 지어 고통스러운 과보를 받는 것으로, 대개 지옥·아귀·축생 등 악도에 떨어지는 것이 큰 고보(苦報)이고, 설사 인간으로 태어 났더라도 불여의(不如意)의 보(報)를 받는 것을 고보(苦報)라 한다. 고봉태수(.. 2017. 5. 14.
고해(苦海)-공덕(功德) 고해(苦海) : 이 세상이 괴로움이 많다하여 바다에 비유한 것입니다. 고해는 첫째로 고통의 바다를 말합니다. 현실의 이 세계에는 고통이 끝도 없이 가득 차 있다는 것을 바다에 비유한 것입니다. 둘째는 괴로움으로 가득찬 인간세계를 말하는 데, 번뇌가 가득한 극악중생이 거처하는 세.. 2017. 5. 14.